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orker

검색결과 703건 처리시간 0.025초

사회복지관의 조직풍토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limates for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in Social Welfare Centers)

  • 김용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28-338
    • /
    • 2009
  • 본 연구 목적은 전국의 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기관의 조직풍토에 대한 지각 정도를 측정하고, 사회복지사의 조직풍토 수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이 여성보다, 25세 이하가40세 이상보다 조직풍토를 긍정적으로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9세 이하가 40세 이상보다, 대학원 재학 이상이 대학교 졸업생 보다 직무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임사회복지사 이상이 일반 사회복지사 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사가 기관의 조직풍토와 하위요인(슈퍼비전, 개인 자율성, 업무배정, 인센티브)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지할수록 직무만족이 향상되었다. 다섯째, 조직풍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지할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대학원 재학 이상일수록, 여성일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았지만, 무엇보다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조직풍토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학적 충고에 반한 퇴원의 특성과 퇴원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사업가의 개입사례와 역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AMA(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 Case and Causal Factors of DAMA - Perspective of Medical Social Worker's Role and Intervention -)

  • 강흥구;이상진;조경기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2호
    • /
    • pp.1620-1627
    • /
    • 2000
  • Objectives : DAMA cases were analyzed to examine what the main casual factors of DAMA were and how to deal with these cases effectively in hospital with the DAMA interdisciplinary team including medical social worker whose role is to perform psycho-social assessment, family counsel, to evaluate family's DAMA need. Patients and Methods : The content analysis of medical record and social work record were reviewed in 37 cases referred by medical doctor to DAMA team. These cases were reported by patients' self discharge request or family's request for discharge from September 1998 to February 2000. The DAMA team consists of Assistant Director of Hospital as team leader, medical staff in-charge, social worker, QI nurse, other staff members who are not involved in direct treatment for patient, and administrative clerk. Results :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s : 1) The most causal factors of DAMA consist of combination of more than 2 factors. 2) The major decision-maker is revealed to be son and daughter of patient. 3) In 59.4% of cases, family was not informed of patients' prognosis, alternatives, the consequence of DAMA at all. 4) In cases of DAMA report, the rapid intervention of social worker is carried out.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to make decision legitimately and ethically for DAMA. The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o deal with DAMA case properly, the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2) The criteria for DAMA case should be formed carefully. For the explicit selection of DAMA case, preliminary system for high-risk patient screening is recommended. 3) The medical social worker is available for the psycho-social problems of the patient once family members. For the effective family counselling, discharge planning and nursing home placement, the particip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 should be mandatory.

  • PDF

클라이언트 폭력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반응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태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s Job Response)

  • 윤일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5-23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 job response.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 job response was empirically analyzed. 257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ent violence, job stress, job attitude, social support, and job response variables. Client violence was affecting variables related to social worker job response. Second,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had multiple mediating effects. The parallel mediation effect and the serial mediation effect were verified. Third, job attitude was found to be a variable of multiple mediating effects. Fourth,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double mediating effect variables. In response, programs and manuals suitable for the typ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policy basis for preparing countermeasures for social workers were limited, and follow-up studies on various variables were suggested.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의료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강흥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7권
    • /
    • pp.7-3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s were empirically analysed. Data were collected by 151 social workers including general hospitals with one social worker at least and single-department hospital with two social workers or more, were identified nationwide through the registry of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s and Korean Association of Hospit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social workers report that characteristic of culture in their hospitals are group culture the first, hierarchial culture the second, rational culture the third, and developmental culture finally in order of social worker's recognition. Second, according to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level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ocial worker's perceived group cultures in hospital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other culture patterns. And also, social worker's perceived developmental cultures in hospital showed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quality of social service than other culture pattern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a result, developmental culture showed a strong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social services Finally, as for the cultural affect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ed on intensive attention to developmental culture in hospital Consolidating the attribute of developmental culture in hospital is also proposed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s.

  • PDF

사회적 기업에서 비전공유와 가치일치가 근로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for the Work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Value Congruence and Vision Sharing in Social Enterprise)

  • 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06-2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중요한 종업원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데 비전공유와 가치일치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의 비전이 공유되고, 종업원과 조직의 가치관 일치 정도가 높을수록 조직시민행동이 활발한 것을 나타났다. 아울러 사회적 기업이 비영리조직 일수록, 사회적 기업의 종업원이 비 취약계층이고 정규직일수록 조직시민행동이 활발하였다. 사회문제의 해결과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기업에 있어서 비전과 가치관의 공유는 영리기업에 비해서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의 관리자는 종업원들이 조직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단순히 수혜를 받을 대상자를 선발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가치와 일치하는 사람이 조직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선발과정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병원의 질 보장 수준과 사회복지사의 질 보장에 대한 태도, 의료사회사업서비스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Correlation of Quality Assurance System of Hospitals, Social Worker's Attitudes toward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and Quality on Social Services)

  • 강흥구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19
    • /
    • 2003
  • Background :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nd efforts about quality management in health services, but there were not founded quality assessment on social services. This study was designed for understood level of quality on social service, identified for correlation factors of quality assessment on social services in general and teaching hospitals in Korea.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80 leaders of social service units. The survey data from each subjects were measured to evaluate level of quality that service provider perceived of sample hospitals. Social worker's attitude of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perception of quality assurance system in that hospitals were measured. Under the method of one-way ANOVA, t-test and correlation, associated factors of quality assessment in social work service was analyzed. Results :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 ; First, the level of quality perceived showed less score, especially the lowest was the score of quality of outcome. Second, social worker's attitude of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showed high score, but quality assurance system of hospitals showed less score. Third, the level of quality assurance system of hospitals, social worker's attitudes of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Conclusion : The quality of social work service correlated positive hospitals's quality assurance system, social worker's attitudes of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Therefore, to assure the proper level of quality, qualified for hospitals system of quality assurance, and needed to a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ed social workers's attitudes in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 PDF

사회복지사의 공동의존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Codependency and Mental Health in Social Worker)

  • 김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162-3171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사의 공동의존의 실태, 공동의존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돌봄에 요구되는 공동의존의 개입의 필요성을 탐색함으로써 사회복지사에 대한 개입의 새로운 시각을 조성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G지역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및 민간사회복지기관 근무자 290명을 대상으로 직접 혹은 우편으로 조사된 내용을 사용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코딩 후 전산화 과정을 통해 오류 검증을 거쳐 SPSS 18.0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사, 빈도분석, t검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공동의존은 평균 '약간 심한 정도의 공동의존'으로 역기능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수준이었고, 사회복지사의 공동의존과 정신건강은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돌봄을 위해 공동의존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슈퍼비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ocial Work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ion)

  • 신문영;박종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98-107
    • /
    • 2020
  • 클라이언트 삶의 질 향상 및 자립을 위해 힘쓰는 사회복지사에게 있어 직무만족은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슈퍼비전이 조절하는지 파악하기 위함으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슈퍼비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및 서울북부권역 지역사회복지관 10곳의 사회복지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통계프로그램 PASW(SPSS) 25.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 사회복지사들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슈퍼비전의 기능(행정적, 교육적, 지지적)의 조절효과가 모두 유의함을 확인하여 사회복지사들을 위한 슈퍼비전 기능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가족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Family in Social Workers and Clients.)

  • 김인숙;유영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1호
    • /
    • pp.283-307
    • /
    • 2004
  •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와 가족을 돕고 지원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가족인식을 비교한 연구이다. 또한 가족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써 인구사회학적인 요인, 원가족에 대한 인식, 자기효능감이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가족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사회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134명과 가족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131명을 대상으로 유의표집을 통한 서베이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는 가족개념, 가족주의, 남녀평등의식에 있어서 두 집단간 비교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가족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클라이언트에게는 연령과 원가족에 대한 인식이었으며, 사회복지사는 성별과 자기효능감이 가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인식에 대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사회복지사가 다양한 가족형태를 수용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클라이언트와 가족주의에 대한 차이는 사회복지 실천과정에서 가족가치, 가족집단주의, 가족내 성별 역할분담에 차이를 가질 수 있음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사회복지사간에도 성별에 따라 가족인식에 차이를 미칠 수 있음으로 사회복지 교육에 있어서 성인지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사회복지조직의 비전공유와 가치일치가 종사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for the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Value Congruence and Vision Sharing)

  • 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748-757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경쟁력 제고에 중요한 사회복지종사자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데 비전공유와 가치일치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복지 자격급수가 높을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조직시민행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이 높고 직급이 높은 사회복지종사자가 조직을 위한 헌신도가 높은 것이다. 둘째, 대부분의 사회복지조직들이 종사자들과 조직의 비전을 공유하고 가치일치를 이루기 위해 크게 노력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이 영세하고 경영역량이 영리조직들에 비해 부족한 사회복지조직들의 경우 비전공유와 가치일치를 통해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역량을 강화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소홀히 하고 있는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조직 내 비전이 공유되고 종업원의 가치관과 조직 가치관의 일치 정도가 높을수록 조직시민행동을 보다 활발히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사회복지조직에서는 종사자들과 비전공유, 가치일치를 위한 노력을 통해 조직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