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in Old Age and Images of the Aged Perceived by Middle-Aged and Old-Aged Generations in Capital Region in Korea

수도권 지역 중년기 이후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

  • Choi, Sung-Ja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성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8.10.06
  • Accepted : 2009.02.20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life in old age and images of the aged perceived by middle-aged and old-aged generatio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30 persons aged 40s through 80s residing in three areas (city or county) in capital region in Korea to use it as basic information in planning social welfare policy and reorganizing social services in response to population aging in capital region in Korea. In terms of economic life of the middle-aged and olde-aged generations perceived older people's opportunities for work were rarely given to the aged due to ageism and negative stereotypes of aging and the aged, and the aged tended to regard themselves less able or unable to work. In terms of social life of the aged both middle-aged and old-aged generations perceived that the frequency of social participation was low, and the daily life of the aged was found mostly aimless, unorganized and unplanned. In terms of psycho-social life of the aged both generations still felt that they were not alienated from the family, neighbors, and the society. In terms of social welfare services both generations thought the aged needed basic services such as income maintenance, health care, housing services, and particularly they felt lack of social services. The old-aged generation was willing to travel to the distance taking more than one hour to receive social services that they would need. Both the middle-aged and the old-aged agreed upon the necessity of preparation for old age and the benefits of earlier preparation, however, they said that they could not prepare for their old age due to lack of social programs to help preparation for old age and due to spending for rearing and education of their children. In terms of perceived life in old age both middle-aged and old-aged generations tended to be slightly positive, but the degree of positiveness differed between respondents from urban area and those from rural area regardless of generations. Images of the aged were perceived to be overwhelmingly negative while positive images were very few in number regardless of generations. This finding may suggests that negative stereotypes on aging and the aged are also prevalent in Korean society like in Western societies. Based on finding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ies in response to population aging in capital region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수도권의 인구 고령화 현상을 예견하면서 향후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를 계획하고 구체적인 복지 서비스 기관과 시설을 재편성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수도권 3개 지역에 거주하는 40대에서 80대까지의 3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심층적 면접을 통해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경제적 측면에서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ageism)으로 노인에게 취업의 기회가 잘 주어 지지 않는 것은 물론 노인 스스로도 능력이 떨어진다거나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중년층과 노년층 사이에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중년층 및 노년층 모두 별 차이 없이 사회 참여도가 낮았고, 노년층의 경우 일상생활 일과에서 특별한 목표가 없고 규칙적이지도 못하고 계획도 거의 없는 편이었다. 심리사회적 측면에서는 중년기 이후 세대들은 세대 간의 큰 차이 없이 아직도 가족, 이웃과 사회에서 소외되었다고 느끼지 않았다. 복지 서비스 측면에서도 중년층과 노년층 큰 차이 없이 모두 소득보장, 의료보장, 주거보장 등의 기본적인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었고, 사회 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원하는 사회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1 시간 이상의 이동도 가능하다고 했다. 중년층과 노년층 모두 노후준비의 필요성과 시의성에 대해 동의하지만 사회복지제도의 미흡과 자녀 양육 및 교육 때문에 실제적 준비를 할 수 없거나 할 수 없었다고 했다.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에서는 중년층과 노년층 사이에는 큰 차이 없이 약간 긍정적이었고, 도시와 농촌 간에는 긍정적 정도가 엇갈리게 나타나고 있었다. 노인에 대한 인식은 세대 간과 연령에 관계없이 긍정적인 면은 거의 없는 반면에 부정적 면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본 연구는 또한 이러한 결과가 향후 수도권의 노인복지 정책과 서비스에 관련되는 함의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5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KRF-2005-079-BS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