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Generations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4초

1인가구의 세대별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교 연구 (Generation Comparison of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 김미숙;김안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31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s: One-person households are the fastest growing family type in Korea. They bring social concerns such as weakened social integration, increasing poverty and social isolation. They are not homogeneous but heterogeneous groups depending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er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life satisfaction level as well as factors affecting it among the three one-person household generations Methods: The 13th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dataset with 1,187 respondents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Chi-square 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Generations are divided into three, namely young adult (20-39), the middle-aged (40-64) and the elderly (65 and over). Result: The lif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st among the young adult one-person household generation, followed by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generation. The common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three generations were physical as well as mental health, includ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However, there were more factors differen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s for the young adult, age, religion, and smoking were significant. As for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gender (male) and income were significant. Additionally, age, home-ownership and drinking were significant to the elderly generation. Conclusions: As there are differences as well as similarities among the three generations, policies for one-person households need to be devised considering these findings. For all generations,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policies are needed. For young adult strengthening social relations, providing decent jobs, and promoting anti-smoking policy are major agenda, and for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assisting in social capital accumulation (for male), providing stable jobs and diverse leisure activities, and securing income. Additionally, for the elderly, expand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housing support are needed.

N 세대를 위한 소비자 교육정책연구 -사회적 지원시스템의 구축을 중심으로 - (Consumer Education Policy for Net Generation -focused on Developing Social Support System-)

  • 박명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3-159
    • /
    • 2002
  • Consumer Education Policy for -Focusing on developing Social support Syste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nge of future consuming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potential consumer: the net generations. With those research results, we deduced our goal, content and method of consumer education for these net generations. Finally, I suggested a scheme of the social construction by demand of our future society. Literature review and depth interview are used for this research. The main factors of the change of our future consuming environment are Digitalization, globalization, improvement of consumer sovereignty, Sustainable consumption culture, the increasing pursuit of safe life. It is necessary to educate our future consumer, net generations, the information searching skills in order to be able to obtain right information. We also need to educate them how to practice the safe lif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and how to get consumers sovereignty. The method of the education requires interchangeable communication. We need social networking system for the support of consumer education, in order to build this social system. We need an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financial support from corporations. We have suggested that it is very desirable to share all the information developed among Academic field, Consumer related organizations and schools by this network be build.

소셜 네트워크 시대의 세대 간 소통 증감 인식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Differing Communication among Generation in a Social Network Age)

  • 박기호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4권1호
    • /
    • pp.11-24
    • /
    • 2017
  • Due to development of smart and network technologies, social network service (SNS) has become popular in daily life. With increasing use of SNS, the scope of communication has been widened. Lots of activities can be easily shared daily on SNS. Differing with opinions about more activated communication on SNSs, some people have viewpoints that, in some cases, communications may be decreased among SNS users.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may be the differences among generations in the social network age. Major concern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may be differences in age related to the decrease of communication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differences among generations related to the increase of communication. Two research steps have been adopted that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was to understand. Defining actual communication status was the first step, and an empirical approach, a survey to verify hypotheses, was performed as the second step. Key findings of the study were that older generations perceived communication has been decreased.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implication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SNS communication.

수도권 지역 중년기 이후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 (Life in Old Age and Images of the Aged Perceived by Middle-Aged and Old-Aged Generations in Capital Region in Korea)

  • 최성재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329-352
    • /
    • 2009
  • 본 연구는 수도권의 인구 고령화 현상을 예견하면서 향후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를 계획하고 구체적인 복지 서비스 기관과 시설을 재편성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수도권 3개 지역에 거주하는 40대에서 80대까지의 3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심층적 면접을 통해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경제적 측면에서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ageism)으로 노인에게 취업의 기회가 잘 주어 지지 않는 것은 물론 노인 스스로도 능력이 떨어진다거나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중년층과 노년층 사이에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중년층 및 노년층 모두 별 차이 없이 사회 참여도가 낮았고, 노년층의 경우 일상생활 일과에서 특별한 목표가 없고 규칙적이지도 못하고 계획도 거의 없는 편이었다. 심리사회적 측면에서는 중년기 이후 세대들은 세대 간의 큰 차이 없이 아직도 가족, 이웃과 사회에서 소외되었다고 느끼지 않았다. 복지 서비스 측면에서도 중년층과 노년층 큰 차이 없이 모두 소득보장, 의료보장, 주거보장 등의 기본적인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었고, 사회 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원하는 사회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1 시간 이상의 이동도 가능하다고 했다. 중년층과 노년층 모두 노후준비의 필요성과 시의성에 대해 동의하지만 사회복지제도의 미흡과 자녀 양육 및 교육 때문에 실제적 준비를 할 수 없거나 할 수 없었다고 했다.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에서는 중년층과 노년층 사이에는 큰 차이 없이 약간 긍정적이었고, 도시와 농촌 간에는 긍정적 정도가 엇갈리게 나타나고 있었다. 노인에 대한 인식은 세대 간과 연령에 관계없이 긍정적인 면은 거의 없는 반면에 부정적 면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본 연구는 또한 이러한 결과가 향후 수도권의 노인복지 정책과 서비스에 관련되는 함의도 제시하였다.

Statistical Interrelationships of Job Competition between Generations

  • Kim, Tae-Ho;Jung, Jae-Hwa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3호
    • /
    • pp.377-387
    • /
    • 2012
  • Job competition among generations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that has yet to be studied from an academic viewpoint. This study performs statistical test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 of employment among generations using seasonally adjusted monthly time series data. Employment by generations is not found to be strongly interrelated, even if the employment of 30-year-olds appears to affect those of 40-yearolds in some tests.

Motivation in Using and Sharing Experience on Social Media among Multi-Generational Travelers

  • Hartijasti, Yanki;Cho, Namjae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5권4호
    • /
    • pp.171-184
    • /
    • 2018
  • Social media has been integrated into a part of travel industry. Subsequently, it has influenced tourists' travel behavior. Prior studies claim that individuals have different behaviors regarding the use of social media for travel purposes. With lack of studies focusing on age grou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among three generations in using social media for the sake of sharing travel experiences. Finding shows that all generations use social media with similar motivation for travel purposes. They have high motivation in obtaining travel information before the trip and in sharing memorable travel experiences through social media. They also wanted to keep such information as personal document during and after the traveling.

세대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쟁점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Study of Generations)

  • 박재홍
    • 한국인구학
    • /
    • 제24권2호
    • /
    • pp.47-78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세대 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쟁점들을 만하임의 시각을 중심으로 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함에 있다. 여기에서 검토할 쟁점들은 1) 세대의 개념, 2) 세대 형성의 기반, 3) 세대의 내적 분화, 4) 세대간 경계선 설정의 문제, 5) 세대차이와 세대갈등 개념에 관련된 쟁점 등이다. 이러한 쟁점들의 검토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세대문제에 관한 만하임의 개념과 이론이 매우 유용하고 지식사회학적인 통찰력이 돋보인다는 점이다. 둘째, 그의 이론이 사회운동을 설명하기에는 적절하지만 그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세대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개념과 이론화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만하임의 이론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 새로이 제시한 점은 1) 세대의 보다 일반적 수준에서의 개념화, 2) 세대내 분파 개념의 도입, 3) 세대차이·세대갈등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개념적 이해의 필요성 제시, 4) 현재적-잠재적 세대갈등의 개념 구분 등이다.

  • PDF

SNS(social network service)활용에 대한 세대별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Young and Old Generation of SNS Behavior)

  • 황윤용;이기상;최수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3-77
    • /
    • 2015
  •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환경의 변화 및 증가에 따라 소비자들은 SNS를 일상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인터넷을 기반으로 상호소통하는 활동과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NS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는 사회자본과 소비자들의 정서적 웰빙 수준의 차이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SNS 이용 이유 및 활용도는 소비자들마다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세대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즉, SNS를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자본과 정서적 웰빙의 형태는 세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SNS사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83부의 표본을 활용하여 세대 간 사회자본 및 정서적웰빙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SNS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의 크기 및 유형에 따른 효과는 세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자본의 크기는 고령세대보다 젊은세대가 크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의 유형 중 연결적(bridging) 사회자본도 고령세대보다 젊은세대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정서적 웰빙은 세대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정서적 웰빙의 유형 중 부정적 웰빙은 고령세대가 젊은세대 보다 더욱 민감하게 나타나 세대별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SNS관리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세대별 세분화된 SNS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단일주거 내 거주자의 사회적 행위패턴에 대응하는 공간조절 요소 (Space Elements as the Correspondent Elements with the Social Behavior Patterns in the Housing Unit)

  • 전남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40
    • /
    • 2002
  • The aim of this interdisciplinary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behavior patterns and space elements, specially micro-housing sociological point of view. It analyzed korean typical floorplans in the apartment housing, focused on the 4-criteria contact or isolation between the individual persons, communication between the generations, hierarchy of the gender and socialization with neighbourhood. It determinate concrete space elements involved correspondent factors with users' social behavior. By reviewing those factors found, it is suggested also the planning concept, that response users' social orientation. As the practical alternatives, some prototypes have been developed not only for improvement of housing plans, but also for resonable housing supply and sustainable usage.

동질혼이 가구의 소득, 소비, 자산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 성취적 특성 및 부모의 귀속적 특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Assortative Mating on Household Income, Consumption, and Asset in Korea)

  • 석재은;노혜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437-463
    • /
    • 2013
  • 양극화와 세대간 계층재생산이 한국 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여겨지는 상황에서, 동질적인 부모의 배경, 동일한 소득계층, 동일한 학력 간에 끼리끼리 이루어지는 동질혼의 증가가 사회적 주목을 받고 있다. 동질혼의 증가가 사회 이동의 폐쇄성을 강화함으로써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세대간 계층 이동을 제한시킬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 연구는 동질혼의 개념을 구성하는 부부의 성취적 특성 및 부모의 귀속적 특성이 가구의 경제적 상태를 대표하는 소득, 소비,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한국 사회의 세대내 불평등 및 세대간 계층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질혼의 역할에 대한 실증적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동질혼이 소득과 소비, 그리고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동질혼의 성취적 특성으로는 고학력 동질혼이 소득과 소비 수준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동질혼의 귀속적 특성으로는 아버지들의 교육적 동질혼이 자산수준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소비에는 동질혼의 성취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산에는 동질혼의 귀속적 특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세대간 이전이 소득보다 자산을 중심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20-30대 젊은 부부에게는 귀속적 특성이 자산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