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in With COVID-19 Era: Focusing on Universities, Trainees, Training Institutions, and Practical Performance

위드 코로나(With COVID-19)시대 사회복지 현장실습에 대한 연구: 대학, 실습생, 실습기관, 실습성과를 중심으로

  • 손희원 (수원여자대학교 사회복지과)
  • Received : 2022.04.11
  • Accepted : 2022.05.12
  • Published : 2022.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gress of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at students, universities, and training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With COVID-19 era, and to suggest effective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operation plan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81 people who completed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courses, and the final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situation of practice institutions in the era of With COVID-19 was the highest when they were conducted together with 'face-to-face, non-face-to-face', and student satisfaction was positive when partial non-face-to-face practice education was conducted. Despite repeated shutdowns due to COVID-19,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face-to-face services was more than 9 times and the number of supervision was more than 6 times, and many responded that the quality of supervision, a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institution, was "generally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practice performance, trainees, and training institu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institution factors and practice performance, an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the university, trainees, training institution factors, and practice performance. Therefore,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of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in the era of With Corona, programs to promote and strengthen non-face-to-face exchanges at the university level are necessary, and an education system that also provides non-face-to-face practice guidance suitable for the With Corona era. In addition, various support for the practice system of government ministries and related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and practice institutions,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위드 코로나(With COVID-19)시대 서울, 경기지역 사회복지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 대학, 실습기관의 사회복지 현장실습 진행상황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사회복지 현장실습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현장실습 교과목을 이수한 1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최종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드 코로나 시대 실습기관 운영상황은 '대면, 비대면' 같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부분적 비대면 실습교육이 이루어졌을때 학생들 만족도가 긍정적이었다. 기관에서 코로나로 반복적인 셧다운 임에도 불구하고 대면 서비스 참여 정도는 9회 이상, 수퍼비전 횟수는 6회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사회복지 현장실습기관 수퍼비전의 질수준의 경우는 '대체로 높다'는 응답이 많았다. 둘째, 위드 코로나 시대 실습성과, 실습생, 실습기관의 각각 수준을 알아본 결과, 실습기관요인과 실습성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셋째, 위드 코로나 시대 대학, 실습생, 실습기관요인이, 실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실습기관이 실습 성과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드 코로나 시대 사회복지현장실습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비대면과 대면 실습지도를 겸하는 교육시스템과 실습 수행 역량을 갖출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가 있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는 학생들이 현장실습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사회복지기관에 적극적인 협조요청과 실습기관 및 지도자 DB구축이 마련이 되어야 한다.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는 실습기관 수퍼바이저의 교육과 지원프로그램들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사회복지 학생들이 효과적인 실습을 위해 대학과 실습기관을 비롯한 정부부처 및 관련 기관들의 실습체계에 대한 다각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l. 서론

사회복지는 실천학문으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대학교육과 실천현장에서는 역량 있는 사회복지사로 양성하는데 역할을 다해야 한다. 사회복지 현장실습은 사회복지 교육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교과목이며, 사회복지 현장실습을 통해 학생들은 사회복지사로서의 실천역량을 갖추고 진로를 선택하는 주요한 경험의 장이다[1].

그러나 2020년 코로나 사태로 인해 2022년 현재까지, 우리나라 대다수 사회복지현장은 시설운영 중 셧다운을 반복하고 있으며, 대면 서비스도 최소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장에서는 사회복지현장실습 운영을 안하거나, 법정 현장실습 이수시간(160시간)을 채울 수 없어, 직접실천과 대학의 간접실천을 병행하는 등 사회복지현장실습이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습생을 받고 있는 기관이라 할지라도 코로나 상황에서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대면 서비스나 교육 위주의 현장실습, 또한 160시간 실습을 80시간만 운영하고 있는 기관들이 많아지면서, 실습생들은 예비사회복지사로서 실무역량을 갖추는데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서는 2020년-2022년 2월까지 사회복지현장실습 운영에 직접실습과 간접실습을 지시하였으나 코로나 19가 지속이 되면서 정기적으로 실습교육이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 구체적인 지침이 미흡하며, 이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 팬데믹현상은 지속될 것이며, 이러한 재난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위드 코로나 시대에 역량 있는 예비사회복지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정부, 대학, 실습기관, 협회 등 사회복지현장실습체계를 갖추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이 필요하며, 대학과 실습기관이 질 높은 사회복지현장실습 운영을 위해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위드 코로나 시대 사회복지 현장실습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교육, 학생요인, 현장실습기관, 실습성과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위드 코로나 시대 사회복지실습과 관련하여 대학, 실습생, 실습기관, 실습성과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둘째, 위드 코로나 시대 대학요인, 실습생 요인, 실습기관, 실습성과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위드 코로나 시대 대학, 실습생, 실습기관요일이 현장실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를 통해 앞으로 효과적인 사회복지실습 방안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위드코로나(With COVID-19)

전 세계가 위드 코로나(With COVID-19) 시대 팬데믹 상황을 겪으면서 사회,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전례 없이 많은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많은 분야가 비대면 활동과 원격교육, 원격진료언택트 소비, 재택근무, 사회적 거리 두기 등 위드 코로나 시대에 살아가고 있다. 위드 코로나 시대에는 사회복지교육에 있어 대학, 현장, 학생들 모두에게 극도의 혼란을 주었으며, 온라인교육 전환과 비대면 교류를 위한 새로운 환경을 구축하거나 대안을 마련하는데 난항을 겪고 있다. 특히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코로나로 인해 시설운영과 셧다운이 반복되거나 운영을 축소하는경우가 있어 예비 전문가로서 자신에 대한 평가나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이로 인해 대학과 각종 사회복지협회에서는 온라인 교육시스템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사회복지 현장실습에 대한 지원방안과 현장실습은 아직 구체화 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위드 코로나 시대 대학과 실습기관, 실습생, 실습성과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효과적인 실습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2. 사회복지현장실습

사회복지현장실습은 필수이수 교과목으로 사회복지사업법에 명시되어있고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투입되기 전,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중요한 교육과정이다[2]. 사회복지과 학생들은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해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고, 새로운 기술, 체험을 습득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갖는다. 자기인식과 통찰력, 사회복지사로서 전문직 정체성을 확신하는 중요한 경험의 장이라고 할수 있다[3]. 실습을 통해 사회복지에 대한 정체감을 확립함으로서[4I, 능력과 자질을 평가받을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적인 자질을 검증받을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5].

2021년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현황을 보면 2021년 2월 기준으로 총 1,223,210명으로 한국사회복지협회는 보고하고 있으며, 그 중 사회복지학 전공 교과 이수만으로 취득이 가능한 사회복지사 2급은 1,047,235명 이다[6]. 사회복지지 관련 교과목 학점기준은 대학(전문대학포함)은 필수과목 10과목 30학점 이사, 선택과목 4과목 12학점 이상이며 2004년부터 현장실습을 포함하고 있다[7]. 보건복지부령 제283호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 개정(2019년 8월 12일 개정, 2019년 10월 1 일 시행)은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질적 담보를 위해 160 시간 이상의 실습 시간, 실습 실시기관, 기관실습 지도자의 자격요건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존엔 사회복지사업법에 의거한 시설에서 실습이 모두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실습지도사 2명 이상이 있어야만 보건복지부장관이 선정한 기관에서 실습을 인정받을 수 있다. 그러나 개정법이 시행된 지 얼마되지 않아 사회복지 현장실습은 위드코로나 시대 위기에 직면하여 한시적으로 사회복지 현장실습 이수기준을 완화할 수 있도록 2020년 1월 1일이후 사회복지사 자격증 관련 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는 현행 규정 160시간 이상에서 직접실습 80시간, 간접실습 80시간으로 현장실습 이수 인정 기준이 완화되었다[8]. 그러나 기관과 학교, 실습생들에게 혼란과 실습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미국의 경우 미국사회사업교육협의회(Council of Social Work Education)에서는 실습교육 기준이 최소 400시간, 대학원은 최소 900시간으로 규정하고 있다. 실습교육체계는 학생, 실습 지도교수, 실습지도자, 기관의 실습체계, 교육기관 등 역할이 있어야 하며, 실습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역할, 클라이언트 문제 이해 기관의 종류와 기능 및 구조 등을 습득하게 된다[5]. 학교에서는 교육과 실천현장의 보조역할 수행, 사회복지교육과정의 효율성, 효과성을 평가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9], 이론학습 이외에 학교에서 배운 기술, 지식등을 실천현장에서 접할 수 있도록 한다. 학교와의 연계에서는 이론, 실무에 대한 정보교환 기회를 갖도록 하고[10] 있으나 코로나 19 이후로 미국의 모든 수업이 온라인으로 전환이 되었고 미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는 실습과 관련해서 실습 필수시간 축소와 비대면, 혼합형태의 실습 운영을 허용하였다. 실습시간을 기존 필수 요구시간 85%을 채우면 충족하고 기관에서는 세미나, 과제, 화상상담, 전화상담, 비대면 교육 등으로 대체 하고있다[11]. 따라서 위드 코로나 시대에 이 데 맞는 교육 과정, 현장실습이 이루어져야 하나 사회복지 현장실습에서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 놓여져 있다. 이에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는 사회복지 현장실습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체계적인 실습구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실습생, 실습기관, 대학

사회복지현장실습은 학생들이 개인적인 학습을 충족시키기 위해 학습경험의 장을 만들어주고[12], 실천을 통해 비판, 지식 활용, 활동적으로 참가하도록 한다 [13]. 또한 학생들은 실습기관 이해, 역할 점검 및 시행, 실습기관의 전문적인 실습지도자와 실습지도 관계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우게 된다[14].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적 자아인식을 정진할 수 있게 된다. Hamilton & Else(1983)는 실습생이 성취해야 할 목표로[15], 첫째 실습생이 이론에 대한 이해를 증진과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둘째, 자신의 전문적인 발전에 있어 사정하고 분석 셋째, 전문직 정체성 발전 넷째, 자신의 실천을 통제할 수 있는 이해와 전문적 가치, 다섯째, 이론과 실천에 비판적 접근을 발전하고 새로운사고를 수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실습생은 실습역할을 구체적으로 점검하고 성실한 실습과제, 실습과제 제출, 업무수행 등 문제 상황 개입을 충실히 하고 수퍼바이저의 수펴비전을 적극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16]. 그러나 위드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이 늘어나고 있는 대학교육, 축소된 실습기관을 통해 학생들은 이론 활용의 한계와 전문직 정체성, 새로운 사고수용 능력, 업무수행 및 문제 상황개입 경험 등이 부족하여 정체성 혼란과 지로에 대한 갈등이 야기되는 상황에 놓일 수 밖에 없다.

실습기관은 학생들이 학습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중요한 장으로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환경과 경험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예비사회복지사로서의 효과적인 경험이 아닌, 단순히 현장경험이 될 수 있다. 실습지도자는 역할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과 실습생을 위한 공간, 장 비, 교통, 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적극적인 협조 자세가 중요하다[9]. 적합한 실습기관의 일반적 특 성, 실습지도에 필요한 조건을 살펴보면 실습기관들의 건전한 기준과 일치, 프로그램과 재정적 지원이 안정성지역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혁신적인 프로그램과 실천, 다양한 학생들을 균형 있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에게는 수당을 지급, 진취적인 실습기준에 부합하도록 계속 노력하며, 학생에 대한 공식적인 안전절차와 규정, 학교와 실습기관과의 협력요일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실습교육에 학교와 장기적인 관계유지도 필요하다[16]. 기관의 실습환경 구성기준에서는 학습에 도움이 되는 촉진적 환경을 제공, 실습지도자가 자격에 부합되는 직원, 학교에 교과과정에 적합한 서비스 영역과 학생의 전공, 부전공의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실천방법론과 연결되는 교육의 기회 제공되어야 한다[17]. 학생들이 참여하는 실습내용은 실습교육과정 속에 기관에서 학습하고 경험 할 수 있어야 한다[18]. 실습 수퍼비전은 사회복지전문적 실천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현장의 실습지도자가 실습생을 훈련하는 것으로써, 기관에서 실습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실습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한다. 실습수퍼비전의 내용은 행정적, 교육적, 지지적 기능의 세가지 분류방식으로 오랜 역사가 있다[19]. 첫째, 행정적 수퍼비전은 조직의 구조와 실습생 활동에 필요한 기관자원을 이용하는 통로를 공급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다[20]. 둘째, 교육적 수퍼비전은 전문가적인 교육적 이론, 지식의 습득, 방법론, 기술발전을 위한 원조, 전문적 발전의 기회제공[21], 셋째, 지지적 수퍼비전은 실습생들에게 불안, 긴장완화, 회복, 편안함과 지지와 자질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노력하기 위해 재충전, 동기부여 해주는 것이다[10]. 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에서 수퍼바이저가 실습생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실습생은 수퍼바이저에게 직간접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퍼바이저와 관계가 원만하고 상호교류가 이루어질 때 건강한 실습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16]. Fortune 외는 실습생과 수퍼바이저의 관계는 실습생들의 사회복지 실습 경험 중 만족과 관련된다고 하였다[22]. 실습생과 많은 영향을 주고 받는 수퍼바이저로부터 받는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는 실습성과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실습지도자는 실습기간에 많은 원천이자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났다[23]. 따라서 실습기관에서는 실습지도자의 역할, 적합한 실습환경, 수퍼비전, 실습내용에 따라 실습생으로 하여금 전문적인 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을 확인시켜주는 중요한 경험의 장으로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는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은 사회복지 현장실습 있어 실습기관, 실습생과의 관계에 유기적인 역할을 하며, 실습생이 실습기관에서 성공적인 실습 진행을 위해 다양한 역할을 한다[24]. 대학은 실습생과 기관의 중간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기관의 특성과 실습생들의 수준을 정확히 이해해야 하며[25], 실습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실습기관 제한점들에 대해서도 살펴봐야 한다[24]. 그러나 위드코로나 시대 비대면 교육이 증가하고, 사회복지 기관들이 셧다운을 반복하면서 학생들의 실습을 받지 않는 기관들이 늘어났다. 이로이해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실습지도에 난항을 격고 있으며, 실습을 받아주고 있는 기관 일지라도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대면 서비스, 교육위주의 실습하는 경우가 많아, 학생들의 불만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위드 코로나 시대 효율적인 현장실습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는 현장실습교육에 대한 목표와 교육과정 구축을 체계적으로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현장실습 수업을 최대한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퍼비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16].

4.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사회복지현장실습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학교 이론교육과 현장의 실습교육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연구에서 전진호[26]는 학교 이론교육. 현장의 실습 교육, 전문직 실천 영역에서 많은 문제가 있다고 하였으며, 사회복지 전공 학생들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실습교육을 강화하고 이론과 현장과 연계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윤영한[27] 연구에서는 학교에서 실습과 이론교육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습교수와 실습수업, 수퍼바이저 및 수퍼비전이 현장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현장실습을 수행하는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사회복지 현장실습에서 수퍼비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에서는 한주빈 외[28]는 학교와 현장의 거리를 좁히고, 학생들은 실습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할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수퍼바이저 만족도와 실습지도교수, 수퍼비전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명숙[23]은 208 명 학부생들 실습과 관련한 조사에서 기관지도자의 교육적 슈퍼비전은 실습학생의 사회복지 전문성에 대한 자질과 능력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희자[16]는 질적으로 수준이 높은 실습을 하기 위해 실습기관과 기관 슈퍼바이저, 실습지도교수 및 실습세미나, 실습생 자신이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실습을 위해 서로 협력하고 노력하는 관계를 형성하는게 중요하다고 하였 다. 정수경[29]은 실습슈퍼비전 시간이 많을수록 실습생의 실천 수행능력이 증가하며, Sherer and Pereg-Olenl3이은 실습지도자와 실습지도교수가 동일한 맥락에서 실습을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 다. 장혜경·유영준(31)은 실습생이 인식한 실습성과에 있어 실습지도자의 역할이 중요하며, 조상미·전종설[32]은 현장실습지도자의 슈퍼비전 기능이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실습 슈퍼비전 기능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서울시 사회복지관협회[331는 회원기관 실습지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전문적인 실습내용이나 계획서상에 제시된 행정업무 외에 단순 업무보조의 실습업무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실습교육에 프로그램기획, 사례관리 등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현장실습지도자와 실습지도 교수 간 실습지도와 관련된 인식 연구에서는 현장실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해 실습기관과 대학의 일치를 강조하고 있으며[34], Scannapieco and Kelli[35]는 학교와 현장의 협력이 중요함을 나타냈다. 조수민[36]은 사회복지현장실습을 경험하는 학생들이 현장실습을 통해 사회복지 역할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으며, 전문직으로서의 사회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고 하였다. 황진현[37]은 부모님의 전공만족도, 실습기관에서 받는 수퍼비전 정도, 실습과제에 대한 충실도, 수퍼비전 정규성이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과의 유의미한 영향이 있으며, 실습생의 실습전 준비가 실습만족도에 영향이 있다고 하였다. 이는 실습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실습이 원활하게 진행되어질 수 있도록 사전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388는 대학은 실습기관 접촉과 실습상황을 검토하고 최소 1회 이상 기관방문, 전화, 온라인의 방법 등으로 학생과 실습지도자와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유지하며, 실습기관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라고 권고하였다. 학생들은 실습 전에 실습하고자 하는 기관에 자원봉사를 통해 기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솔선수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위드 코로나 시대 사회복지 현장실습 관련 연구에서는 김희수[39]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을 통해 함양해야 할 예비사회복지사의 역량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에서 역량이 중요하며, 코로나 19 지속과 그로 인한 사회적 변화를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실습교육의 방식이 어떠해야 할지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 논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최지선[40] 연구에서는 코로나로 인해 사회복지 가치를 재정립하는 과정, 대학의 사회복지교육과정도 상당한 재편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비대면 교육의 확산으로 코로나 19 대응 로드맵과 교육과정이나 컨텐트별 대응, 포괄적이고 통합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유현경 등[41]은 사회복지관의 실습지도자를 대상으로 한연구에서, 코로나 19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실습지도자들을 위해 이들이 활용할 수 있는 명확한 지침, 실습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실습관련 기관들 소통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이가영[42] 연구에서는 현장실습은 학생이 전공공부 실무경험을 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이며,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유일하게 실무경험과 사회복지사 활동가로 배출할 수 있고, 기관에서는 좋은 후배, 현장 인재 양성하는데 좋은 기회라고 하였다. 한주빈[43] 연구에서는 실습성과, 실습생, 실습기관, 실습기관의 수퍼비전, 학교요인을 알아본 결과 각각의 요인의 관계에서 학교요인은 대부분의 경우 조절효과로서 작용하지 못하고, 조절효과가 있다고 검증된 부분에 있어서는 적은 차이의 영향력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학교에서 진행되는 실습교육, 프로그램의 재탐색, 그에 따른 수정 및 보완활동에 대한 욕구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사회복지 현장실습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대다수 연구들은 코로나 이전 사회복지 현장실습에 대한 연구가 대다수이며, 코로나 이후 연구에서는 학회에서 간략하게 집필한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에 대한 함양할 점, 코로나로 인해 사회복지 가치 재정립, 실습지도자 관련 연구들이 대다수였다. 위드 코로나 시대학교교육과 실습기관에서는 대면과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반복적인 기관의 셧다운으로 이에 대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은 가장 중요한 교과목으로 위드 코로나 시대 대학, 실습생, 실습기관, 실습성과 현황이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는 효과적인 사회복지현장실습 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대학생으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동의를 구한 사회복지과 학생 중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편의 표집 하였다. 특히 코로나 이전과 이후 대학 생활을 모두 경험해 본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답변을 해준 205명중 무성의하거나 부적절하게 응답한 설문지 24부를 제외하고 18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2. 자료수집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7 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구글 앱을 통해 사회복지 현장실습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지역 사회복지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문제를 고려하여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충분히 안내하고, 연구 참여의 자발성과 익명성에 대해 명시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연구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 참여를 중단하거나 거부할 수 있음을 안내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이 url로 링크하여 작성한 내용은 학문적 연구 자료로만 활용한 뒤 폐기처리 할 것이며, 통계법 제8조에 의거 하여 개인정보가 누설되지 않는다는 점등을 안내하였다.

3. 연구도구

1) 학생요인

학생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학생 개인적 특성, 실습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 설문으로 구성된 한주빈[43] 측정도구를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성별, 나이, 사회복지 전공여부, 전공선택 이유, 전공선택 만족도는 사회복지 전공선택 만족도, 코로나상황 실습기관 선정 시 의사반영정도, 사회복지전공 선택에 대한 부모님의 만족도, 코로나상황 사회복지 전공 교과 내용과 수준에 대한 만족도, 코로나상황 실습 관련 자원봉사 경험유무, 실습 이전 사회복지 분야로서의 진로계획 및확신 여부, 진로계획 준비 여부 등으로 구성되었다.

표 1. 학생요인 측정도구 구성

2) 실습기관요인

실습기관요인은 실습생의 효과적인 실습을 위해 기관 차원에서 실습방식, 실습환경 수준과 실습내용 만족도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위드 코로나 시대 실습환경과 실습내용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김주리[44]가 개발한 실습기관 관련 측정도구를 위드 코로나시대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실습 현황, 실습환경 수준실습 내용 만족도로 구성하였다. 이는총 21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Likert 4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표 2. 실습기관 요인 측정도구 구성

3) 실습기관의 수퍼비전 요인

실습기관에서 수퍼바이저와 실습생의 관계, 학생들의 수퍼비전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실습생과 실습수퍼바이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Morris(1985)의 도구를 재구성한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45], 수퍼비전 만족도는 Shulman(1982)이 개발한 척도를 정수경[29이 재구성한 척도를 본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퍼비전 척도는 4점 척도 총 2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문항은 수퍼바이저와의 관계에 공감적 이해, 존중수준, 일치성의 3가지 차원에서의 수퍼바이저와 실습생 간 관계, 수퍼비전 만족도는 지지적 관계, 행정적 수퍼비전, 교육적 수퍼비전, 학교교육 인지 등으로 구성되었다.

표 3, 실습기관의 수퍼비전 요인 측정도구 구성

4) 학교요인

학교요인은 실습 진행에 있어서 실습생과 실습기관의 사이에서 효율적인 실습과정을 위하여 기관과의 연계, 학생의 배치, 실습교육 등의 역할을 하는 교량적 변인으로서 역할을 의미한다. 실습수업만족도과 실습수업 특성 및 실습지도 교수특성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한주빈[44]이 재구성한 척도를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학교실습교육현황, 학교 실습수업 만족도, 학교 실습 지도교수 만족도 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표 4. 학교요인 측정도구 구성

5) 사회복지 현장실습성과 측정

사회복지 실습성과는 실습의 학습목표 실행과 실습에서 해야 할 내용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대학과실천현장 모두의 지도 효과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실습 목표달성도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교과목 목표와 능력기반모델에 근거한 강흥구[46]가 개발한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실습의 목표달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체성형성정도, 문제해결능력, 자원활용능력, 업무수행능력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강홍구[46]의 연구에서 Cronbach's a값이 각각 0.915, 0.897이었으며, 본 연구의 사회복지 현장실습과측정 도구의 구성은 [표 5]와 같다.

표 6. 사회복지 현장실습성과 측정 도구의구성

4. 자료처리방법

위드 코로나(With COVID-19) 시대 효과적인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된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분석 (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 간의 신뢰도를 측정하고 예측 가능성, 정확성 등을 살펴 보았다.

셋째, 위드 코로나 시대 실습생, 대학, 사회복지현장실습기관의 운영 관련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실습성과, 실습생, 실습기관, 대학의 각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실습성과, 대학요인, 실습생, 실습기관은 서로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V. 연구결과

1. 실습관련 현황

1) 일반적 사항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을 살펴보면, 여자 167명 (92.3%), 남자 14명(7.7%)로 조사되었다. 연령의 경우21세 60명(33.1%), 20세 55명(30.4%), 22세 47명 (26.0%) 순으로 연구참여자의 89.5%가 20대 초반이었 다. 사회복지를 전공한 이유로는, '사회복지 학문에 대한 관심 때문에' 49명(27.1%), '타인을 돕고 싶어서 43 명(23.8%), '성적에 맞추다 보니* 33명(18.2%), '주변사람들의 권유로 31명(17.1%) 순으로 나타났다.

표 7.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2) 사회복지현장실습기관 실습운영 현황

위드 코로나 시대 기관에서 이루어진 실습방식은 '대면+비대면'이 80.6%로, '대면'은 18.9% 순으로 나타났다. 실습방식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 비대면 실습교육이 부분적으로 진행되었을 때 만족도는 긍정적(대체로 그렇다+매우 그렇다)이라는 응답이 74.7%를 차지하였다. 대면서비스 참여 정도는 9회 이상이 60.5%(104명)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장실습 중 비대면 서비스 참여정도는 1~2회가 70.8%(119명)로 높게 나타났다. 자원봉사 유무에서는 '무'가 119명(65.7%)로 가장 높았으 며, 졸업 후 진로계획 수립 및 확신에서는 대체로 그렇다'가 81명(44.8%), 별로 그렇지 않다' 68명(37.6%)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에서의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횟수는9회 이상 109명(60.6%)로 가장 많았으며, 수퍼비전 질 수준은 대체로 높다'가 5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지적 관계형성에서는 '대체로 그렇다'가 50.3%, 교육적 수퍼비전은 대체로 그렇다'가 5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관의 수퍼비전 만족도는 대체로 그렇다가 98명(5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습오리엔테이션 진행 여부는 진행했다가 181명 (100%)이며, 진행방식은 비대면 81명(44.8%)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대면+비대면이 62 명(34.3%) 순으로 나타났다. 실습비 지원 여부는 전액지원이 79명(43.6%), 지원하지 않았다가(37.0%)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기관과의 연계에서는 그렇지않다 가 69.6%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도교수의 기관방문은 하지 않았다가 103명(56.9%)로 높게 나타났다. 고충 처리에서는 대체로 그렇다가 98명(54.1%)로 가장 높았으며, 실습지도 교수의 수퍼비전 횟수는 1~2회가 146명(80.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만족도는 대체로 그렇다가 92명(50.8%) 가장 높았으며, 별로 그렇지 않다 31.5%, 매우 그렇다 27명 (14.9%) 순으로 나타났다.

위드 코로나 시대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실습기관에서의 수퍼비전의 횟수가 많을수록,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시사되어 진다.

표 8. 위드 코로나 시대 기관의 현장실습운영현황

3) 성별에 따른 실습성과, 대학요인, 실습기관요인 실습생 차이

실습생들의 성별에 따른 사회복지현장실습성과, 대학 요인, 실습기관요인, 실습기관 수퍼비전 차이를 [표 10] 과 같이 살펴보면 유의수준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10. 성별에 따른 실습성과, 대학요인, 실습기관요인, 실습기 관 수퍼비전 차이

4) 전공선택 이유에 따른 사회복지현장실습성과, 실 습기관요인 분석

대학요인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이유에 따른 사회복지현장실습성과, 대학요인, 실습기관요인, 실습기관 수퍼비전에서 '대학실습수업만족도)의 경우 취업이 잘 될 것 같아서' 3.3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적에 맞추다 보니'가 2.97점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p4.01). 다른 항목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11.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이유에 따른 사회복지현장 실습성과, 대학요인, 실습기관요인의 관계

2. 실습성과, 실습생요인, 실습기관요인, 대학요인 의 각각의 수준

사회복지 실습성과, 실습생요인, 실습기관요인의 각각의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복지현장 실습성과, 실습생요인, 실습기관요인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습기관 요인과 실습성과 요인이 r=.143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따라서 실습기관요인과 실습성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고, 나머지 변인은 유의한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표 12. 실습성과, 실습생, 실습기관, 대학요인 상관관계 분석

*p<.05, **p<.01, ***p<.001

3. 실습성과, 학교요인, 실습생요인, 실습기관요인 의 연관성

사회복지 실습성과, 대학 요인, 실습생 요인, 실습기관 요인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표 13]과 같이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사회복지현장실습성과, 대학요인, 실습생요인, 실습기관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변수 간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분산팽창계수(VIF:variable inflation factor)와 허용치(tolerance)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가 10이상이거나 허용치가 0.1보다 작으면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본 분석에서 변수들의 VIF값은 1.015~1.029로 모두 10 이하였고, 허용치는 .972~.987로 0.1보다 크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볼 수 있다. 설명력은 27%로 향상되었다. 독립변인 실습기관요인이 B=.234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수 있다(p<.01). 대학요인, 실습생 요인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실습기관이 긍정적일수록 실습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3. 대학요인, 실습생요인, 실습기관요인이 실습성과에 미치 는 영향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p<.05, **p<.01, ***p<.001

V.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위드 코로나(With COVID-19) 시대 서울, 경기지역 사회복지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 대학, 실습기관의 사회복지 현장실습 진행 상황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사회복지 현장실습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위드 코로나 시대 실습했던 실습기관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면, 기관에서 코로나로 반복적인 셧다운상황임에도 불구하고'대면과 비대면'을 병행한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비대면 실습교육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만족도 결과는 긍정적이었다. 대면 서비스 참여 정도는 9회 이상, 수퍼비전 횟수는 6회 이상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현장 수퍼비전의 질에 대해서도 '대체로 높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위드 코로나 상황에서도 실습을 진행한 기관에서는 대면 서비스를 경험하도록 기회 제공 및 지속적인 수퍼비전을 제공하였고, 대면서비스 참여와 수퍼비전의 횟수가많을수록 학생들의 만족도가 긍정적임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습기관의 환경과 실습교육 수준, 기관에서 제공하는 수퍼비전의 수준이 실습성과와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임을 감안할 때, 실습기관은 실습업무에 대한 책임성과 교육환경이 중요하다는 한주빈[43] 연구와도 일치한다. 또한 사회복지 현장실습 교육을 통해 지식중심교육에서 역량중심 교육으로 변화되어야 하고, 특히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본다[39].

전공선택에 따라 실습성과, 대학요인, 실습기관요인, 실습기관 요인이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실습기관 수퍼 비전에서 '대대실습수업'의 경우 '취업이 잘 될 것 같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요인 전체의 경우에서도 '취업이 잘 될 것 같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사회복지현장실습은 학생들이 진로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해경[5] 연구에서도 진로 결정 과정에서 대학의학과를 선택하고 적용하는 과제는 개인의 대학 생활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직업선택과 장래의 삶에도 중요한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대학생들의 진로에 있어 실습은 진로 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수적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은 현장실습을 통해 체계적이론 전달과 훈련 및 현장을 경험하면서 사회복지의 전문직 구성요소를 습득하고, 사회복지를 전문직으로 인식하는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사회복지를 전문직으로 인식하는 정도는 사회복지사 각자의 전문성 인식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대학요인에 취업 부분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47]. 이가영[42] 은 코로나 19시대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소고'에대한 연구에서 현장실습이 고려할 세 가지 측면으로 학생은 전공공부, 실무경험을 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이며,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유일하게 실무경험과 사회복지사 활동가로 배출할 수 있고, 기관에서는 좋은 후배, 현장인재 양성하는데 좋은 기회라고 하였다. 이는 사회복지 현장실습을 통해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을 인식하고 진로에 결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시사할 수 있다.

둘째, 실습성과, 실습생요인, 실습기관요인, 각각의 수준을 알아본 결과 실습기관요인과 실습성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나, 나머지 변인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관요인 중 수퍼비전의 수준이 실습성과와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이전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대학의 지도교수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에서는 실습기관이 중요한 것으로 이는 위드 코로나 시대 실습을 받지 않는 기관이 늘어나고, 학생들이 실습기관을 찾는데 어려움, 실습 중 코로나로 인한 반복적인 셧다운 등으로 실습기관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시사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대학 지도교수 역할도 간과할 수는 없는 부분이다. Raskin[48]의 연구에서는 실습지도 교수역할에 따라 실습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대학에서는 실습전 충분한 오리엔테이션, 실습관련 세미나수업, 현장실습관련행사, 교육체계의 강화 등을통하여 실습생과 실습기관 사이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한주빈[43] 연구에서도 학교에서 충분한 준비,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비대면으로 실시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실습지도가 필요하며, 이영주 등[49] 언택트 수업에서 상호작용을 활성화시켜 학생들이 적극적인 문제해결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위드 코로나 시대 학교에서는 기관의 상황에 따라 대처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기관에서는 대면 수퍼비전과 비대면 수퍼비전의 최적 융합 운영으로 질 높은 수퍼비전이 이루어져야 하고, 체계적인 구성과 진행, 기간에 맞는 전문 실습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복지현장실습 지도자교육'을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는 교육시스템을 강화하고, 실습내용과 프로그램 발전에 필요한 정보들이 개발 및 공유되어 지역사회 내 전반적인 실습교육 수준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은 변화가 필요하며 지식중심교육에서 역량중심교육으로 변화되어야 한다[39]. 이로 인해 학생들은 전공만족도가 높아지며, 학업역량 발휘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0]. 또한 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육의 기회 제공과 더불어 다학제 간 연구지원 등 전문성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51].

셋째, 대학요인, 실습생요인, 실습기관요인이 실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 결과, 실습기관요인이 긍정적인 경우 실습성과에 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습기관의 수퍼비전이 중요함을 감안할 때 실습지도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지침, 실습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보며, 유현경 외[41] 연구에서는 실습지도자에게 부여하는 자율성과 권한, 재난 상황에서 실습지도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명확한 지침, 실습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실습관련기관들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위드 코로나 시대 사회복지현장실습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비대면과 대면 실습지도를 겸하는 교육시스템과 실습 수행 역량을 갖출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최적화된 비대면 수업방식채택 하는 교육기관과 교수자들의 노력이 요구되어진다[52].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는 학생들이 현장실습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사회복지기관에 적극적인 협조 요청과 실습기관 및 지도자 DB구축이 마련이 되어야 한다. 또한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는 실습기관 수퍼바이저의 교육과 지원프로그램들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위드 코로나 시대 최적화된 실습을 위해서 학생, 학교, 기관이 여러 방식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통로가 개발되어야 하고, 사회복지 학생들이 효과적인 실습을 위해 대학과 실습기관을 비롯한 정부부처 및 관련 기관들의 최적화된 실습체계에 대한 다각적 지원이 마련 될 필요하다. 또한 어떠한 상황에서도 실습에 대한 끊임없는 검토, 지원, 개발, 변화, 검증이 필요다고 본다.

추후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언택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회피, 방어 등을 사용하여 답변이 다소 객관적이지 않을 가능성을 완전 배재 할 수 없다. 이러한 언택트 설문결과 한계를 보완하고 객관적인 연구 분석을 위해 모니터를 통한 조사 및 다양한 온라인 설문방식과 제3자의 관찰 보고 등 다차원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대상이 서울, 경기도 소재 대학 재학생으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구체적인 대안방안과 다양한 사례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References

  1. 박지영, 심경순, 최말옥, "부산지역 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0, pp.143-169, 2009.
  2.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지침서, 서울: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5.
  3. 순덕기,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 정갑민,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5. 이해경,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현장실습 실태조사 및 지침서, 2021.
  7. 노수희,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자원봉사만족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통체의식 매개효과,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8.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국립정신건강센터 연보, 2020.
  9. 류종훈, 사회복지현장실습 이론과 실제, 서울:청목출판사, 2002.
  10. 김선환,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1. 좌현숙, 김혜미,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사회복지현장실습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실습세미나 담당교수를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Vol.55, pp.39-71, 2021.
  12. L. E. Jenkins and B. W. Sheafor, "An Overview of social work field instruction In B.W. Sheafor and L.E. Jenkins, des, Quality field instruction in social work New York: Longman, 1982.
  13. M. Bogo, C. Jughes Regehr, R. Power, J. Globerman, and J. Hughes, "Evaluation a measure of student field performance in direct service: Tes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xplicit criteria,"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8, No.3, pp.385-401, 2002. https://doi.org/10.1080/10437797.2002.10779106
  14. A. E. Fortune, A. Cavazos, and M. Lee, "Special Section:Field Education in Social Work Achievement Motivation and outcome in Social Work Field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1, No.1, 2005.
  15. N. Hamilton and J. F. Elsw, Designing Field Education Philosophy Structure and Process, Sprindfield, II: Charles C. 1983.
  16. 강회자, 사회복지전공 학생의 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7. 김선의, 조휘일, 사회복지실습, 서울: 양서원, 2000.
  18. 김선화, 사회복지 실습 수퍼비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9. J. B. Dawson, The case supervision in a family agency, family(6), 1926.
  20. 박현주, 사회복지조직의 수퍼비전 기능이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미치는 영향 : 수퍼비전 관계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1. 윤혜정, 지지적 수퍼비전(supportive supervision) 이 사회복지사들의 사기(moral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2. A. E. Fortune, A. Cavazos, and M. Lee, "Special Section: Field Education in Social Work Achievement Motivation and outcome in Social Work Field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1, No.1, 2005.
  23. 정명숙, 사회복지 전공 학생의 실습기관 수퍼비전 내용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4. 박태영, 이준상, 대학 사회복지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대구지역의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2005.
  25. 박영식, "사회복지실습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학술세미나 자료집, 1999.
  26. 전진호,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7. 윤영한, 사회복지전공 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전공학생을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8. 한주빈, 양숙미, 오봉욱,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진로확신 정도에 지도교수가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Vol.25, No.2, pp.183-205, 2014.
  29. 정수경, "사회복지 전공 학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3, pp.327-355, 2004.
  30. M. Sherer and N. Pereg-Olen, "Field Education in Social Work Differences of Teachers', Field Instructors', and Student' View on Job Analysis of Social Work Students,"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1, No.2, pp.315-326, 2005. https://doi.org/10.5175/JSWE.2005.200300352
  31. 장혜경, 유영준,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와 실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10, No.25, 2008.
  32. 조상미, 전종설, "사회복지 실습 수퍼비전 만족도 영향요인,"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0, No.1, pp.119-141, 2009.
  33.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지침서, 서울: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5.
  34. 장수미, 사회복지 실습지도교수와 현장수퍼바이저의 실습수퍼비전 내용에 대한 인식 비교, 사회복지연구, Vol.42, No.1, pp.371-397, 2011. https://doi.org/10.16999/KASWS.2011.42.1.371
  35. Maria S. Scannapieco and C. C. Kelli, "Do Collaborations with Schools of Social Work Make a Difference for the Field of Child Welfare?,"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Vol.7, No.1/2, pp.35-52, 2003. https://doi.org/10.1300/J137v07n01_04
  36. 조수민, 실습경험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7. 황진현, 사회복지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학점은행제를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8.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현장실습 실태조사 및 지침서," 2021
  39. 김희수, "포스트코로나 시대,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을 통해 함양해야 할 예비사회복지사의 역량은 무엇인가?,"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533-551, 2020.
  40. 최지선, "코로나19 시대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소고"에 대한 토론,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94-101, 2021.
  41. 유현경, 장남, 신예림, 최옥채, "코로나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 지도자의 실습지도 경험 전북지역사회복지관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1579-1580, 2021.
  42. 이가영, "코로나19 시대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소고에 대한 토론,"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107-122, 2021.
  43. 한주빈,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에 관한 연구 : 학교요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4. 김주리, 사회사업 실습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45. 김융일, 교육적 수퍼비전 모형의 기본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46. 강흥구, "사회복지실습 목표달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실습만족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Vol.9, pp.1-21, 2009.
  47. 김예경,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연구: 지역사회 복지관의 사회복지사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48. M. Raskin, M. Bogo, and J. Wayne, "Revisiting field education standards,"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4, No.2, 2008.
  49. 이영주, 이지연, 교수 및 강좌 특성에 따른 대학 강의평가 성취수준의 차이 분석: 직급, 이수 구분, 강좌 규모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50. 최윤희, 임준목, "대학 입학전형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대전 H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9호, pp.51-62,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9.051
  51. 안태숙,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직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0호, pp.554-565,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10.554
  52. 김갑순, 박윤조, "코로나 19에 의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9호, pp.644-651,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9.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