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Economy Organization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5초

China-ASEAN Trade Relations: A Study of Determinants and Potentials

  • TRAN, Hiep Xuan;HOANG, Nhan Thanh Thi;NGUYEN, Anh Thuy;TRUONG, Hoan Quang;DONG, Chung V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9호
    • /
    • pp.209-21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determinants of China-ASEAN trade relations over the period of 2000-2018. Employing bo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d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he Association of South East Asian Nations (ASEAN) have remarkably developed and rapidly grown over times, with a significantly important concentration on the segments of high technological and medium technological products. We also find that China's economic scale is crucially impacting on the China-ASEAN trade relations under both the aggregate and sub-sector level. It is interesting to notice that there is no evidence to support accession 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and officially forming of ASEAN-China Free Trade Agreement (ACFTA) to enhance trade relation between both sides. The findings also quantitatively indicate that there is much significant potential for the expansion of mutual trade between China and some members of ASEAN such as Brunei, Laos and Malaysia, while less potential is predicted for other members of ASEAN.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China and ASEAN should find a new proactive approach and make more efforts in improving the mutual political trusts to enhance trading activities in the coming years.

개방화시대의 수산경제학의 과제 (The Problem of Fisheries Economics Arising from the Liberalization of korean Economy)

  • 이승래
    • 수산경영론집
    • /
    • 제24권1호
    • /
    • pp.65-86
    • /
    • 1993
  • In this paper, fishery economics is reviewed to extend a basic opportunity for developing new fishery economic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import liberalization on the fish trade structure of Korea. The principle outline of extensions emphasis to realize the modern fishery problems based on fishery economics and develop the practical methodology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 import liberalization on the fishery and fishermen welfare. During the process of export - oriented industrilization, the role and position of fishery in the economy is changed dynamically. When faced with the imperative of the role and position of fishery in the economy, fishery economists and domestic policy makers must decide how to organize themselves for solving fishery problems under the new regime in the import liberalization on the fish trade. Fishery problems impacted by the new regime can not be solved by fishery itself but be solved by the centralized efforts of all contributors in national views. Therefore the new systematic analytical methodology must be develop and the traditional fishery economics must be related to th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and fishery sociology as subsidiary theories specialized. Due to the impacts of the import liberalization on the fish trade structure, fishery economists face with radical changes in the domestic fishery : a place of the resources harvest to place of the combination resource harvest and its demand, a fishing as a resource exploitation to a fishing as a resource management, a traditional small scale costal fishing to a modernized and scaled fishing, fishery using the given natural resource itself to fishery as technology intensive industry, and a food supply industry to a welfare indusry based on the regional and economic resource and social environment. As these changes, fishery and its community's regional and economic resource and social environments as multiple roles of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re emphasized in fishery economics under the new regime in the import liberalization on the fish trade. Furthermore, domestic policy makers and administrators in a public sector must realize the above radical changing trends in fishery and understand a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in fishery and develop a new fishery structure focusing on the fishing system and the fishery laws. As this point, they make efforts to improve and develop fishery as a food supply industry. Japan, for example, has a non - governmental organization to conflict the problem of international fishery such as a movement of a civil environmental protection. Also fishermen in Japan already realized conservation and pollution problems in fishing as fundamental issues of human being.

  • PDF

기업의 환경, 보건, 및 안전 (EHS) 조직의 직무능력 개선과 환경변화 대응 방안 (Strategies to Improve Functional Competency and Effectively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of Environment, Health and Safety (EHS) Team in Companies)

  • 김명중;박선경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4-111
    • /
    • 2016
  • Our nation has experienced remarkable growth over the half a century. Nonetheless, there is still much room for improvement in the area of Environment, Health and Safety (EHS). In particular, frequency and severity of industrial accidents did not considerably improve compared to the economic and social progress we made.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what plans and actions are required for companies to promote industrial safety by 1) fostering functional competencies of EHS staffs and 2) effectively and proactively responding to rapidly changing EHS environment. For this research, EHS staffs from five large companies in Korea were surveyed. Most respondents indicated that one of key expertise required by EHS staffs is capabilities to effectively deal with changes to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EHS-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urthermore, a predominant number of respondents commented that it is imperative for EHS staffs to have a broad knowledge of business management. As for internal issues that EHS staffs encounter within their organizations, many pointed out that their EHS vision is not sufficiently shared throughout the organization, and that the rules of leadership are critical in solving this issue. On the other hand, the survey respondents also raised an issue of limited EHS-related investments due to slow economy. As a solution, they proposed ways to align EHS organization's performance with the company's performance. Based on this survey, issues and solutions for EHS organizations were identified.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nefit companies that plan to newly establish or further expand EHS organization.

이탈리아 협동조합의 법 제도와 사례연구 (A Study on the Legal Systems and Case Studies of Cooperatives in Italian)

  • 성연옥;배성필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3호
    • /
    • pp.145-155
    • /
    • 2020
  • 협동조합은 19세기에 처음 영국에서 조직되어 20세기 초반에는 유럽과 북미, 20세기 중반부터는 나머지 나라들로 확산된 뿌리 깊은 조직체이다. 이탈리아의 협동조합은 우애조합(Friendly Societies)에서 분리되었으며, 초기에는 종교와 무관하게 활동해 왔으나, 이탈리아 사회주의와 19세기 말 가톨릭 교회의 사회 참여와 더불어 다중적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탈리아 협동조합의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탈리아 협동조합의 법과 제도는 사회와 국민경제에 어떻게 뒷받침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협동조합의 개념과 협동조합운동과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고찰한다. 둘째, 이탈리아 협동조합의 발전과정과 특성 그리고 법 제도에 대해 검토한다. 셋째, 이탈리아 협동조합의 사례에 대한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연구 결과에 따라 시사점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나타났다. 첫째, 마을기업은 대표 및 직원의 애착심, 성실성과 같은 태도가 매우 중요한다. 둘째, 조직구성원 모두가 마을기업의 비전에 공감과 애착심을 가지고 의사결정에 참여해야 한다. 셋째, 조직의 필요에 따라 외부로부터 자본을 끌어올 수 있는 마을기업이 더욱 높은 경제적 성과를 창출할 가능성이 높여야 한다. 넷째, 사례와 이론을 바탕으로 마을기업 수립 시 펼요한 요소 및 성공요인을 제시함으로써 마을기업의 모델을 수립하는 것은 중요하며 결론적으로 협동조합은 경제적인 이윤추구보다는 본연의 목적인 사회적 공헌에 기여해야 지속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00년 이후 중국 뮤지엄의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사회적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implications of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hinese museums since 2000)

  • 옹령령;문정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36-342
    • /
    • 2012
  • Chinese society, which maintained the feudal social system, has taken an isolationist policy in response to the Western aggression since $20^{th}$ century. However, in the wake of the Opium War of 1840, China had actively accepted Western culture, not in just politics and economy, but in diverse area of social property. Since these process, the modernization of China had begun and the Chinese museum has been erected and evolved through the process of it. And it can be deducted that the philosophy of socialist society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Chinese museum since it was at the heart of china's modernization. And another social shift has been made since 2000 that is regarded a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hina. It brought a new point of de-structuralism to the society since 2000 and it is leading the changes of various areas of culture and arts, including museology in Chines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changes have been made to the museums in China since 2000 and how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hina is engaged with this it, in term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a museum. To do this the study examined the spatial changes of the museum in the mathematical approach including Space Syntax tool and it was engaged with the changes of museum type. Throughout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spatial structure of museums in china has been changed from structural organization to de-structural one since 2000 of China's internationalization.

  • PDF

과수재배지역의 생산유통체계와 내생적 영농조직의 역할 - 청도군 눌미리 복숭아 재배 커뮤니티의 작목반을 사례로 - (Production-Distribution System in a Fruit-Growing Farming Community and the Role of a Community-Based Endogenous Farming Organization : the Case of Nulmi-Ri, Chungdo-Kun, Kyongbuk Province)

  • 우종현;박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17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업을 둘러싼 최악의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도 생산유통상의 기술혁신으로 나름대로 경쟁력을 강화/유지하고 있는 국지적 영농지역에 주목하여 사례지역의 생산유통체계 특성 및 기술혁신과 그 과정에서 내생적 영농조직의 역할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앞으로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지역농업정책에 대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지역인 눌미리 복숭아 재배 커뮤니티가 타 지역과의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영농조직을 기반으로 한 생산유통체계상의 기술혁신에서 찾을 수 있다. 생산 그 자체는 철저하게 농가단위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개별 농가는 경쟁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생산유통과정에서 농가단위로 채택/체화된 명시적/암묵적 지식이 내생적 영농조직 구성원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집단학습의 결과, 커뮤니티 단위의 기술혁신 창출-차별화/경쟁력 확보-개별 농가 소득중대-조합원간의 신뢰 강화에 기초한 영농조직의 활성화라는 순순환 고리가 형성됨으로서 경쟁력은 강화/유지될 수 있었다. 앞으로 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농업정책은 과거의 개별 농가나 행정구역을 단위로 한 한시적인 금융이나 하드웨어 중심의 지원에서 과감하게 탈피하여, 이노베이터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농촌사회에 뿌리내려진 내생적 조직을 활성화하여 구성원간 네트워크의 강화로 집단학습과 실행을 통하여 기술혁신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지역혁신시스템의 사회제도적 기반을 조성/강화하는 방향으로 수립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프로젝트 기반 조직의 배태성과 공간적 군집화에 대한 시론적 연구 -드라마 산업을 사례로- (Project-based Organization, Embeddedness and Spatial Clustering in the TV Drama Industry)

  • 황은정;이희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42-458
    • /
    • 2008
  •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조직이 활성화되어 있는 드라마 산업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젝트 기반 조직 구성과, 조직형성에서의 사회적 배태성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려는데 목적을 두었다. 프로젝트 기반 조직이란 프로젝트 과업 수행을 위한 한시적인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직형태를 말한다. 최근 창조경제가 등장하면서 유연성과 혁신성을 바탕으로 하는 프로젝트 기반 조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프로젝트 조직을 구성, 운영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는 제작자, 연출가, 작가들과의 인터뷰 결과 프로젝트 조직의 작동원리는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개인적 네트워크와 이전의 프로젝트 참여여부로 나타났으며, 프로젝트 조직에서 사회적 배태성이 상당히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드라마 제작을 위한 프로젝트 조직 활동도 특정 공간에 군집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마 제작은 주로 독립제작사가 집적해있는 신사동과 청담동을 중심으로 한 강남 일대와 방송사가 입지해 있는 여의도에서 군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젝트 기반조직 운영에 있어서 문화 사회적 자본이 배태되어있는 지리적 클러스터 형성이 매우 필수적임 시사해준다.

  • PDF

사회공헌활동이 기업 간 연계 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n Local Developmental Achievement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Firm Connected Activity)

  • 안재현;홍석진;김선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16-529
    • /
    • 2018
  •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증대되면서, 사회적 기여를 위한 기업의 활동이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관련 설문 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사회 공헌활동에 대해 국민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과 국민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관점이 다른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사회공헌활동과 성과에 대한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사회공헌활동을 "사회문화적자원 활동", "사회간접적자원 활동" 및 "경제적자원 활동" 총 3가지 요인으로 분류하고, 요인별로 기업 간 연계활동과 지역발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문화적자원'과 '사회간접적자원' 활동은 지역 내 '기업 간 연계 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 내 기업 간 연계' 활동이 활발할수록 '지역발전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자원' 활동은 '지역발전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사회문화적자원'과 '사회간접적자원' 활동은 지역 내 기업 간의 연계를 통해 '지역발전성과'에 간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성과에 대한 연관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제시하였다.

현대 경영환경의 특징에 따른 지혜 정의 분류와 '지혜경영' 제안 (Wisdom Definition Categorization and Wisdom Management as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Business Environment)

  • 김주원;이병재;박용승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7호
    • /
    • pp.63-71
    • /
    • 2015
  • Purpose -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management environment in Korea clearly involve the limitations of knowledge management, globalization,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s, polarization of the economy, consumption, and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creative management. To achieve a continuous competitive advantage for individuals as well as organizations, Wisdom Management can be said to be a paradigm for the current environment. The Research is an alternative to environmental management in the early study of the need to conceptualize the theoretical approach to wisdom management. In other words, it presents a new management paradigm for a business environment of uncertainty and unpredictability. Furthermore, it aims to propose Wisdom Management as an alternative in the modern management environment as well as a topic of discourse. Its purpose is to provide basic knowledge to people who study and practice in this fiel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s and compan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paper first provides six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management environment at home and abroad. It then attempt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wisdom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wisdom according to recent management study research. This allows the derivation of definitions of wisdom management, suggesting its components and properties. Results - The six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business environment are: 1) limits of knowledge, 2) intensifying globalized competition, 3) changes in industry structure - IoT (Internet of all Things) trend, 4) serious polarization and social unrest diffusion, 5)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creativity requirements, and 6) domestic special national and social situations. Therefore, accordingly, wisdom can be defined and classified as: wisdom that offers potential integration beyond knowledge, practicing and maintaining knowledge wisdom as an efficient strategy for an organization wisdom as a decision-making process that addresses ambivalence wisdom as the pursuit of common goods based on ethics; and, wisdom as creativity that involves intuition and insight.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Wisdom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se definitions of wisdom. Wisdom Management is a management system that is awareof the current environment given in the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achieves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and the goals of common good through an uncertain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the organization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knowledge, and the internal experiences and resources. Wisdom Management components include human beings, virtue, knowledge, creativity, and ambivalent thinking. Its properties include intentionality, self-destructiveness, creative and ethical reflexivity, complexity, insight, unpredictability, ambivalence, and wholeness. Conclusions - Since all organizations face the limitations of their environment, crises, and opportunities, applying wisdom in management to develop as Wisdom Management can be an inevitable alternative to the uncertainties of the management environment faced by modern society. The conceptualization of Wisdom Management forms a valuable context to further advance knowledge management theory into practice. It is also a cornerstone of strategic management and can provide insight into its potential for success and implementation.

지역자활센터의 사회적협동조합 전환과정과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the Self-Sufficient Centers that Converted the Centre Corporation into Social Cooperative)

  • 백학영;김경휘;한경훈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4호
    • /
    • pp.265-299
    • /
    • 2018
  • 2015년부터 보건복지부는 지역자활센터 법인 형태를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하여 지역자활센터의 자활근로사업 위주 사업에 다양성 및 자율성을 부여하고, 자활사업 대상자 확대 및 근로빈곤층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자 지역자활센터 유형다변화 시범사업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자활센터 유형다변화 사업이 점차 확대되는 상황에서 지역자활센터의 사회적협동조합의 전환과정과 변화 분석을 통해 긍정적인 요소를 강화하고 부정적인 요소는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자활센터가 시범사업 참여, 즉 사회적협동조합으로의 전환은 지역자활센터의 주도적인 변화라기보다 조직의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는 하나의 선택이었다. 그리고 이사회와 조합원 구성에서 생산자나 소비자의 참여는 저조하였고, 사회적협동조합으로의 전환은 종사자의 적극성과 책임성의 증가라는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협동조합 지역자활센터에 대한 운영비 활용의 자율성 확대로 매출 증가를 위한 적극적인 영업 활동과 전문성 제고의 결과를 낳았다. 사회적협동조합 설립 후 지역자활센터의 가장 큰 변화는 지역사회 내에서 자활사업의 인지도 향상과 지역사회 협력의 증가였다.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해서 지역자활센터가 새로운 사업에 참여하고 지자체의 우선 지원사업 대상이 되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그렇지만 사회적경제 조직이 활성화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한계도 있었다. 지역자활센터의 사회적협동조합으로의 전환은 긍정적인 요소도 있지만 자활사업 참여자의 감소와 근로능력이 저하되는 상황을 고려한 유형다변화 사업의 방향과 내용 설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