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ork

검색결과 4,016건 처리시간 0.033초

Health Inequalities Among Korean Employees

  • Choi, Eunsuk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8권4호
    • /
    • pp.371-377
    • /
    • 2017
  • Background: Social status might be a determinant of occupational health inequal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ocial status on both work environments and health outcomes.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7,598 wage employees aged 15 years and older from among the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participants in 2011. Work environments included atypical work, physical risks, ergonomic risks, work demands, work autonomy, social supports, and job rewards. Health outcomes comprised general health, health and safety at risk because of work,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5 Well-being Index,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and work-related injury. Multivariable logistic-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status and work environments and health outcomes. Results: Employees in the demographically vulnerable group had lower occupational status compared with their counterparts. Low social status was largely related to adverse work environments. Especially, precarious employment and manual labor occupation were associated with both adverse work environments and poor health outcomes. Conclusion: Precarious and manual workers should take precedence in occupational health equity policies and interventions. Their cumulative vulnerability, which is connected to demographics, occupational status, adverse work environments, or poor health outcomes, can be improved through a multilevel approach such as labor market, organizations, and individual goals.

사회복지실천에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Centering Effect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between the Social Worker Empowerment and Social Work Self-Efficacy in Social Work Practice)

  • 박봉길;전선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341-369
    • /
    • 2006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 변혁적 리더십이 이들 관계를 조절하여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조사는 서울의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39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조사도구로는 사회복지사 역량강화,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변혁적 리더십 척도 등이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일반선형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역량강화와 변혁적 리더십의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역량강화 하위요소 가운데 전문적 활동과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사가 인지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의 수준이 높은 집단의 사람들보다는 낮은 집단의 사람들에게서 상대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활동이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전문적 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기관에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 PDF

보험심사간호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완충효과 (The Main & Buffer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Burnout of Insurance Review Nurses)

  • 정순임;이은남;송영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82-490
    • /
    • 2006
  • Purpose: The purposes were to survey the level of work stress, social support, burnout of insurance review nurses and to measure the main & buffer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burnout. Method: The samples were 285 insurance review nurses who were registered in Review Nurses Association of Korea at the period of 25 July and 12 August in 2005. Data were analyzed by using of t-test,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wo-way ANOVA.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urnout according to the work experience, position, and work satisfaction of insurance review nurses. Among the variables explaining the level of burnout of review nurse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was work stress, followed by current work satisfaction, social support, position and total variance explained was 40.8%. For the analysis of the buffer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work stress and burnout, the interaction between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social support system and to reduce the work stress in order to reduce the level of the burnout of insurance review nurses.

  • PDF

해양경찰의 사회자본이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al Capital of Coast Guard on Work Satisfaction and Stress)

  • 김종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04-711
    • /
    • 2014
  • 본 연구는 해양경찰조직의 사회자본과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인 논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사회자본의 구성요인으로 신뢰, 참여, 네트워크 설정하였으며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를 하위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경찰공무원의 사회자본과 직무만족도가 높으나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해양경찰공무원들의 사회자본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뢰, 네트워크, 참여 순으로 직무만족에 영향력을 미친다. 셋째, 사회자본과 직무스트레스관계를 살펴보면 참여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나, 네트워크는 오히려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원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를 근거로 해양경찰은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 경향에 관한 반성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n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es in Korea)

  • 김미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153-180
    • /
    • 2015
  • 이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 경향을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첫째, 그동안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을 정리하였고, 둘째, '한국사회복지학' 학술지에 게재된(1998~2014)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사회복지학'에는 총 874편의 연구가 17년 동안 게재되었고, 이중 사회복지실천연구가 16.6%(145편), 실천과 관련된 경험적 연구가 40.5%(363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실천논문 145편에 대해 세부 분석결과, 연구주제별로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가 26.2%, 사회복지사가 29%, 척도개발이 20.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에 관한 연구는 2007년 이후 증가양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업성은 교수가 84.6%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실무자는 8.6%에 불과하였다. 2006년 이후 공동연구비율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독연구는 44.8%로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셋째, 사회복지실천 전공교수 8명을 개별인터뷰 한 결과, 현재 실천연구는 경계, 위기, 그리고 혼돈사이에 서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연구가 위기와 기회 사이에 선 것으로 평가하며, 연구 환경, 실천현장, 한국적 사회복지학의 재구성에 대한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 PDF

한국 임상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연구 경향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Effectiveness Research of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in Korea)

  • 양옥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2권
    • /
    • pp.225-253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articles on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effectiveness to build a scientific and scholaristic image of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The data for analysis were the articles published in 13 professional journals including Korean J. of Social Welfare in the period of 1979 to 1999. The appearance rate of effectiveness studies was 1.28% with only 18 articles. Experimental studies consisted only 4 out of 18, and there were only 10 Quasi-experimental studies. Statistical errors were observed in most studies, so it is too early to call that the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is either effective or not effective. In order to see the comprehensive trends of the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other clinical papers were also examined. The appearance rate was also as low as 8.75% (effectiveness studies included). While 18 articles were about the therapy model, other clinical papers were about generic practice models. However, those newly developed generic practice models had not yet been widely used nor tested for effectiveness. Thus,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active research activities with solid methodology, team work with the field, theory and method development, education and re-education, and collaborative team work with other related fields. It was also pointed that the cross analysis of research papers by the publishing period, authors major and other background variables would be useful.

  • PDF

한국어판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Practice Skills Inventory)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I - 의료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Skills Inventory I)

  • 김용석;김장배;이영숙;이현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5-32
    • /
    • 2010
  • 사회복지실천기술은 사회복지실천의 3대 요소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그 이유는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부재와도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사용하는 실천기술이 어떤 것이고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국어판 Practice Skills Inventory(PSI)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목적을 갖고 수행되었다. 임상현장에서 활동하는 의료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 31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PSI를 평가한 결과 한국어판 PSI도 영어판 PSI와 마찬가지로 4개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어판 PSI는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비록 PSI가 외국에서 개발된 척도이나 국내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 연구, 실천, 교육을 위한 함의가 제공되었다.

  • PDF

ODA의 국내·외적 동향과 한국사회복지계의 과제에 관한 연구 -부산 OECD 세계원조총회(HLF-4)를 계기로- (A Study on the ODA Trends and the Tasks of Korean Social Work Community)

  • 이창호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305-337
    • /
    • 2012
  • 2011년 말 부산에서 열린 OECD 세계원조총회(HLF-4)는 전세계 160개국의 장관급 및 유엔, 기업, 민간 재단, NGO 대표 등 2,000여명이 참석, 개발도상국의 사회복지 문제를 해결할 중요 재원중 하나인 ODA(공적개발원조)의 원조효과성을 재논의 하는 중요한 국제회의였다. 그러나 이같이 사회복지와 관련된 중요한 국제회의에 당시 국내 및 국외의 전문사회복지(social work)계 대표단체들은 거의 그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왜 그 같은 현상이 발생했을까? 본 연구는 바로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전문사회복지계가 개도국 사회복지 문제해결에서 과거 어떤 국제적 리더쉽을 행사했고, 또 어떻게 그 리더쉽을 잃어갔는지의 역사적 과정과 그 이유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제 막 국제사회복지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한 한국 사회복지학계 및 현장이 향후 준비해야 할 과제들을 탐구해 보았다.

제조업 여성근로자의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모형구축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al Model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Women Workers)

  • 김숙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24-633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structural model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women worker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237 women workers from industries such as electronics, food production and garment production, and analyzed by LISREL 8.54. Result: The fitness indices of the model are GFI=.87, NNFI=.91, PNFI= .74. Eight out of the ten paths were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ork environment$\rightarrow$social support, work environment$\rightarrow$health behavior, work environment$\rightarrow$-WMSDs, domestic work$\rightarrow$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rightarrow$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rightarrow$job satisfaction, health behavior$\rightarrow$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rightarrow$WMSDs. Work environment. social support, health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WRMDs. WRMDs were accounted for 35% by the predictor variables.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s that work environment, social support, health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WMSD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WRMDs, it is most important to improve both physical work environment for female workers such as appropriate work station and tools fit for them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such as less job demand and more decision latitude(worker contr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