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domain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26초

체육계열 학과 학생의 전과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분석 (The Relationship among Dropout, Organizational Trust, and Intention to Transfer in the Department affil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 김미숙;김복연;최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453-463
    • /
    • 2016
  • 이 연구는 체육계열 학과 학생들의 중도탈락요인, 조직신뢰, 전과의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4년제 6개 대학교의 체육계열 학과 480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안된 연구모형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과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중도탈락요인의 학문적 영역, 사회적 영역, 환경적 영역은 조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중도탈락요인과 전과의도의 관계에서는 학문적 영역만이 전과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영역 및 환경적 영역은 전과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조직신뢰는 전과의도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조직신뢰는 학문적 영역과 전과의도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사회적 영역 및 환경적 영역과 전과의도 사이에서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융복합 사회에서 장애여성 안전의 설명요인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xplanatory Factors of the Disabled Women's Safety in the Convergence Society)

  • 곽지영;강미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405-416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의 장애여성 374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융복합 사회에서의 장애여성의 안전에 대한 설명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을 '사고로부터 안전'과 '범죄로부터 안전'으로 구분한 후, 개인, 가족, 지역사회 요인들이 장애여성이 경험하고 있는 안전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여성이 경험하는 '사고로부터 안전'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큰 요인은 지역사회 영역으로 지역 유형과 사회적 자본 수준, 물질적 곤궁, 장애정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가족 영역의 물질적 곤궁과 개인 영역의 장애수준이 장애여성의 사고로부터 안전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2) 장애여성의 '범죄로부터 안전'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큰 요인은 가족 영역의 물질적 곤궁이었고, 지역사회 영역에서는 지역사회 유형, 사회적 지지가, 개인 영역에서는 교육 수준이 장애여성의 범죄로부터 안전을 설명하는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장애여성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융복합적으로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접근방안을 제언하였다.

사회의 질 하위 영역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사회경제적 안전성과 사회적 응집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b-domains of Social Quality : socio-economic security and social cohesion)

  • 정해식;안상훈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205-233
    • /
    • 2011
  • 이 연구는 복지국가의 제도적 맥락에 기초하여 '사회의 질(social quality)' 하위영역 중 사회경제적 안전성의 영역과 사회적 응집성의 영역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한다. 복지국가의 제도적 맥락을 포착하기 위한 틀로 복지지위론을 채택하여 각 개인이 가지는 사회경제적 자원을 복지수급자의 지위와 복지납세자의 지위로 측정하였으며, 사회경제적 안전성의 영역이 사회적 응집성의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사회적 응집성의 핵심지표로 사회신뢰 인식을 투입하여, 2008년에 실시된 사회조사자료를 대상으로 복지지위, 사회경제적 안전성 인식, 사회신뢰 인식에 이르는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복지수급의 권리 차원에서의 자원의 양은 사회경제적 안전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복지공급의 의무 차원에서의 자원의 양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복지수급의 권리 차원과 의무 차원 모두 사회신뢰 인식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경제적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사회신뢰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사회의 질 하위영역 들 중에서 사회경제적 안전성 분면이 사회적 응집성 분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들은 향후 한국사회의 사회적 응집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수준의 복지제도 배치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사회 계층에 따른 가치 차이: 자기 참조 가치 대 문화 참조 가치 (Value differences by social class: Self-referenced values versus culture-referenced values)

  • 전혜빈;박혜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4호
    • /
    • pp.563-59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사회 계층에 따라 스스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자기 참조 가치)와 일반적인 한국인들이 중요하게 여길 것이라고 지각하는 가치(문화 참조 가치)가 다른지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세계가치관조사 6차 한국 자료를 통해 19세 이상인 남녀 1,140명의 사회 계층에 따른 자기 참조 가치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 계층이 높을수록 박애와 쾌락주의를 더 중요시하였고, 보편주의와 전통을 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일반적인 한국인들이 중요하게 여길 것이라고 지각하는 가치에 대해 묻는 문화 참조 질문지를 추가하여, 자기 참조 가치와 문화 참조 가치에 있어 사회 계층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 계층이 높을수록 개인주의적인 가치 영역(권력, 성취)이 자신에게 더 중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연구 1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보편주의는 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반대로, 문화 참조 가치와 관련해서는 사회 계층이 높을수록 일반적인 한국인들이 개인주의적인 가치 영역(자기주도성, 쾌락주의)을 덜 중요하게 여기고, 집단주의적인 가치인 전통을 더 중요하게 여길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사회 계층에 따라 스스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와 자신의 문화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고 지각하는 가치가 다르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사회 계층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연구의 필요성과 문화를 측정함에 있어 문화 참조 접근이 가지는 함의를 논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초등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 정영식;임현정;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41-149
    • /
    • 2018
  • 초등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14년에 초등학교 3~4학년을 패널로 선정하여 종단연구를 수행하였다. 2016년에 초등학교 5~6학년이 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 심체적 영역, 학습 역량 등을 평가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3년간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5학년 학생들이 2년간 사용한 6학년 학생들보다 교육적 효과가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3년 동안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면서 학생들의 심체적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교육적 효과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는 학생들의 성적이 높을수록, 디지털교과서를 더 많이 활용할수록, 교사의 스마트교육 역량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The Role of ICT and Local Wisdom in Managing Work-Life Bala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 Empirical Study in Malaysia

  • KUSAIRI, Suhal;MUHAMAD, Suriyani;RAZAK, Norizan Abdul;TRAPSILA, Aji Purb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9호
    • /
    • pp.321-331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the role of Malaysian local wisdom called "Ugahari" in managing Work-Life Balance (WLB)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Malaysia. Data was obtain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surveys which were distributed to the agencie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spread across Kuala Lumpur, Selangor and Pura Jaya. Overall 466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given valid and complete responses. This research utilized the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he ICT during Work from Home (WFH) helped workers to have relatively high flexibility where they could easily expand or contract one domain to meet the demands of another domain. At the same time it also offered high permeability where aspects of one domain entered another domain. This encourages workers to integrate their roles and achieve broad work autonomy. Furthermore, this situation then gives rise to a high level of interference at the boundary between work and family domains. On the other hand Ugahari reduces the level of interference caused by ICT use and encourages workers to compartmentalize their respective roles. Thus, ICT and Ugahari's behavior can play a role and complement each other in the context of realizing worker well-being.

영유아용 (만 2세~5세) 발달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evelopmental Test for Toddlers and Preschoolers)

  • 이은해;박주희;최혜영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3-88
    • /
    • 2005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developmental test for toddlers and preschoolers. A trial form of the test with 230 items in 5 domains(cognitive, physical, language, social, and self-help) was constructed and administered to 200 children from 2 to 5-year-olds. Item analysis indicated that most items selected in cognitive, physical, and indicated domain were acceptable in terms of item response rate and item discrimination. However, some items in social and self-help domain did not show clear age trends in item response, but mostly were adequate in item discrimination. Based on item analysis, 112 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form : 24 items each for the cognitive, physical, and language domain; 20 items each for the social and self-help domain. Reliability indicated by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KR-20) were high in all domains. Validity of the test was supported by inter-correlations among 5 domains(.61 to .93), and significant age differences in domain scores.

  • PDF

한국형 치과위생사 직업기대 수준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Korean version of the job expectations scale for dental hygienists)

  • 정미애;김형미;배정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69-377
    • /
    • 202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Korean-adapted version of the job expectations scale for dental hygienists.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a comprehensive methodology was employed,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aximum likelihood, direct oblimin rot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reliability,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Duncan post-hoc test) were performed. Results: The Korean version of job expectations scale for dental hygienists comprised 21 items in the personal domain and 5 items in the social domain. The scale demonstrated high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found. While dental hygienists were found to have higher expectations in the their personal domain than the social domain, expectations in the social domain were higher among male hygienists, those with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those in regular permanent employment, and those working in hospital-level or higher facilities. Conclusions: Job expectations is a more comprehensive construct than job roles or professional identity. We anticipate that the instrument will be widely used to analyze trends in job expectations in response to changes in societal values regarding to dental hygienists, the gap between realities and ideals within the dental hygiene profession, and policy considerations.

유아학급과 가정 맥락에서 유아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개념 비교 (Preschool Children's Conceptions of Social Situation at Home and in the Classroom)

  • 부성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35-47
    • /
    • 2007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and describe preschool children's conceptions of their social situation (moral, social-conventional, and personal situation) in the context of their homes and classroo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78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a kindergarten in Gwangjin-gu, Seoul,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hildren were able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a classroom and the home using information of very concrete content when they conceptualized three social situations. In the socially-controlled domain (the moral and social-conventional), children recognized that a classroom was more restricted and rigid than the home, and they depended more heavily on the teachers' authority. By way of contrast, in the personal domain, they depended more heavily on parents, with whom they were more intimate, but who exerted authority in a stronger and more direct manner than the teachers.

다면적 소셜 IoT 도메인 온톨로지 생성을 위한 온톨로지 스키마 변환 프로세스 (an Automatic Transformation Process for Generating Multi-aspect Social IoT Ontology)

  • 김수경;안기홍;김건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3권3호
    • /
    • pp.20-25
    • /
    • 2014
  • 본 연구는 사람, 사물, 그리고 서비스 사이의 통신과 원활한 서비스 운용을 위한 다면적(multi-aspect) Social IoT 플랫폼에 관한 개념을 소개하고, 이러한 다면적 Social IoT 플랫폼상에서 기존 특정 도메인을 위해 구성된 데이터 표현들을 온톨로지 표현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온톨로지 스키마 변환 프로세스들 제안한다. 현재, 많은 연구들이 센서 온톨로지나 디바이스 온톨로지 등과 같이 사물에 기반한 서비스 상호운영성을 위한 인프라 구성에 초점을 둔 표준화된 시맨틱 모델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나, 사람과 사물, 그리고 서비스 사이의 최적화된 상호 운용을 위해서는 사람과 사물, 그리고 서비스가 갖는 다양한 특성이 반영된 시맨틱 모델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oT를 구성하는 각 도메인들의 표현 체계를 온톨로지 기반 표현체계로 변환할 수 있도록 기존 소셜 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을 확장하여 다면적 소셜 네트워크 온톨로지 스키마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IoT내 도메인 지식들을 온톨로지로 자동 변환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