•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l-being

검색결과 1,182건 처리시간 0.04초

직장인의 자기연민과 삶의 만족 : 사회적 안녕감과 핵심자기평가의 다중매개효과 (Self-compassion and Satisfaction of Life Among Full-time Workers : The Multiple Mediating Role of Social Well-being and Core Self-evaluation)

  • 박지훈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1호
    • /
    • pp.129-14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연민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에 대한 인식과 자신에 대한 평가의 매개효과를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기연민척도와 삶의 만족도 척도를 사회적 안녕감과 핵심자기평가와 함께 직장인 215명에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안녕감과 핵심자기평가는 자기연민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 하였고, 사회적 안녕감과 핵심자기평가의 간접효과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연민이 삶의 만족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사회적 안녕감과 핵심자기평가를 통해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추후 연구를 위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재난피해자의 외상 후 위기와 외상 후 성장,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소득의 조절효과 - (Disaster Victims' Post-trauma Risk, Posttraumatic Growth and Subjective Well-being -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and Income as a Moderator -)

  • 심서영;손영우;박상현;윤지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5-112
    • /
    • 2016
  •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aster victims' post-trauma risk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mediational role of social support for this relationships. In addition,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income status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 risk and subjective well-being. Two hundred disaster victims completed Post-trauma Risk Checklist (PRC), Posttraumatic growth 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 as well as questions about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showed that those with high post-trauma risk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osttraumatic growth as compared to those with low post-trauma risk and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Also, high levels of post-trauma risk predicted low levels of recent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nts with high income obtained higher subjective well-being than did those with low income among high post-trauma risk groups. Implications for post-trauma risk and posttraumatic growth are discussed.

시큐리티 요원의 여가활동 참가와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Security Agents)

  • 김경식;김찬선;박영만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0-62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시큐리티 요원의 여가활동 참가와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09년 서울 소재 12개소 민간경비회사의 시큐리티 요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판단표집법을 이용하여 420부를 배부하였으며, 387명을 표집하였으며 최종 분석은 356명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 참가빈도는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가기간은 직무스트레를 통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가활동에 참가하면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지고 사회적지지가 높아지며 주관적 안녕감이 증가된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참가기간과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감소한다. 셋째, 사회적지지는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가활동 참가와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지지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안녕감이 증가된다. 넷째, 여가활동 참가의 빈도와 기간은 주관적 안녕감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활동 참가 빈도가 증가하면 주관적 안녕감이 증가되고, 참가기간이 증가하면 직무스트레스는 감소되며,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되면 주관적 안녕감은 증가된다. 사회적 지지 또한 증가 할수록 주관적 안녕감 역시 증가된다.

  • PDF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광주시와 전남지역 노인들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Elderly Social Activity and Depression on Elderly Well Being)

  • 김남현;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96-506
    • /
    • 2017
  • 본 논문은 노인들의 삶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삶의 질 또는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으로 노인들의 삶이 질이 높아야만 우리사회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회통합이 이루어 질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를 투입변인으로 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지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들 사이에서 우울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고서 건강한 노인들의 삶을 영위하는데 실천적 도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광주시와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 사회활동 참여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대한 매개효과는 삶의 질에 직 간접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높으면 우울이 감소되고 우울이 감소되면 삶의 질이 높아진다.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성공적 노화를 가져오기 위해 노인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우울의 심리상태를 극복하는 다양한 사회복지적 대책이 시급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노인복지 정책이 더욱 충실하게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영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piritual Well-Being of Mentally Disabled Residents of Institutions)

  • 이정숙;이선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1-24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piritual well-being of mentally disabled residents of institu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25 in 2014.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om 145 mentally disabled residents of institutions.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social support, self-esteem, depression, insight, spiritual well-be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8.0 program. According to results,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insight and spiritual well-being was higher than and depression was lower.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piritual well-being were depression (${\beta}=-.32$, p<.001), insight (${\beta}=-.21$, p=.003), social support (${\beta}=-.21$, p=.006) and self-esteem (${\beta}=-.18$, p=.047). The study reveal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decreases depression and increases insight,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의 자기결정성 요인이 자기존중감과 만족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Deterministic Factors of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Self-Esteem and Satisfaction)

  • 한정섭;권두순;김성준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85-108
    • /
    • 2021
  •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consider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by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suggest ways to use healthy social network services, and empirically verify how behavioral approaches, in other words self-determination theory, that deals with human psychological needs,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by self-esteem and satisfaction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and user individuals and social influences, etc. First research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utonomy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utonomy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mpet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Fourth,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mpetence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Fifth,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Sixth,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venth, it has been confirmed that self-esteem ha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Eighth, it has been confirmed that self-esteem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Ninth, it has been confirmed that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results mean that meeting basic human psychological need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the desire for autonomy, competence, relationship, which are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is an important factor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이 지도자의 영성리더십, 마을의 사회적 자본, 주민의 주관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eneral Rural Development Project on Spiritual Leadership,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 육화봉;정안성
    • 농촌계획
    • /
    • 제26권1호
    • /
    • pp.51-68
    • /
    • 2020
  • Korea's general rural development projects, which has shifted its paradigm to a bottom-up approach, should be promoted in the direction of focusing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residents in rural area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that a general rural development project impa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residents and the village leader in the relationship the spirituality of leadership, the village's social capital to analyze the impact any general rural areas, attributed the success of development projects with diversif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living-based projects among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ubjective welfare of the resid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basic living-based projects and regional income raising projects in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ltruistic behaviors and beliefs of spiritual leadershi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level of general farming and fishing village development on social capital, regional income raising projec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and network.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subjective well-being,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and network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rural residents. In future research, it is required to select more extended research subjects not limited to residents of limited areas, and conduct repeated studies, with expanding the model to include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residents.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 김지민;정지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5호
    • /
    • pp.21-3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v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Participants were 194 infant care teachers from 52 infan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Psychological burnout was assessed by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Lee, 2011), psychological well-being was measured by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Cho & Cha, 2001) and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Bak, 1985). Date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burnout in terms of marital status, work experiences, classroom operation type and income. Second,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Thir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was purpose in lif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was self-acceptance, the third most influential factor was emotional support, and the least influential factor was environmental mastery.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psychological well-being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emotional support from a social relationship network should be enhanced in order to prevent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전문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Self-Discrepancy on Well-being in College Student: A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 정명화;형정은;조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606-620
    • /
    • 2015
  •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중인 58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 안녕감, 사회적 지지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불일치, 안녕감, 사회적 지지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21.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분석하고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불일치와 안녕감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사회적 지지와 안녕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연구 가설과는 달리 자기불일치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가 주는 시사점을 논의를 통해 밝혔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배제, 반려동물 키우기,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탐색적 연구 (Social Exclusion, Raising Companion Anima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 Exploratory Study)

  • 이국희
    • 감성과학
    • /
    • 제22권1호
    • /
    • pp.3-14
    • /
    • 2019
  • 본 탐색적 연구는 사회적 배제 경험과 반려동물 키우기의 상호작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이 공동체로부터 얼마나 존중받고 있는지(네/아니오), 현재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지(네/아니오), 키우고 있다면 어떤 동물인지(복수응답 가능)에 대해 응답하게 하였고, 참가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낮았고, 반려동물을 키우는 집단은 키우지 않는 집단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아울러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집단은 반려동물을 키울 때가 키우지 않을 때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고,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지 않은 집단은 반려동물 키울 때와 키우지 않을 때의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없었다. 즉 사회적 배제(없음 vs. 있음)와 반려동물 키우기(안 키움 vs. 키움)의 이원상호작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 키우기가 웰빙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조건과 없는 조건을 경험적 데이터를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