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elfare Education

검색결과 1,585건 처리시간 0.025초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Directions and Assignments of Educational Welfare in Korea)

  • 홍봉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1호
    • /
    • pp.253-282
    • /
    • 2004
  • 본 연구는 사회복지와 교육복지와의 관계를 정립한 후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현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교육을 사회적 평등장치로 인식하고 인적자본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다차원적 접근을 행하고 있으며 학교사회사업가가 배치되어 있으나 우리나라는 교육복지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관련법이 미비하고 행 재정적 지원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관련 조직간의 연계, 협력이 부족하고 복지, 교육, 문화가 연계된 통합적, 전문적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는 교육복지체제의 구축을 위한 국가의 기능과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하며 권리, 투자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이를 위한 관련법의 제정 및 행, 재정적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복지는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되 교육취약계층에 최우선 순위를 두어야 하며 그 내용에 있어서는 교육의 기회에서부터 교육의 과정, 결과까지의 평등을 포함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육, 복지, 노동이 연계된 다차원적 접근과 관련기관의 긴밀한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평생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 PDF

한국 사회복지 행정교육의 발전방향 : 사회복지 기관관리자 양성을 중심으로 (Future Directions for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Training Students as Manag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 최유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73-2584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제공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복지 행정교육 강화의 필요성과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기관평가, 성과관리 등 서비스 제공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기관관리자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2,479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한국사회복지사 기초실태 및 인식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사회복지사가 일상적으로 어떠한 직무를 수행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직무분석결과, 사회복지기관에서 행정 및 관리업무는 전체 업무 중의 4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조직, 인적자원관리, 기획 및 재정관리 등의 기관운영 업무의 중요도와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학 교육과정에서 기관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사회복지사는 관리자로서 대부분의 생애경력을 쌓아 나갈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행정교육의 목표는 실천가에 대한 지원활동을 넘어서, 관리자로서 기관관리 지식과 기술을 익히는 것으로 재정립되어야 한다. 기관관리자로서 조직환경과 조직내부 운영에 대한 폭넓은 안목을 기르고, 기관관리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전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부교육, 전문대학원교육, 실습교육 등 각종 교육과정에서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사회교육시설로서 여성회관의 시설현황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ondition of Women's Hall as Social Education Facilities)

  • 임선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5권1호
    • /
    • pp.40-53
    • /
    • 2006
  • Recently, women's social activities in our society have been greatly increased and legal system and mechanism of social structure to pursue a society where gender equality shall be realized has been discussed lively in a detail manner. Nevertheless, the rate of social advancement of Korean women show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western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uch problem and to look for a solution thereof. As the subject for this survey, such social welfare facility as women's hall was selected, and then its state of facilitie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from this survey revealed that women's hall, which had been started constructing since 1950s, began to spread out nationwide reaching the 1990s, and that women's hall was greatly used as a major public facility that supports women's social activities in each region, and that women's hall, which had been started as a social welfare facility, was a multifunctional facility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welfare, education, culture and community, and that educational function among these had been changed a little by little in the aspect of contents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imes, however, education for women was treated as a major important function in the women's hall and operated accordingly.

  • PDF

소도읍 사회복지관의 가족복지부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Welfar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Town)

  • 채희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53-64
    • /
    • 2003
  • Recently the change of family environment has influence on the configuration of the family welfar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And so the relation of space and function required its change. The essential role of social welfare center is family welfare, domiciliary and community care, community organization, social education etc. In this sence, this study explored the condition of space planning for the family welfare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For this study, it was reviewed the role and function, the service program, the degree of unit activity importance, space satisfaction, the usage characteristics. In sum, the useful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synthesized through case study and could be used in the guidelines as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family welfar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s in small town.

  • PDF

사회복지과목 이수 대학생의 인권감수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를 중심으로 (Human Rights Sensitivity of Undergraduates in Social Welfare Classes : Focused on Adult Learner in On-line University)

  • 박형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91-200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과목 이수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수준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인권관련 교육경험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S사이버대학교에서 사회복지과목 수강중인 251명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변인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인권감수성은 5점 척도 기준에서 2.70으로서 중간 정도수준이었으며, 이주노동자의 노동권과 장애아동의 교육권에 높은 인권감수성을 나타냈다. 전공유형, (사회복지)윤리과목 수강여부에 따라 인권감수성에 차이가 있었는데, 사회복지계열 전공 학생과 (사회복지)윤리과목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의 인권감수성이 높았다. 또한 인권감수성 척도의 에피소드별로 인권감수성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권전문직인 사회복지사를 교육함에 있어 수업에서의 학생 권리 존중, 직간접적으로 인권갈등사례를 학습하면서 인권의식을 함양하는 교육방법의 필요성, 수업과정에서의 자기반성적 과정의 필요성, 학생들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인권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주거복지에 대한 사회복지업무 종사자의 의식조사 연구 (Perception on Housing Welfare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 김영주;김미희;박남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19-12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rception on housing welfare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Specific research interest was focused on the area of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necessity, problems when execute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activating strategy of housing welfare. For the research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37 people who work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including social welfare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and social workers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nationwide by mail and e-mail and 40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program.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was the most important service to promote housing welfare. They also indicated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e lack of budget and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As main reasons of local government's passive attitude toward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respondents mentioned low interest level of housing welfare and lack of housing welfare education. Most of the respondents agree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curricula related to housing welfare and expected to spread interest toward housing welfare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간호.사회복지 분야의 현장 요구조사에 기초한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Key Competency Improvement Program Based on Field Demanding Analysis in Nursing and Social Welfare)

  • 박선영;배진희;엄애용;차영남;김근곤;심정하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72-282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learning effects of the key competency improvement program which is based in nursing and social welfare fields demanding analysis for nursing and social welfare among university freshmen. Method: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ADDIE model. The field demanding analysis gave a questionnaire to 459 participants in the nursing and social welfare workpla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student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116 students as a contro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newly developed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traditional lesson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with SPSS. Resul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linkage perception of health and welfa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articipation percep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programs that are available not only to field-oriented disciplines but also to overall higher education fields which aim to strengthen core compe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