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8초

복지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계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the effect that the welfare field training reaches to the course selection - Around th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

  • 이해경;조우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17-223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계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복지 현장실습이 전문가를 양성시키는 중요한 곳이기 때문에 지식, 가치, 실천적 기술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복지현장실습이 진로와 직결되기 때문에 사회복지학과의 교과수업 만족도, 기관 등 연계를 원하는 정도, 사회복지학과의 실습에 관한 요인인 실습의 만족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학과 실습생들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사회복지학과 요인과 진로선택의 관계를 규명한다. 셋째, 사회복지학과 대학(원)생들이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사회복지과 학생의 현장실습을 통한 지역사회복지의 주체적 참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participation plan in community welfare by the medium of the field practicum for social work student in undergraduate courses)

  • 이재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8권
    • /
    • pp.163-182
    • /
    • 2006
  • In social welfare arena field practicum has been an essential instrument and method for social work students to get socialized to the social work professional. However, to whom involve in the actual field practicum-universities(or colleges), institutes - have some difficulties. On the base of community welfare is a clinical approach in this times. To strengthen community welfare policy, the beginning of community welfare committee is such a good opportunity to tackle the problems of the field practicu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oblem of the field training are 1) a guidance of an individual social work institute, 2) the lack of social work institute, 3) the absence of the trainee's sense of values, 4) the bad conditions of the field practicum for social work students in undergraduate courses at the university(or college), and 5) the lack of professionalism for supervisor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ocial work suggestions to vitalize field practicum in community welfare. It is more likely important to 1) make the law of the field practicum for undergraduate social work courses, 2) make the coordinated programs of the field practicum for undergraduate social work course in community welfare, 3) enlarge the opportunity that a field specialist take further education, 4) support and carry of supervisor reeducation, 5) make the program development of trainee's personal experiences in social work values, and 6) social work professors make a practice in the social work field.

  • PDF

사회복지 분야 NCS기반의 교육요구 분석 (Educational Needs Analysis on NCS Based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 진선미;장혁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5-71
    • /
    • 2016
  • 본 연구는 2014년 개발된 사회복지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교육요구분석을 통해 사회복지분야 직무별 직무능력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시급성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교육요구조사 및 교육과정 개발 필요성이 높은 직무능력요소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공무원 583명, 민간종사자 644명 등 총 1,22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SPSS 18.0과 Microsoft Excel 2013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무원의 경우에는 사회복지개발 직무의 지역사회분석, 욕구조사, 지역사회자원구축,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회문제사정, 주민조직화, 복지계획수립의 6개 능력, 공공복지 직무의 복지특이민원관리, 자원발굴민간협력 2개 능력, 사회복지행정 직무의 사회복지조직재무관리, 복지계획수립 2개 능력 등 총 10개 능력이 능력개발 시급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위드 코로나(With COVID-19)시대 사회복지 현장실습에 대한 연구: 대학, 실습생, 실습기관, 실습성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in With COVID-19 Era: Focusing on Universities, Trainees, Training Institutions, and Practical Performance)

  • 손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405-41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위드 코로나(With COVID-19)시대 서울, 경기지역 사회복지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 대학, 실습기관의 사회복지 현장실습 진행상황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사회복지 현장실습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현장실습 교과목을 이수한 1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최종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드 코로나 시대 실습기관 운영상황은 '대면, 비대면' 같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부분적 비대면 실습교육이 이루어졌을때 학생들 만족도가 긍정적이었다. 기관에서 코로나로 반복적인 셧다운 임에도 불구하고 대면 서비스 참여 정도는 9회 이상, 수퍼비전 횟수는 6회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사회복지 현장실습기관 수퍼비전의 질수준의 경우는 '대체로 높다'는 응답이 많았다. 둘째, 위드 코로나 시대 실습성과, 실습생, 실습기관의 각각 수준을 알아본 결과, 실습기관요인과 실습성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셋째, 위드 코로나 시대 대학, 실습생, 실습기관요인이, 실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실습기관이 실습 성과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드 코로나 시대 사회복지현장실습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비대면과 대면 실습지도를 겸하는 교육시스템과 실습 수행 역량을 갖출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가 있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는 학생들이 현장실습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사회복지기관에 적극적인 협조요청과 실습기관 및 지도자 DB구축이 마련이 되어야 한다.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는 실습기관 수퍼바이저의 교육과 지원프로그램들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사회복지 학생들이 효과적인 실습을 위해 대학과 실습기관을 비롯한 정부부처 및 관련 기관들의 실습체계에 대한 다각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ocial work field training awareness on the impact of the research career)

  • 전성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19-128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전문직업인으로서 성장하는데 있어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G지역 4년제 대학교 사회복지전공학생 198명을 목적표집에 의하여 조사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대상 및 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및 기술분석, T-test, F-test, ANOVA, 상관관계(correlation), 회귀분석(regression)을 위해 SPSS 14.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으로 실습생이 개인의 의사가 반영(${\beta}=.197$)되는 것과 사회복지학 전공을 선택한 것에 대해 만족감(${\beta}=.205$)이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개인요인으로 자신이 사회복지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것에 만족감(${\beta}=-.291$)을 느끼는 경우와 부모가 사회복지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것에 만족감을 느끼는 경우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요인으로 개인의사 반영(${\beta}=.156$)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 cross-sectional study

  • Jinkyung Kim;Min-Sun Jeon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5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the health of residents and 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and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meets the needs of the field. Methods: Altogether, 249 employees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Data on the health status of residents/users, meal management, nutritional education, nutritional education needs, and awareness of nutritional education were obtained through online surveys.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eeds, and perceptions of the respondents, and independent t-tests and χ2 tests were perform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residential and daycare facilities. Results: The majority of residents/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en educating residents with residents/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sonal hygiene' was the most necessary topic, followed by 'obesity management' education. Regarding the methods of providing education, face-to-face lectures demonstrated a high demand. They responded that when nutrition education experts provide nutrition education to people with disabilities, they must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have the ability to determine appropriate nutrition for such people. The most appropriate nutrition program training would be twice a year, lasting 30 min to 1 h per training session. Conclusions: It will present a direction for operat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at meets their need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activ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ailored to welfare facilities for such individuals in Korea.

사회복지사 훈련프로그램의 내용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종합사회복지관의 종사자 훈련에 대한 적용 (Exploring Practice Tasks and KSA of Korean Social Worker : Strategics for Developing Training Contents.)

  • 조성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2호
    • /
    • pp.115-142
    • /
    • 2007
  • 현직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훈련 프로그램은 현장의 실천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회복지사가 실제로 어떤 과업을 수행하고 동시에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역량(KSA)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이를 훈련에 반영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실천과업과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전국의 사회복지사 중 340명을 표본추출하여 실천현장에서 활용되는 111개의 실천과업과 업무에 필요한 89개의 지식 기술 능력(KSA)을 가지고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실천영역은 '직접서비스', '지역사회서비스', '조직전략 및 인적자원관리', '간접서비스' 영역으로 분류되고, 각 영역별로 중요한 실천과업들이 선정되었다. 동시에 실천현장에서 요구되는 지식, 기술, 능력이 중요도, 필요도, 보유수준 등에 따라 우선순위로 제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 훈련 프로그램 내용개발을 위한 제안들을 제시하였다.

  • PDF

사회복지분야의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Patterns of Social Workers to Corporate Philanthropy in Social Work Field)

  • 박경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109-136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사회복지분야의 새로운 자원제공자로서 부상하고 있는 기업 사회공헌의 주체적 파트너로서 사회복지사들의 사회공헌활동 개념에 대한 인식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Q 방법론을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공생적 파트너십 유형', '사회적 당위유형', '전략적 실리추구 유형' 등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이 유형들은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고전적 관점, 사회-경제적 관점, 현대적 관점, 자선적 관점들을 절충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의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모호하게 이해되었던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개념적 인식들을 체계적으로 밝히고 유형화함으로써 관련 이론, 실천, 교육 등 제반 영역 내에서, 그리고 각 영역들 간의 논의와 소통, 협력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사회복지근무자의 이직의도 관련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 유용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38-34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근무자의 이직의도 요인을 분석하여, 이들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한다. 조사결과 이직의도가 있다는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용시설과 기타시설에서 이직의도가 있다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직의도 이유는 새로운 일에 도전하고 싶어서, 근무조건 열악(과도한 업무), 낮은 임금수준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모두 근무조건 열악과 낮은 임금수준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직 희망분야에서는 타 분야로의 이직보다는 사회복지분야 내에서의 이직을 더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근무자들의 이직의도를 낮추는 방안으로 근로시간 단축, 복리후생제도의 확대시행, 자기계발과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처우 및 지위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한국 사회복지 행정교육의 발전방향 : 사회복지 기관관리자 양성을 중심으로 (Future Directions for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Training Students as Manag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 최유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73-2584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제공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복지 행정교육 강화의 필요성과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기관평가, 성과관리 등 서비스 제공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기관관리자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2,479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한국사회복지사 기초실태 및 인식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사회복지사가 일상적으로 어떠한 직무를 수행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직무분석결과, 사회복지기관에서 행정 및 관리업무는 전체 업무 중의 4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조직, 인적자원관리, 기획 및 재정관리 등의 기관운영 업무의 중요도와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학 교육과정에서 기관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사회복지사는 관리자로서 대부분의 생애경력을 쌓아 나갈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행정교육의 목표는 실천가에 대한 지원활동을 넘어서, 관리자로서 기관관리 지식과 기술을 익히는 것으로 재정립되어야 한다. 기관관리자로서 조직환경과 조직내부 운영에 대한 폭넓은 안목을 기르고, 기관관리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전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부교육, 전문대학원교육, 실습교육 등 각종 교육과정에서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