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7.405

A Study o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in With COVID-19 Era: Focusing on Universities, Trainees, Training Institutions, and Practical Performance  

Son, Hee Won (수원여자대학교 사회복지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gress of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at students, universities, and training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With COVID-19 era, and to suggest effective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operation plan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81 people who completed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courses, and the final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situation of practice institutions in the era of With COVID-19 was the highest when they were conducted together with 'face-to-face, non-face-to-face', and student satisfaction was positive when partial non-face-to-face practice education was conducted. Despite repeated shutdowns due to COVID-19,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face-to-face services was more than 9 times and the number of supervision was more than 6 times, and many responded that the quality of supervision, a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institution, was "generally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practice performance, trainees, and training institu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institution factors and practice performance, an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the university, trainees, training institution factors, and practice performance. Therefore,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of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in the era of With Corona, programs to promote and strengthen non-face-to-face exchanges at the university level are necessary, and an education system that also provides non-face-to-face practice guidance suitable for the With Corona era. In addition, various support for the practice system of government ministries and related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and practice institutions, is needed.
Keywords
With Corona Era;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Trainee; University; Institution; Practical performa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노수희,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자원봉사만족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통체의식 매개효과,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2 김선환,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 좌현숙, 김혜미,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사회복지현장실습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실습세미나 담당교수를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Vol.55, pp.39-71, 2021.
4 장수미, 사회복지 실습지도교수와 현장수퍼바이저의 실습수퍼비전 내용에 대한 인식 비교, 사회복지연구, Vol.42, No.1, pp.371-397, 2011.   DOI
5 이영주, 이지연, 교수 및 강좌 특성에 따른 대학 강의평가 성취수준의 차이 분석: 직급, 이수 구분, 강좌 규모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6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국립정신건강센터 연보, 2020.
7 한주빈, 양숙미, 오봉욱,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진로확신 정도에 지도교수가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Vol.25, No.2, pp.183-205, 2014.
8 강흥구, "사회복지실습 목표달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실습만족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Vol.9, pp.1-21, 2009.
9 김예경,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연구: 지역사회 복지관의 사회복지사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0 M. Raskin, M. Bogo, and J. Wayne, "Revisiting field education standards,"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4, No.2, 2008.
11 최윤희, 임준목, "대학 입학전형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대전 H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9호, pp.51-62, 2021.   DOI
12 안태숙,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직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0호, pp.554-565, 2020.   DOI
13 김갑순, 박윤조, "코로나 19에 의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9호, pp.644-651, 2021   DOI
14 J. B. Dawson, The case supervision in a family agency, family(6), 1926.
15 M. Bogo, C. Jughes Regehr, R. Power, J. Globerman, and J. Hughes, "Evaluation a measure of student field performance in direct service: Tes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xplicit criteria,"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8, No.3, pp.385-401, 2002.   DOI
16 강회자, 사회복지전공 학생의 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7 김선의, 조휘일, 사회복지실습, 서울: 양서원, 2000.
18 박현주, 사회복지조직의 수퍼비전 기능이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미치는 영향 : 수퍼비전 관계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9 A. E. Fortune, A. Cavazos, and M. Lee, "Special Section:Field Education in Social Work Achievement Motivation and outcome in Social Work Field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1, No.1, 2005.
20 박영식, "사회복지실습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학술세미나 자료집, 1999.
21 정갑민,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2 박지영, 심경순, 최말옥, "부산지역 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0, pp.143-169, 2009.
23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지침서, 서울: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5.
24 순덕기,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5 M. Sherer and N. Pereg-Olen, "Field Education in Social Work Differences of Teachers', Field Instructors', and Student' View on Job Analysis of Social Work Students,"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1, No.2, pp.315-326, 2005.   DOI
26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현장실습 실태조사 및 지침서," 2021
27 이해경,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8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현장실습 실태조사 및 지침서, 2021.
29 류종훈, 사회복지현장실습 이론과 실제, 서울:청목출판사, 2002.
30 박태영, 이준상, 대학 사회복지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대구지역의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2005.
31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지침서, 서울: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05.
32 조수민, 실습경험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3 윤혜정, 지지적 수퍼비전(supportive supervision) 이 사회복지사들의 사기(moral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34 유현경, 장남, 신예림, 최옥채, "코로나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 지도자의 실습지도 경험 전북지역사회복지관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1579-1580, 2021.
35 김희수, "포스트코로나 시대,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을 통해 함양해야 할 예비사회복지사의 역량은 무엇인가?,"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533-551, 2020.
36 L. E. Jenkins and B. W. Sheafor, "An Overview of social work field instruction In B.W. Sheafor and L.E. Jenkins, des, Quality field instruction in social work New York: Longman, 1982.
37 N. Hamilton and J. F. Elsw, Designing Field Education Philosophy Structure and Process, Sprindfield, II: Charles C. 1983.
38 김선화, 사회복지 실습 수퍼비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9 최지선, "코로나19 시대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소고"에 대한 토론,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94-101, 2021.
40 이가영, "코로나19 시대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소고에 대한 토론,"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107-122, 2021.
41 한주빈,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에 관한 연구 : 학교요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2 윤영한, 사회복지전공 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전공학생을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3 A. E. Fortune, A. Cavazos, and M. Lee, "Special Section: Field Education in Social Work Achievement Motivation and outcome in Social Work Field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1, No.1, 2005.
44 정명숙, 사회복지 전공 학생의 실습기관 수퍼비전 내용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5 전진호,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46 정수경, "사회복지 전공 학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3, pp.327-355, 2004.
47 장혜경, 유영준,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와 실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10, No.25, 2008.
48 조상미, 전종설, "사회복지 실습 수퍼비전 만족도 영향요인,"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0, No.1, pp.119-141, 2009.
49 황진현, 사회복지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학점은행제를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0 Maria S. Scannapieco and C. C. Kelli, "Do Collaborations with Schools of Social Work Make a Difference for the Field of Child Welfare?,"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Vol.7, No.1/2, pp.35-52, 2003.   DOI
51 김주리, 사회사업 실습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52 김융일, 교육적 수퍼비전 모형의 기본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