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Support of Parents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9초

일 중소도시 소아청소년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중독 수준에 따른 심리사회적 취약요인의 차이 (Differences of Psychosocial Vulnerability Factors between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Groups Consist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 Small to Medium-Sized City)

  • 전영순;김태호;신용태;조성우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3호
    • /
    • pp.188-195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osocial facto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vulnerability factors for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41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esent use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 as well as using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other psychological scale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psychosocial factors between the high risk, potential risk, and general user groups of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high risk (N=33), potential risk (N=203), and general user (N=805) groups with regard to their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level.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the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cademic performance, parents, use of internet and smartphone, loneliness,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eer relationshi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s related to various psychosocial vulnerability factors.

미혼 남·녀 근로자가 보는 맞벌이가정의 심상과 일·가정 양립조건 (Unmarried Workers Perceptions of Image and Work-Family Balancing Conditions of Dual-Earner Families)

  • 김선미;구혜령;이승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4호
    • /
    • pp.145-164
    • /
    • 2013
  • This study analyzed qualitative data to examine the attitude toward the conditions of and the barriers to the work- family balance among unmarried workers. The data was drawn from 5 focus groups consisting of 4 workers each. The 20 participants, aged 21 through 38, were interviewed in mini groups composed of 2 male workers and 2 female workers each. The research depicts four main themes about their work-family balance: the image of a dual-earner family, women's market labor, housework, and the ideal conditions of a dual-earner family.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unmarried workers desperately want to be part of a dual earning family for economic survival. However, they also know that it would be very difficult to make ends meet and to live as dual-earner families because of the lack of a proper social support system. However, most of them believe that they must solve these problems on their own, and they do not expect to receive help from systematic public policies. They think that they should find solutions by rearranging the role divisions between the husband and the wife or by asking for help from their parents or other relatives. The only assistance they expect from the government are reliable child care facilities and governmental incentives to promote stimulate the family-friendly workplace.

가족기능성이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을 매개로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 정수지;최나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1호
    • /
    • pp.1-12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if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can be mediated by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in the year before children enter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nalyzed the 7th year data of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1,513 pairs of 6-year-old children and mother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 and Amos 20. The primar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composed of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pproach to learning, cognitive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and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functioning,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Second,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the indirect paths from family functioning to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through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were significant, while the direct path was insignificant. Third, bootstrapping analysis showed that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The findings provide the grounds for families and parents with preschool aged children to implement effective support practices to maintain a functional family system that can promote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학교중퇴를 선택한 과학영재에 대한 사례연구 (The Case Study of Science Gifted Stud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 허무열;전미란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757-78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학교중퇴를 선택했던 영재학생들 두 명을 대상으로 학교를 그만두기까지의 학교생활과 중퇴를 선택하게 된 요인을 알아보았다. 면담, 관찰, 문서 및 어린 시절 비디오 분석의 삼각측량 사례연구 결과, 첫째, 일반 학생들에 맞추어진 학교 학업에서는 많은 시간 기다려야 했고 지루했으며 특별히 기대했었던 과학영재교육원에서도 만족하지 못하였었다; 둘째, 다른 학생들과 관심을 갖는 부분이 달라서 흥미를 교류할 수 있는 친구가 없었다; 셋째, 일반학생들이 간과하는 문제들을 예민하게 받아들이고 남다른 정서적 민감성과 정의감으로 인하여 힘든 경험들이 있었다; 넷째, 이해해주지 않았던 학교 교사들과 부딪히면서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었다; 다섯째, 평범하지 않은 자녀를 위해 최대한 지원해주려고 노력하는 부모가 있다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지적 정의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영재학생들이 학교를 떠나게 됨으로써 학교환경과 영재교육원 교육이 다시 한 번 돌아볼 기회가 되었으며 특별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2001-2020년간의 국내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s Parent Education Programs Children in South Korea from 2001 to 2020)

  • 한길선;강은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126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collect basic data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and to foresee the future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s parent education programs published in South Korea from 2001 to 2020. Methods: Data collection was made out of RISS of Korea. Excel 2016 was used to categorize 210 finally filtered and collected data which included academic journal articles, MA/PhD dissertations, and funded research reports according to analysis criteria by publication year/5-year-term,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 and researchers' academic area. Results: Annual/5-year-term analysis shows increasing trend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ly implemented method,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s,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method in order. In research theme, parent-competency reinforcement program was the most frequently implemented theme followed by parent education, socio-emotional issue, speci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amily support,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and program analysis in order. Education area showed the most active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 comparing with other academic areas in research field. Conclusion/Implications: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s parent education programs showed steady increase in their amount, frequency, and diversity as well. Minority parents need more attentions for providing the next young generation's educational equality. Parent programs during COVID-19 need to gain more research attentions as well as care-giving grandparents, social workers, and public health care helpers in child caring service areas in order to alleviate low-birth rate.

키넥트를 이용한 성장기 아동을 위한 개인 운동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Personal Exercise System for Growing Children using Kinect)

  • 김연준;김효빈;염유진;최예진;이상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27-132
    • /
    • 2019
  • 아동의 성장을 위해 운동과 스트레칭은 필수적이지만, 최근 미세먼지, 아동범죄 등 사회적 위험으로 인해 아동들의 자유로운 외부활동이 제한적이다. 이로 인해 실내에서 안전하고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성장에 도움이 되는 스트레칭을 아동들이 자발적으로 하도록 유도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키넥트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아동의 스트레칭 동작을 인식하여 표준 동작과의 일치율을 평가한다. 이 시스템은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달력과 확인스탬프로 제공함으로써 아동에게는 자발적 동기 부여를 제공하고 부모에게는 아동의 진행상황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한다.

만 4세 유아의 야간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An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Nocturnal Sleep Duration in 4-year-olds)

  • 유연지;김진욱
    • 육아정책연구
    • /
    • 제12권3호
    • /
    • pp.55-76
    • /
    • 2018
  • 본 연구는 2012년 전국 규모로 실시된 5차 한국아동패널의 자료를 활용하여 만 4세 유아의 개인적 특성요인(기질), 가족특성변인(모 취업여부), 생활시간변인(육아지원기관 이용시간, 기관에서의 낮잠시간, 전자매체 사용시간)이 유아의 야간수면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개인적 특성변인, 가족특성변인, 생활시간변인이 야간수면시간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설명력은 생활시간변인, 가족특성변인 순으로 높았으며 개인적 특성변인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유아가 가정에서 충분한 야간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부모는 적절한 생활환경을 제공해 주어야하며 자녀의 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가정과 기관의 연계 강화, 부모의 근무시간 유연제 등의 제도 확산과 시행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수감자의 출소 후 가족복귀 경험에 관한 교정기관 상담자의 인식 (An Qualitative Study on Correctional institution Counselors' Perception of Ex-Offender's Experience regarding Reintegration into Family)

  • 이동훈 ;강수운 ;지승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4호
    • /
    • pp.595-622
    • /
    • 2016
  • 본 연구는 상담자의 눈을 통해 성인출소자의 출소 후 가족 관계 회복 과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법무부 산하의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서울, 인천, 부산, 대구, 경남 지부 및 법무보호복지공단과 가족상담 연계 서비스를 진행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출소자와 그 가정을 대상으로 숙식 및 주거 지원, 심리 지원, 자녀 학업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상담 전문가 8명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면접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담자들은 대부분의 출소자들이 가족이 부재한 어린 시절을 보내며 부모와의 유대나 신뢰관계가 형성되지 못한 구조적·기능적 결손을 경험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상담자가 인식한 출소자의 가족, 즉 배우자와 자녀의 전형적인 특징은 자녀에게 부모의 수감사실을 숨기는 가족의 비밀이 있다는 것이다. 셋째, 상담자들은 가족에 대하여 출소자가 갖는 책임감, 가족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가족 복귀의 성공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 가족에 대한 의존심, 출소자에 대한 가족의 거부와 회피, 가족구성원으로서의 존재감 상실을 가족 복귀의 실패요인으로 보고 있었다. 또한 강간이나 알코올 중독, 폭력, 살인 등에 비해 횡령, 사기 등과 같은 경제사범들의 가족복귀가 비교적 원활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출소자의 가족관계 회복을 위한 상담 및 심리지원에 있어 상담자들은 휴식의 개념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출소자 및 그 가족에 대한 개입을 실시하기 전에 철저한 스크리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출소자 및 그 가정에 대한 심리적·상담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출소자의 가정 복귀 및 가족관계 회복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와트, 그는 누구인가? (Watt, Who is he?)

  • 최준섭;유재영;임미가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8-122
    • /
    • 2017
  • 이 연구 논문은 인류 문명사에서 금자탑을 이루는 제 1차 산업혁명을 이끌고 성공적으로 이룬 와트에 관하여 그의 교육환경과 배움의 자세를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고, 산업혁명의 결과물인 '새로운 증기기관'의 연구 개발 과정과 환경 등을 통하여 산업혁명을 이끄는 기본적인 인적 물적 인프라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얻어지는 정보는, 우리의 현재 학교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창의성 개발'에 관한 지침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아직은 태동기에 있는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데에도 온고지신의 차원에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얻은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와트의 부모는 아들이 기계장치 등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이 분야의 타고난 재능을 살려주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협조하였다. 둘째, 와트는 글라스고우 대학의 교수들과 인연을 맺고 자신의 관심분야를 스스로 개척하며, 자기주도 학습으로 지식을 흡수하였다. 이러한 학문에 관한 끊임없는 능동적인 자세는 그를 이 분야의 기술자 및 이론가로서 성장시켰다. 셋째, 18세기에 신분의 벽을 뛰어넘는 새로운 시대를 주도하는 Lunar society의 연구 환경 인프라는 와트에게 과학적 호기심과 자유로운 탐구 정신을 경험하게 한 협회이다. 자신의 과학기술지식을 발표하고, 서로 이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교환하며 집단적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문제-해결의 지식을 축적해 가는 시스템이 있다는 것은 현대의 R & D환경을 만들 때에도 유념하여야 할 사항이다. 넷째, 사업가 볼턴과 같이 기술을 이해하고 그 가치를 파악하는 능력이 구비된 '경영의 귀재'가 연구자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동시에 재정문제를 그다지 걱정하지 않고 기술 자체를 즐기고 연구하는 '기술의 달인' 와트와 같은 사람이 있어야 산업혁명은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치위생과 재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 치위생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Dental Hygiene Stdents: the case of Gyeonggi province)

  • 신명숙;문희정;이종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3-80
    • /
    • 2008
  • 본 연구는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경기도에 소재한 4개 대학의 치위생과 재학생 687명을 대상으로 2007년 9월부터 10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12.0 program을 이용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강관리행위는 1학년 학생($3.11{\pm}.57$)이 가장 낮은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2.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식하는 경우 영양관리($3.63{\pm}.63$), 사회적지지($2.43{\pm}.60$), 건강에 대한 책임($2.40{\pm}.68$), 자신의 삶에 대한 존중($2.33{\pm}.51$)에서 관리행위정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p < 0.01). 3. 부모님의 교육정도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아버지가 중졸이하인 경우($3.62{\pm}.52$) 영양관리가 가장 낮았으며(p < .001), 어머니가 중졸인 경우($2.52{\pm}.52$)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4. 자취를 하는 경우 영양관리($3.66{\pm}.57$)가 가장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5. 월평균 가계 수입이 100만원 이하에서($2.42{\pm}.62$) 삶의 존중행위가 가장 낮게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6. 건강증진행위와 관련 변인간의 상관관계는 건강증진행위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존중이 높았으며, 삶의 존중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관리가 잘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p < .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