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fare worker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8초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실천수행에 미치는 영향 : 직무환경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Leadership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 the Practice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 Focused on Work Environment Mediated Effect)

  • 유영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53-360
    • /
    • 2019
  • 본 연구는 조직의 리더십과 직무환경이 사회복지사의 실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7월 4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 소재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205명의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실천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혼상태, 리더십(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직무환경(직무평가 공정성)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십과 실천수행의 관계에서 직무환경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실천수행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 성숙도에 따른 적절한 리더십 발휘와 더불어, 직무환경으로서의 직무평가에 대한 공정성을 증진시켜야 함을 논의하였다.

사회복지 업무 종사자의 HIV/AIDS 감염인에 대한 신체적・사회적 거리감 (Social Worker's Physical・Social Distance for People Living with HIV/AIDS)

  • 이영선;이인정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77-188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eling of distance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for people living with HIV/AIDS(PLWHA)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Methods: A total of 409 data were collected as convenience sampling from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s. Independent variables were socio-demographic data, AIDS related knowledge, authoritarian personality, prejudice for minority(handicapped, women, foreigner, old aged), cultural competency.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the significant variables from univariate analysis. Significant factors of physical distance were social prejudice against handicapped, knowledge about AIDS and critical awareness/knowledge about other culture. And significant factors of social distance were social prejudice against handicapped, knowledge about AIDS, authoritarian personality, critical awareness/knowledge about other culture. At last, we found that social prejudice against handicapped was the biggest factor for physical distance and authoritarian personality was the biggest factor for social distance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Conclusions: The area of social services for PLWHA have to be expanded. Physical and social distance of professionals to provide services to PLWHA and factors affecting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In addition,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specific training programs is need to be developed.

COVID-19 상황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사회복지사의 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erience of Prospective Social Workers Participated i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during COVID-19 Pandemic)

  • 배나래;김지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01-310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사회복지전공 재학생들의 실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의 의의는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재학생들의 실습 전후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탐색하여 위기 상황 속에서 효과적인 사회복지현장실습 매뉴얼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어려움으로는 일 학습 병행에 따른 시간조정의 어려움, 감염 우려로 실습 기관의 원활치 않은 실습상황, 제한된 실습 경험과 낮은 질의 수퍼비전, 실습기관의 선정에 대한 어려움, COVID-19 확산으로 인한 실습 중단의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현장실습 후 학생들이 인식한 실습의 긍정적인 경험으로는 사회복지에 대한 전공 본연의 의미를 이해하였고,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인권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또한 사회복지실천현장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라포형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주거복지에 대한 사회복지업무 종사자의 의식조사 연구 (Perception on Housing Welfare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 김영주;김미희;박남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19-12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rception on housing welfare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Specific research interest was focused on the area of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necessity, problems when execute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activating strategy of housing welfare. For the research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37 people who work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including social welfare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and social workers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nationwide by mail and e-mail and 40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program.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was the most important service to promote housing welfare. They also indicated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e lack of budget and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As main reasons of local government's passive attitude toward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respondents mentioned low interest level of housing welfare and lack of housing welfare education. Most of the respondents agree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curricula related to housing welfare and expected to spread interest toward housing welfare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소도시 사회복지관의 지역복지부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Community Servic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City)

  • 임상규;채희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87-94
    • /
    • 2007
  • The recent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has influence on the configuration of space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And so the relation of space and the service function required the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The social welfare center fills the role of family welfare, domiciliary care, community service etc. In such sense, this research explore the conditions of spatial configuration for the community welfare service unit of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city. For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space role and service function, the service program, the usage characteristics, the room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sum, the useful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colligated by case study. It could be used in the basic design criteria of community service unit for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city.

  • PDF

사회복지실천에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Centering Effect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between the Social Worker Empowerment and Social Work Self-Efficacy in Social Work Practice)

  • 박봉길;전선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341-369
    • /
    • 2006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 변혁적 리더십이 이들 관계를 조절하여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조사는 서울의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39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조사도구로는 사회복지사 역량강화,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변혁적 리더십 척도 등이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일반선형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역량강화와 변혁적 리더십의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역량강화 하위요소 가운데 전문적 활동과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사가 인지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수준이 높은 집단의 사람들보다는 낮은 집단의 사람들에게서 상대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활동이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전문적 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기관에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 PDF

조직문화, 임파워먼트와 신뢰와의 관계 (Inter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Empowerment and Trust)

  • 김영춘;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92-300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이 사회복지사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사회복지이용시설인 지역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로 총 656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사회복지사의 신뢰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신뢰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문화에서는 집단문화, 발전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에서 과업의미성과 자기결정력이 사회복지사의 신뢰수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조직이 집단 문화와 발전문화일수록,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임파워먼트 수준이 과업에 의미성을 부여하고 자기결정력이 높게 해야 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Worker's Experience in Community Practice -focused on community welfare centers-)

  • 최옥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301-324
    • /
    • 2003
  • 이 연구는 지역사회실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전 단계로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 실천 사례에 개입한 경험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실천 사례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라는 연구 문제를 풀어가기 위해 질적 연구인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지역사회실천 사례 경험이 있는 아홉 개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 11명과 1 대 1 또는 1 대 2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근거이론에 따라 면접 내용을 개방코딩한 결과 총 166개 개념으로부터 41개 하위범주와 여덟 개 범주를 추출하였다. 이들 범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실천 경험의 패러다임 모형을 만들었고, 이 모형을 근거로 '열악한 여건에서 의지적 노력으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여 발전적 경험으로 쌓이는 과정'이라는 핵심 범주를 추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실천 요체로서 주민, 지역사회, 사회복지사(자신), 사회복지관의 여건을 중시하고, 전체 과정에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아울러 지역사회실천 관련 교육과 훈련을 강화하기 위해 대학과 사회복지관이 협력하여 훈련 체계를 갖추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 PDF

Relationship among Job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ocial Worker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Kang, Jong-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3호
    • /
    • pp.57-63
    • /
    • 2012
  • Burnout is a sever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ndrome that occurs in response to prolonged stress at work. It brings enormous costs to both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because it negatively impacts employees' job attitudes and leads to undesirable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gative effects of job burnou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ocial work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re efforts by employees above and beyond what is expected. For the research, burnout was consisted of emotional exhaustion(EE), depersonalization(PA) and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DP) by Maslach and Jackson's MBI. This study analyzed 342 social workers in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Social Workers had negative correlation to burnou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specially, EE, PA and DP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PA and DP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finally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burnout strategies on the results.

소도시 사회복지관의 재가복지부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Domiciliary Car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City)

  • 한인웅;채희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84-92
    • /
    • 2005
  • The recent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has influence on the configuration of space for the social welfare center. And so the relation of space and function required the change of spatial configuration. The social welfare center fills the role of family welfare, domiciliary care, community organization etc. In such sence, this study explore the conditions of spatial configuration for the domiciliary and community care unit of social welfare centers in small city. For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space role and funtion, the service program, the usage characteristics, the room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sum, the useful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colligated by case study. It could be used in the design criteria of domiciliary care unit for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