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A. Bandur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 A. H. Ahrens, "Theories of depression: The role of goals and the self-evaluation proces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11, No.6, pp.665-680, 1987. https://doi.org/10.1007/BF01176004
- 임일모, 조용래, 김학렬, "자기불일치와 심리적 불편 감의 관계", 신경정신의학, 제24권, 제5호, pp.1416-1431, 1995.
- E. T. Higgins,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Vol.94, No.3, pp.319-340, 1987. https://doi.org/10.1037/0033-295X.94.3.319
- L. Scott and M. W. O'Hara, "Self-discrepancies in clinically anxious and depressed university students", J. of Abnormal Psychology, Vol.102, No.2, pp.282-287, 1993. https://doi.org/10.1037/0021-843X.102.2.282
- 박현희, 자기불일치 및 자기통제력이 대학생의 시험 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허재홍, 조용래,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이 대학생의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제5권, 제2호, pp.85-100, 2005.
- 김영수, 신희천, "자기불일치가 대인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 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제13권, 제2호, pp.745-760, 2012.
- 임진, 김은정,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과 반추적 반응양식을 매개변인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호, pp.279-306, 2012.
- E. Diener, S. Oishi, and R. E. Lucas, "Personality,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s of 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4, No.1, pp.403-425, 2003.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4.101601.145056
-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No.4,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pp.1069-1081,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 C. L. M. Keyes,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merica's youth: Toward a comprehensive assessment", Adolescent and Family Health, Vol.4, pp.3-11, 2005.
- 이상철, 정상원, 김새로미, 이혁준, "자기불일치가 불안 및 우울을 매개로 부적자아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3호, pp.183-206, 2008.
- 김지윤, 이동귀, "여고생의 가족관계 및 가정경제 수준에 대한 자기불일치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조절 역할", 상담학연구, 제13권, 제3호, pp.1443-1460.
- S. Cohen and S. L. Syme, Issues in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Social Support, In S. Cohen and S. L. Syme, (Eds.), Social support and Health, pp.3-23, 1985.
- 이옥형,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호, pp.29-57, 2012.
- 김홍순, 송민경, 김청송, "청소년의 행복과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사회적 지지의 중재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7권, 제1호, pp.253-270, 2012.
- 김미례, 기혼 여성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이현송, "빈곤가정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사회복지 학생연구논총, 제1권, pp.104-161, 2008.
- E. T. Higgins, R. Klein, and T. J. Strauman, "Self-concept discrepancy theory: A psychological model for distinguishing among different asp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Social Cognition," Special Issue: Depression, Vol.3, No.1, pp.51-76, 1985.
- 황민영, 방희정, 김영숙, "고등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우울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3권, 제2호, pp.239-261, 2014.
- 고영남, "대학생의 성격유형과 안녕감의 관계", 한국교육학연구, 제18권, 제3호, pp.49-71, 2012.
- C. L. M. Keyes, "Social well-be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Vol.61, No.2, pp.121-140, 1998. https://doi.org/10.2307/2787065
- E. Diener and R. E. Lucas, "Explaining differences in societal levels of happiness: Relative standard, need fulfillment, culture, and evaluation theory", J. of Happiness Studies, Vol.1, pp.41-78, 2000. https://doi.org/10.1023/A:1010076127199
- C. L. M. Keyes and S. J. Lopez, "Toward a science of mental health: positive directions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 C. R. Syner, and S. J.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45-5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 이현주, 이미나, 최인수, "한국청소년 안녕감 척도의 타당화 및 삶의 질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1호, pp.301-315, 2008.
- 이자영, 최웅용,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상담학연구, 제13권, 제3호, pp.1481-1499, 2012.
- R. C. Kessler, R. H. Price, and C. B. Wortman, "Social factors in psychopathology: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36, pp.531-572, 1985. https://doi.org/10.1146/annurev.ps.36.020185.002531
-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pp.300-314, 1976.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 R. D. Caplan, S. Cobb, J. P. French, R. Van Harrison, and S. R. Pinneau, Job Demands and Worker Health, Washington, D. C, U. 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1975.
- L. Cohen and H.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upports as bugg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 P. W. Nolte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in, 1994.
- M. Jr. Barrera, "Distinction between social support support concept, measures and models," American J. of Community Psychology, Vol.14, pp.413-455, 1986. https://doi.org/10.1007/BF00922627
- A. Vaux,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N.Y.: Praeger Publishers, 1988.
- 오순옥,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e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pp.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 F. M. Andrews and S. B. Withey,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1976.
- D. C. Shin and D. M. Johnson, "Avowed ha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5, pp.475-492, 1978. https://doi.org/10.1007/BF00352944
-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8권, 제2호, pp.415-442, 2003.
- 김연주,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자존감, 삶의 민족 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M. M. Morretti and E. T Higgins, "Relating self-discrepanccy to self-esteem: The contribution of discrepancies beyond actual-self ratings", J.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6, pp.108-123, 1990. https://doi.org/10.1016/0022-1031(90)90071-S
- M. Argyle and M. Martin, The psychological causes of happiness, In F. Strack, M. Argyle, and N. Schwarz(Eds.), Subjective well-being :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pp.77-100), Oxford : Pergamoon Press, 1991.
- C. D. Ryff, "Experience and well-being : Explorations on domains of life and how they matter", International J. of Behavioral Development, Vol.20, pp.193-206, 1997. https://doi.org/10.1080/016502597385289
- 최유진, 사회적 지지와 학업능력 지각이 무기력, 열등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임미향, 박영신, 김의철,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 성격, 자기효능감, 학업성취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4호, pp.255-283, 2007.
- 김현주,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 개발을 통한 청소년 안녕감 설명 변인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문은식,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9권, 제4호, pp.1087-1108, 2005.
- 전혜성 이희연, "진로 개발형 중년기 연성의 주관적 행복의 영향요인 연구", 아시아 여성연구, 제49권 제1호, pp.123-159, 2010.
-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미영, 사회적 낙인이 화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정승아, 자기불일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J. A. Blumenthal, M. M. Burg, J. Barefoot, R. B. Williams, T. Haney, and Zimet, "Social support, type a behavior, and coronary artery disease," Psychosomatic Medicine, Vol.49, pp.331-340, 1987. https://doi.org/10.1097/00006842-198707000-00002
- 김희정, 권정혜, 김종남, 이란, 이건숙,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후 성장 관련 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6권, 제2호, pp.197-207, 2008.
- 김진수, 사회적 지지 및 성장적 반추가 외상후성장애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김연주,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자존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2011.
- 박현주, 조긍호, "고등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우울, 불안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인간이해, 제24권, pp.127-148, 2003.
- 박현희, 자기불일치 및 자기통제력이 대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신혜진, 자기불일치와 목표성향 및 자기효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강석, 이지연,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과 자기침묵의 매개 효과", 중등교육연구, 제61권, 제4호, pp.811-839, 2013.
- 김현덕, "전문대생의 대학생활 적응도에 관한 연구",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03-113, 2000.
- 김종운, 이명희,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506-51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506
- 김완수,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 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e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pp.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 S. Cohen and G. McKay, "Social support, stress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A theoretical analysis", In A Baum, S. E. Taylor, and J. E. Singer(Eds), Handbook of Psychology and Health(pp.253-267), Hillsdale, NJ: Lwarence Erlbaum, 1984.
- 박미애, 김세경, 천성문,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재활심리연구, 제20권 제3호, pp.627-652, 2013.
- 박영신,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예비 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기질적 낙관성, 사회적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전략 영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총, 제16권 ,제2호, pp.113-138, 2012.
- 전원희, 조명주, 나현주,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 방식,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219-228,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219
- 김의철, 박영신, "한국인의 자기 인식에 나타난 토착문화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2권, 제4호, pp.1-36, 2006.
-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와 미래성취 의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성취관련 토착 심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1권, 제2호, pp.73-108, 2005.
- 고현석, 민경환,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자기개념 명료성과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5권 제1호, pp.825-846, 2012.
- 김효정,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자아정체감, 가족기능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76-38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376
- J. P. Tangney, P. E. Wagner, C. Fletcher, and R. Gramzow, "Shamed into anger? The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anger and self-reported aggression", J. of Personality and Soical Pshchology, Vol.62, pp.669-675, 1992. https://doi.org/10.1037/0022-3514.62.4.669
- M. Wells and R. A. Jones, "Childhood parentification and shame-proneness : A prelilinary study", The American J. of Family Therapy, Vol.28, No.1, pp.19-27, 2000. https://doi.org/10.1080/019261800261789
- G. Kaufman, The psychology of shame: Theory and treatment of shame-based syndromes, Springer Publishing Co, 1996.
- S. Swan and B. Andrews,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eating disorders and disclosure in treatment", Bristish J. of Clinical psychology, Vol.42, pp.367-378, 2003. https://doi.org/10.1348/014466503322528919
- M. M. Moretti and J. W. Vanessa, "Self-discrepancy in adolescence: Own and parental standpoints on the self", Merrill-Palmer Quarterly, pp.624-649, 1999.
- Graff, "Shame in supervision", Issues in Psychology, Vol.30, No.1, pp.79-94, 2008.
- 김남재, "대인불안과 사회적 자기불일치",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9권, 제3호, pp.473-483, 2000.
- D. C. Beidel, S. M. Tuner, and C. V. Dancu, "Psychological,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social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23, pp.109-117, 1985. https://doi.org/10.1016/0005-7967(85)90019-1
- 권호인, 함병주, 백종우, 서신영, 권정혜, "우울증 환자의 대인관게 특성: 증상과 독립적인가?",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9권, 제4호, pp.1117-1133, 2010.
- S. E. Krantz, "When depressive cognitions reflect negative realitie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9, No.5, pp.595-610, 1985. https://doi.org/10.1007/BF01173020
- T. Joiner, J. Katz, and A. Lew, "Harbingers of Depressotypic Reassurance Seeking: Negative Life Events, Increased Anxiety, and Decreased Self-Esteem",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5, No.5, pp.632-639, 1999. https://doi.org/10.1177/0146167299025005008
- C. M. Steele, The Psychology of self-affirmation: Sustaining the integrity of the self. In L. Berkowitz(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1, pp.261-302, New York; Academic Press, 1993.
- C. M. Steele, S. J. Spencer, and M. Lynch, "Self-image resilience and dissonance: The role of affirmational resources",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4, pp.885-896, 1993. https://doi.org/10.1037/0022-3514.64.6.885
- B. Verplanken, D. Trafimow, I. K. Khusid, R. W. Holland, and G. M. Steentjes, "Different selves, different values: Effects of self-construals on value activation and use", European J. of Social Psychology, Vol.39, pp.909-919, 2009. https://doi.org/10.1002/ejsp.587
- C. J. Armitage and R. Rowe, "Testing multiple means of self-affirmation", British J. of Psychology, Vol.102, pp.535-545, 2011. https://doi.org/10.1111/j.2044-8295.2010.02014.x
- 이난, 김헌수,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사회과학논총, 제23권, 제2호, pp.77-97, 2008.
- 이주은, 우울과 자기지향이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및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R. A. Thompson, M. F. Flood, R. Goodvin, "Social support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D. Cicchetti and D. Cohen (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Vol. III. Risk, disorder, and adaptation(2nd ed., pp.1-37), New York: Wiley, 2006.
- 구현경, 김종남, "내현적 자기애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내면화된 수치심, 부적응적 완벽주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5권, 제2호, pp.609-636, 2014.
- 이진숙, 현명호, "내현적 자기애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소극적 대처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4호, pp.161-18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