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Subject of Secondary School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교과융합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A study of the effec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informatics ethics education program based on subject integrations)

  • 김성율;이옥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1-31
    • /
    • 2016
  •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에 따른 역기능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고 이에 따라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정보윤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크다. 정보윤리교육의 내용은 범교과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정보윤리에 관한 총체적인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일부 선택 교과의 단원 안에 편성되어 있다. 따라서 교과별로 정보윤리교육 내용의 중복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중등학교의 경우 정보윤리교육을 다루는 교과의 대부분이 선택과목으로 되어 있어 학생에 따라 정보윤리교육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윤리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과 통합 교육과정 모델과 사이버 윤리 교육모델에 기초한 교과융합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정보윤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고등학교 1학년 291명을 대상으로 5개월 동안 실시한 결과 정보윤리 이해도 지수가 현저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정보윤리교육의 기존 문제점을 구조적으로 안고 있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윤리교육을 위해 본 교육프로그램의 사용을 제안한다.

환경교육 담당자 양성 체제의 개선 (Training System of Environment Education Teacher : Problem and Prospect)

  • 최운식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1호
    • /
    • pp.14-22
    • /
    • 2000
  • This attempts to find out training system of environment education teacher in Ko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have focused on environment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course was designated as a subject, but only 12% of the 2741 middle school chose the environment subject in 1998. The environment education course is not popular among students. The environment education is an interdisciplinary subject, which is composed of natural science, social studies, earth science, and medical science, that is why the subject is so unsystematic and complicated that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for school classes are not able to be developed. Moreover, material and manuals in environment education for students and teachers are limited. While the contents of environment education is composed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experiment learning, but lecture-centered instruction is emphasized in school because of materials, time and experts. Over 300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are annually produced, but the ratio of employment low. is, Therefore, a retraining program for environment education teacher needs to be developed.

  • PDF

국민학교에서의 주거학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us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윤정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09-124
    • /
    • 198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et up the basic outline to define and to develop "hous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main focus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the basic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housing education in Korea by examining the content of the textbooks and the secondary data o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 methods used in the study were the content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data on teachers and thei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re on follows, 1.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fined as the related fields of housing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4 domains: housing planning, housing maintenance, housing environment, housing decoration. 2. The subject areas related to housing education was found to be moral education, soci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art, practical education. The total hours studying on housing education were the average of 1.1 hours per week. 3. Among the above 4 domains, the total hours used for housing decoration amounted to the highest rate through all the subject areas. 4. According to the secondary dta analysis, 49.5% of the teacher were the national teacher's college graduates, but there are no courses on housing education as such in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teacher's college. it was concluded that mor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teacher training courses.

  • PDF

중·고등학생의 호·불호 학교공간 인식에 관한 연구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Spaces: What They Like and Dislike)

  • 박종향;신나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7-57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spaces by researching their place preferences and the reasons for them. For the purpose, we analyzed students' written statements regarding places they like and dislike at school, which were collected from 836 middle and 1,100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at 4 middle and 4 high schools, respectively. Data were transcribed, encoded, and analyzed so as to be clustered to themes revealing the students' senses of places at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st preferred places had to do with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playground, auditorium, gymnasium etc., whereas high school students preferred indoor places such as classrooms; (2) the reasons for like-plac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functions (physical, social, learning, and everyday activities), emotions (belonging, healing, and aesthetic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3)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ed restroom as the place that they disliked most; (4) the reasons for dislike-places included physical conditions, atmosphere, person-related, subject-related, and circumstances such as the happening of violence or punishment. These may provide educators, parents, school architects and administrators with practical considerations needed for making school a better place for students at secondary schools.

제7차 지리과 교육과정의 체제개발 방안 (Development of a Hierarchical System, for the 7th Curriculum Reformation Focusing on Geography Subject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 류재명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3-124
    • /
    • 1997
  • 본 연구는 현행의 통합사회과 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계열적 조직체계를 제안하고, 이와 연계하여 제 7차 지리과교육과정의 기본 체제를 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먼저 사회과 통합운영은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 과정으로 나아가면서 학생들의 통합적 사고가 점차적으로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합의 수준과 방법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리과의 교육과정도 학생의 사고수준을 고려하여,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각 단계별로 지역구분의 스케일과 주제의 종류 및 내용서술의 엄밀성이 각기 다르게 조절될 수 있도록 계열적 조직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리교육과정의 체제 개발방안은 세계에 대한 지리적 개관, 환경과 인간생활과의 관계 이해, 공간조직의 특성에 대한 해석 등을 통하여 지리학적 사고방식의 아이 덴디티를 분명히 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중등학교 환경 교과의 방향에 대한 제언 : 오염과 공해 그리고 환경 문제 (What should be Taught in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Separate Subject? Problems of Contamination-Focused Environmental Education)

  • 정민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2호
    • /
    • pp.1-11
    • /
    • 2006
  • In Korea nearly all the subjects teach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In addition we have a separate environmental education subject (environmental subject). This could be a very strong point in the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environmental subject and the other subjects, however, overlap in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in almost all aspects. Because of this, the environmental subject has not done its job effectively, and is sometimes considered as an unnecessary surplus. To effectively play its own role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subject should focus on environmental issues rather than on contamination, which it is focusing on now. The contamination-focused environmental subject simply teaches nearly the same contents that the other subjects teach. In addition, it makes students visit actual sites related to pollution in order to encourage them to be aware of the severity of pollution. However, it has difficulty in teaching how environmental problems occur in a society and how the social decisions are made to resolve the problems. To overcome this difficulty the environmental subject should employ discussion classes more substantially, which let students investigate social aspects as well as scientific aspect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make integrated decisions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social mechanisms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subject should focus on teaching what factors influence producers' and consumers' behavior and what factors they should consider when they have to make decisions on environmental issues. It should leave teaching technical knowledge and skill to the other subjects, and train students by the integrated approach which makes them see technology through a sociologist's eye. Although such integrated approach is emphasized in the environmental subject, environmental teachers should be trained to understand technological knowledge and skill in profound depth.

  • PDF

초·중등 학부모의 정보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한 정보교과 공교육 정착 방안 탐색 (Exploring the Public Education Settlement Plans of Informatics Subject through the Perception Analysi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arents)

  • 윤일규;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1-4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핵심 주체인 초 중등 학부모의 '정보'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2018년부터 필수화를 앞두고 있는 '정보' 교과의 공교육 현장 적용으로 인해 발생가능 한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합의점과 안정적인 공교육 정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K대학교의 SW교육 가치 확산을 목적으로 운영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습자 대상 SW 캠프 참여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정보' 교육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 모두 정부의 SW인재양성정책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으나, 정부에서 추진 중인 SW인재양성 정책의 시의성과 교육 정책 수립 및 지원에 대해 불신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들은 '정보'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으며, 고등학교에서도 정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부모들은 현행 '정보' 교육 시수가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 교육의 공교육 정착을 위한 선행 요인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부모 모두 전문 역량을 갖춘 교원확보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 중등 공교육 현장에 '정보' 교육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모형을 적용하여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Class Program in Secondary School for the Cultivation of Global Citizenship: Applying Co-op Co-op Model)

  • 최유성;김영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19권14호
    • /
    • pp.295-321
    • /
    • 2019
  • 본 연구는 세계시민성과 협동학습의 가치를 확인하고, 세계시민교육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 중 하나로 협동학습, 특히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모형을 제시하여 이를 토대로 중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서술한 것이다. 급속히 진행되는 세계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중·고등학교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론적 논의를 통해 세계시민성과 세계시민교육의 주요 가치로 다양성 존중, 세계 문제에 대한 관심, 타인과의 협업, 민주적 절차의 존중, 적극적 참여 등을 제시하였고, 협동학습의 특징 으로 긍정적인 상호의존성, 개별적 책무성, 대면적 상호작용, 이질적인 모둠 구성, 구체적인 수업 목표 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이러한 세계시민성의 주요 가치와 협동학습의 특징을 모두 함께 잘 함양할 수 있는 협동학습의 모형으로 자율적 협동 학습(Co-op Co-op) 모형을 적용하여, 중학교 사회②의 1단원인 『인권과 헌법』 단원을 중심으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직 교사들로 이루어진 전문가 집단 에게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를 요청하였고, 수정·보완할 내용들을 수렴하였다.

국가수준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5권1호
    • /
    • pp.21-39
    • /
    • 2001
  • This study is to develop assessment framework, test items and questionnaire for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which administer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this year(2000). According to the first year study result of the NAEA, the test was administered in two core subjects,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In this study, test items and sets of questionnaire and administered pretest were developed in the last year. In this year, the NAEA was administered with the adjusted test items and questionnaires and the results was analyzed and would be reported to the public. NAEA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of the nature and objectives of subject curriculum in Mathematics (and also Social Studies). In the framework of assessment, we set up four differentiated levels of student achievement:‘under basic’,‘basic’,‘intermediary’, and ‘advanced’. Here ‘the intermediary level’means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average content of subject curriculum. ‘Advanced level ’indicates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which students master all the content of subject curriculum and apply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to a variety of situations. ‘The basic level’means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which students do not achieve the intermediary level. Students who do not understand average content of subject curriculum are classified as belonging to the basic level. Finally, this study would explain how to administer and analyze the test int he future. The test result was analyzed to report students’s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regions, content area,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etc. This study would show how to report test results and how to set up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PDF

지리교육 반세기의 회고와 전망: 연구업적을 중심으로 (Review of the trend of research in geographical education in Korea (1945-1995))

  • 남상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17-328
    • /
    • 1996
  • 대한지리학회 창립 이후 우리 나라의 초.중등 학교 지리교육 개선에 기여하기 위 하여 산출된 연구업적을 검토함으로써, 기왕의 지리교육 연구의 성과와 미흡한 점을 파악하 고 미래지향적인 지리교육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여 보고자 하였다. 우리 나라의 지리교육 연 구는 그동안 양과 질의 양 측면에서 큰 발전을 이룩하였으며, 특히 여섯번의 교육과정이 새 롭게 개정되는 과정에서 지리교과의 위상을 유지, 발전시키고 현장의 지리교육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 바가 매우 크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지리교육이 보다 발전되고 안정된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의 방향으로서는 지리교육의 성격, 문제점 및 개선방안 영역과 지리교육 목적.목표, 지리교육 심리영역에 대한 연구 중심, 연구영역 전반에 걸친 세분화와 전문화, 정의적 영역과 기능적 영역 그리고 초.중등의 연계성에 대한 고려, 더욱 증진된 지리학과 지리교육간의 협조관계의 수립을 통한 지리교육 언어개발, 지리교육 내용의 적합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