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5133/kssche.20200531.02

Generation Comparison of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Kim, Meesook (Korea Association of Child Welfare)
Kim, Anna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Daegu Catholic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v.21, no.1, 2020 , pp. 15-3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One-person households are the fastest growing family type in Korea. They bring social concerns such as weakened social integration, increasing poverty and social isolation. They are not homogeneous but heterogeneous groups depending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er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life satisfaction level as well as factors affecting it among the three one-person household generations Methods: The 13th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dataset with 1,187 respondents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Chi-square 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Generations are divided into three, namely young adult (20-39), the middle-aged (40-64) and the elderly (65 and over). Result: The lif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st among the young adult one-person household generation, followed by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generation. The common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three generations were physical as well as mental health, includ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However, there were more factors differen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s for the young adult, age, religion, and smoking were significant. As for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gender (male) and income were significant. Additionally, age, home-ownership and drinking were significant to the elderly generation. Conclusions: As there are differences as well as similarities among the three generations, policies for one-person households need to be devised considering these findings. For all generations,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policies are needed. For young adult strengthening social relations, providing decent jobs, and promoting anti-smoking policy are major agenda, and for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assisting in social capital accumulation (for male), providing stable jobs and diverse leisure activities, and securing income. Additionally, for the elderly, expand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housing support are needed.
Keywords
depression; generation; health; life satisfaction; one-person households; self-este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장진희, 김연재. (2016),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203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2 장운영, 정세은, (2011), 1인 노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연구: 저소득가구와 고소득가구의 비교. 한국노년학, 31(4), 1119-1134.
3 최광현. (2006).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복지상담연구: 인지행동상담을 통한 노인문제 접근. 대한케어복지학, 1(3), 121-136.
4 최효미, 김지현. (2018). 청년 1인가구 현황 및 청년층의 1인가구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5 통계청, (2018). 보도자료, 2018. 9. 27.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가구의 현황 및 특성
6 통계청, (2019). 홈페이지. http://www.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Search.do?idx_cd=4030. 2019.10.10.인출
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2017). 한국복지패널 12기 데이터, 세종.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8 한성민, 이숙종. (2018). 청년 1인 가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12(1), 60-85.
9 홍승아, 성민정, 최진희, 김진욱, 김수진. (2017).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가족정책 대응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0 Fukunaga, R, Nakagawa, Y. Koyama, A. Jujise, N, Ikeda, M. (2012). Living alone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in Japan. Psychogeriatrics, 12(3), 179-185.   DOI
11 Gaymu, J, Springer, S. (2010). Living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Europeans living alone: a gender and cross-country analysis. Ageing and Society, 30(7), 1153-1175.   DOI
12 OECD. (2018). family database homepage, www.oecd.org/els/family/database.htm. retrieved on 2018. 10. 22.
13 Ravanera, Z. Rajulton, F. and Beaujot, R. (2014). Trajectories to living alone at mid-life in Canada: A comparison by gender and over time. Working paper, Princeton University.
14 Yeung, W. and Cheung, A. (2015). Living alone: One-person households in Asia. Demographic Research, 32(40), 1099-1112.   DOI
15 통계청, (2019). 홈페이지. http://kosis.kr/search/search.do. 2019.10.10.인출.
16 김경숙. (2019). 1인가구 남성과 여성의 행복감 관련요인: 2017년 지역사회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 활용.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0(2), 109-124.
17 강은나, 이민홍. (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통권 234호, 47-56.
18 강은나, 김혜진, 김영선. (2017).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37(2), 184-215.
19 강현정. (2009).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활동과 삶의 만족도. 사회복지조사연구, 1-26.
20 권종선. (2019). 중노년 1인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5(1), 153-167.   DOI
21 김석환, 김은엽. (2018). 고령자 1인가구의 스트레스와 우울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9(2), 43-52.
22 김아린, (2018). 1인가구 청년의 건강행태, 식습관 및 심리적 건강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l17(7), 493-509.
23 김유경, 이여봉, 손서희, 조성호, 박신아. (2015). 가족헝태 다변화에 다른 부양체계 변화전망과 공사 간 부양분담 방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4 김윤영. (2018). 1인가구 특성과 사회복지정책: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4(3), 1-30.
25 김은정. (2017). 중.장년 1인가구에 관한 소고. 한국 가족자원경영학회 2017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6 김혜영. (2014). 유동하는 한국가족: 1인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5(2), 255-292.   DOI
27 노혜진. (2018).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보건사회연구. 38(2), 71-102.   DOI
28 박경란. (2012). 단독가구 노인의 구조적 사회 관계망 유형과 관계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1(45), 99-945.
29 박기남. (2004).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24(3), 13-29.
30 박미석, 전지원, (2017). 비혼 1인가구의 생활불안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4), 25-42.   DOI
31 박미현. (2016). 장년층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글로벌사회복지연구, 6(2), 5-26.
32 박미현. (2017). 장년층 1인가구의 우울 예측요인.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19, 51-69.
33 박선희, 김정. (2015). 독거여성노인의 행복감 경험.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4), 393-402.
34 변미리, (2009). 서울의 1인가구 현황과 도시정책 수요",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85-200.
35 서홍란, 김희년. (2010). 요보호여성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5, 176-202.
36 석재은, 장은진. (2016).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1(2), 321-349.
37 송영남, (2012). 청년층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를 위한 '좋은 일자리' 특성의 가치추정연구. 경제연구, 30(4), 69-88.
38 심애리, 박성신, (2017). 군산시 노인 1인가구의 현황 및 커뮤니티센터 요구도 분석,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지, 19(4), 29-40.
39 윤강인, 강인선. (2016). 중고령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찰: 센의 역량접근이론을 통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36(2), 457-473.
40 이명진, 최유정, 이상수. (2014). 1인가구의 현황과 사회적 함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229-253.
41 이신영, 윤진숙, 조희금. (2014). 농촌노인의 자녀 및 이웃과의 사회적지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5(4), 495-510.   DOI
42 임민경, 고영미, (2018). 비동거자녀 지원이 1인가구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다른 비교, 한국융합학회논문지, 33, 265-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