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baek Mountai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산맥론(I) : DEM을 이용한 산맥의 확인과 현행 산맥도의 문제점 및 대안의 모색 (Discussions on the Distribution and Genesis of Mountain Ranges in the Korean Peninsular (I) : The Identification Mountain Ranges using a DEM and Reconsideration of Current Issues on Mountain Range Maps)

  • 박수진;손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26-152
    • /
    • 2005
  • 현재 한국 사회에서는 산맥의 개념 규정에 대한 혼동과 함께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산맥의 존재 여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리학적 산맥과 유역분수계 개념의 차이점 그리고 산맥 개념의 사회적 논란에 대한 원인 분석을 바탕으로, 산맥의 정의 및 기존 산맥도와 관련된 한반도 지체구조와 산맥의 형성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반도의 DEM에서 추출한 지표곡면도와 음영기복도, 그리고 지체구조선과 지질분포도를 이용하여 현재 및 과거에 표기되어 왔던 산맥들의 공간적인 분포를 비교$\cdot$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현재 일반에게 알려져 있는 산맥들의 실체를 대부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산맥은 한반도의 지형적인 특성을 결정해 온 지체구조의 발달사와 지형발달과정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시해 주고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한반도의 산맥들은 형태와 성인적 특성에서 매우 다양하다. 현재 표기되고 있는 산맥들을 성인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형성 시기와 성인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1) 제3기 동해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한반도 전체의 융기 현상에 의해 형성된 융기산맥(함경산맥, 낭림산맥, 태백산맥), 2) 제3기 융기운동에 의해 2차적으로 나타난 단층운동과 융기 현상으로 형성된 산맥(마천령산맥, 소백산맥, 북서백산맥), 3) 중생대 광범위한 화강암의 관입에 의해 그 근간이 만들어진 습곡산맥(적유령산맥, 광주산맥, 차령산맥, 노령산맥), 4) 제3기 이후 하천의 침식으로 형성된 산지 중에서 유역의 분수계를 이루는 분수계형 침식산맥(마식령산맥, 묘향산맥), 5) 제3기 이후 하천의 침식에 의해 남겨진 분수계들을 하천과 수직으로 연결한 침식면형 침식산맥(강남산맥, 언진산맥, 멸악산맥)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산맥의 유무에 관한 논란은 부분적으로는 산맥의 설정 목적과 성인에 대한 지리학계의 명확한 설명이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성인별로 분류된 산맥을 표현 목적과 사용되는 지도의 축척, 그리고 교육의 목적에 따라 계층적으로 제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일반인들의 산맥에 대한 이때를 높이기 위한 산맥의 성인과 형태에 관한 효과적이고 광범위한 교육과 홍보가 요구된다.

소백산 소하천 유역의 홍수량 산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Design Flood for Small Catchment in Sobaek)

  • 장형준;김성구;박기순;윤영호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99-104
    • /
    • 2023
  • 최근 들어 이상기후 발생이 급증하여 집중호우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안정적인 수자원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며, 인적·물적 피해가 과거에 비해 늘어나고 있다.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저감을 위해 여러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소규모 산지유역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본계획 수립부재 등으로 인하여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안전한 국립공원의 관리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소백산 국립공원 내 연화동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해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소백산 연화동 유역은 재현빈도 50년 이상의 강우가 발생했을 때의 홍수위와 과거 발생한 홍수흔적수위를 비교했을 때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국립공원의 해발고도에 따른 환경방사선 측정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Radiation according to Altitude above Sea Level in National Park)

  • 지태정;이인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694-701
    • /
    • 2012
  • 본 연구는 국가환경방사선 자동감시망이 설치되지 않은 국립공원의 산악 지역을 대상으로 환경방사선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지표 1m 높이에서 공간선량과 지표면에서의 지표선량을 측정하였다. 국립공원 선정은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을 같은 분포로 하여 전국에 10곳을 선정하였다. 측정장비는 감마선측정에 활용되는 INTERCEPTOR$^{TM}$(Thermo, USA, 2006)를 사용하였다. 방사선측정은 국립공원 입구와 정상에서는 필수적으로 측정하였고, 그 외 지점은 해발 고도를 500m 단위로 구분하여 탐방객이 많이 다니는 곳에서 측정하였다. 측정횟수는 각 지점에서 2분간 장비를 안정시킨 후 5회 이상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공간감마선량의 경우 1,000m 이하 국립공원에서는 해발 고도 500m 지점에서 높은 선량이 측정되었다. 그 중 북한산, 계룡산, 월출산에서 $0.23{\mu}Svh^{-1}$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1,000m 이상의 국립공원에서는 설악산 1,500m 지점에서 $1.77{\mu}Svh^{-1}$로 측정되어 백그라운드 기준 선량보다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선량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은 국립공원은 내장산, 소백산, 지리산으로 확인되었다. 환경방사선량이 낮게 측정된 산은 가야산 정상(1,430m)에서 $0.04{\mu}Svh^{-1}$, 한라산 정상(1,950m)에서 $0.03{\mu}Svh^{-1}$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표선량 측정에서도 중간 높이인 500m, 1,000m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지각 구성물질의 종류에 따른 측정에서는 암석으로 구성된 국립공원에서 높은 선량으로 조사되었으며, 화산활동이 일어났던 한라산에서는 환경방사선량이 낮게 측정되었다.

서열법과 분류법에 의한 소백산의 신갈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Quercus mongolica Forest on Mt. Sobaek by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s)

  • Song, Jong-Suk;Seung-Dal Song;Jae-Hong Park;Bong-Bo Seo;Hwa-Sook Chung;Kwang-Soo Roh;Kwang-Soo Ro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63-87
    • /
    • 1995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lassify and describe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on Mt. Sobaek (36°50'∼ 37°07'N, 128°25'∼ 128°35'E), Korea by a reciprocal averaging methol (RA ordination) and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 of phytosociology. Atemporal vegetation tabel was prepared by the RA ordination.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RA ordination on the first axis is very applicable for selecting the character and differential species of vegetation units of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The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in 34 stands on the mountain. The field data obtained were classified by the tabel comparison method.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vegetation units,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vegetation units of the Mt. Sobaek, Considering the candidates of the character and differential species derived from RA ordination. As the result,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vegetation units; Fagetea crenatae Miyawaki et al. 1968 Acero-Quercetalia mongolicas Song 1988 em. Takeda et al.1994 Lindero-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1. Lindero-Quercetum mongolicae assoc. nov. 1-1. quercetosum serratae subassoc. nov 1-2. typicum subassoc. nov. Rhododendro-Qurcion mongolicas Song 1988 em. Takeda et al. 1994. It is inferred that the Lindero-Quercion mongolicae and the Rhododendro-Quercion mongolicae corresponded to the cool-temperate forests of central and northern areas, respectively, in Korean Peninsula. Syntaxonomical synonyms were also rearrang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On the other hand, the RA ordination of stands and species on the first and second axes revealed some environmental gradients such as altitute, human impact and species richness between the vegetation units. However, the RA ordinations is considered to be less indicative for the gradients of the lower vegetation units than association. With the present study. some phytosociological problems in Korea were discussed here in detail from the floristic viewpoint.

  • PDF

한반도 바람자원의 시공간적 분포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Wind Resources over Korea)

  • 김도우;변희룡
    • 대기
    • /
    • 제18권3호
    • /
    • pp.171-182
    • /
    • 2008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wind resources over Korea based on hourly observational data recorded over a period of 5 years from 457 stations belonging t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e surface and 850 hPa wind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KLAPS) and the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RDAPS) over a period of 1 year are used as supplementary data sources. Wind speed is generally high over seashores, mountains, and islands. In 62 (13.5%) stations, mean wind speeds for 5 years are greater than $3ms^{-1}$. The effects of seasonal wind, land-sea breeze, and mountain-valley winds on wind resources over Korea are evaluated as follows: First, wind is weak during summer, particularly over the Sobaek Mountains. However, over the coastal region of the Gyeongnam-province, strong southwesterly winds are observed during summer owing to monsoon currents. Second, the wind speed decreases during night-time, particularly over the west coast, where the direction of the land breeze is opposite to that of the large-scale westerlies. Third, winds are not always strong over seashores and highly elevated areas. The wind speed is weaker over the seashore of the Gyeonggi-province than over the other seashores. High wind speed has been observed only at 5 stations out of the 22 high-altitude station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wind resources conditions at the 21 stations (15 inland stations and 6 island stations) with high wind speed in Korea, such as the mean wind speed, frequency of wind speed available (WSA) for electricity generation, shape and scale parameters of Weibull distribution, constancy of wind direction, and wind power density (WPD), have also been provided. Among total stations in Korea, the best possible wind resources for electricity generation are available at Gosan in Jeju Island (mean wind speed: $7.77ms^{-1}$, WSA: 92.6%, WPD: $683.9Wm^{-2}$) and at Mt. Gudeok in Busan (mean wind speed: $5.66ms^{-1}$, WSA: 91.0%, WPD: $215.7Wm^{-2}$).

한반도 중부지역 수목생장에 미치는 엘니뇨-남방진동(ENSO)의 영향 (Effects of El Nino-Southern Oscillation (ENSO) on Tree Growths in Central Korea)

  • 박원규;구경아;공우석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3-6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엘니뇨-남방진동(ENSO)이 한반도 중부지역의 수목 생장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잣나무, 소나무, 주목을 대상으로 연륜분석을 실시하였다. 잣나무와 소나무는 설악산에서 각각 4개, 7개 지역에서 채취하였으며, 주목은 소백산의 1개 지역에서 채취하였다. 연륜 생장과 월 평균기온과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설악산 잣나무와 소백산 주목은 대체적으로 기온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악산 소나무는 기온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륜생장과 월별 남방진동지수(SOI)와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잣나무의 경우는 고도상 생육하한선인 설악산 한계령 하부 지역에서 4월 SOI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나머지 지역 잣나무는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소나무의 경우는 백담산장 지역에서 생육전년도 8월과 9월 SOI와 연륜생장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고지대에 자라는 지역의 소나무는 모두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중부지역의 생육하한선에 자라는 잣나무는 생장이 양호해지는 반면에 저지대에 자라는 소나무의 경우 생장이 저하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대기중(大氣中) 이산화탄소 증가와 한국산 아고산(亞高山) 침엽수류의 생장동향(生長動向) - 연륜연대학적(年輪年代學的) 분석(分析) - (Increasing Atmospheric Carbon Dioxide and Growth Trends of Korean Subalpine Conifers -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

  • 박원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17-25
    • /
    • 1993
  • 대기중(大氣中)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생장증진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산 아고산(亞高山) 침엽수류의 생장동향을 연륜연대학적(年輪年代學的)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설악산, 지리산, 소백산의 해발 1200~1750m에서 생육하는 3수종(주목, 잣나무, 구상나무) 64본의 노령임목으로 부터 근래 209~412년간의 연륜연대기(年輪年代記)를 4개 작성하였다. 각 연대기의 곡선에서 뚜렷한 생장증가 추세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1950년 전후의 생장을 비교한 t검정에서는 설악산 잣나무의 경우만 제외하곤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설악산, 잣나무의 경우도 1950년 후 생장이 8% 증가되었으나 이를 대기중 이산화탄소 증가의 영향이라 단정할 수는 없었다.

  • PDF

우리나라 논의 지리적 입지특성과 축소지역 예측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Shrinking Prediction of Rice Paddy Fields in South Korea)

  • 김현중;정일훈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7권2호
    • /
    • pp.75-8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ice paddy fields and to predict shrinking areas of them. The study area is in South Korea nationwide, and a 300×300m raster level is adopted as a spatial analysis unit. The binary logit model and spatial simulation model are employed for the analyses. As a result, population, industry, climate and nature, and accessibility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rice paddy fields' locations. It is predicted that the shrinking rate will be high in Gangwon-do,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until 2027. The hot spots are intensively shaped in the inland of Gangwon-do, eastern parts of Gyeonggi-do, and the borders of Gyeongsangnam-do and Jeollabuk-do between Charyeong and Sobaek mountain ranges. Using Gimcheon-si as an example, the study suggests fundamental policy implications for taking advantage of the simulation results from the lens of local agriculture. Several policy measures are proposed for improving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rice paddy fields in the long run.

산악형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발생과 취약지역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Susceptibility in Rugged Mountain Range in the Korean National Park)

  • 이성재;이은재;마호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552-561
    • /
    • 2019
  •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태풍 혹은 국지성 집중호우로 유발되는 산지토사재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국립공원 지역은 대부분 산악지로 이루어져 있고 지형의 경사가 가파르고 토심이 얕아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악형 국립공원(설악산, 소백산, 지리산)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 발생지 446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다양한 산림환경 인자별로 조사하고 산사태발생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산사태 발생 평균면적, 평균 침식량, 평균 길이, 폭은 각각 1,212 ㎡, 1,389 ㎥, 75 m, 12.9 m로 나타났다. 산림환경 인자가 산사태 발생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면경사도 (31~40°), 사면방위 N(북사면), 종단·횡단사면 오목(凹), 표고(401~800 m), 사면위치 산복, 하천차수 1차, 임상 혼효림, 모암 화강암, 토심 (46 cm 이상)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사태가 발생한 피해지에서의 침식량과 산림환경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종단사면(복합), 표고(1,201 m 이상), 토심(46 cm 이상)에서 1% 수준 내에서 정의상관관계를 보였다.

등대시호(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개체군의 생태 (Ecology of Bupleurum euphorbioides Population)

  • 소순구;김무열;박혜림;서은경;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86-94
    • /
    • 2006
  • This study was to analyze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 and ordination of Bupleurum euphorbioides community located in Mt. Seorak area, Mt. Sobaek area, and Mt. South Deogyu area. Bupleurum euphorbioides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Carex lanceolata subcommunity and Chrysanthemum zawadskii var. alpinum subcommunity, and Chrysanthemum zawadskii var. alpinum sub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Calamagrostis arundinacea and Carex breviculmis group.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changeable potassium, changeable calcium, changeable magnesium concentration,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ranged from 9.0~15.2%, 0.32~0.47%, 3.0~8.6ppm, 0.3~0.9me/100g, 0.5~1.5me/100g, 0.2~0.6me/100g, 11.4~16.1me/100g, and 4.3~4.6, respectively. And, soil texture was sandy loam or loam. The Carex breviculmis group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alpinum subcommunity was found in area of high elevation and had high exchangeable K, Ca, and Mg concentration. The Calamagrostis arundinacea group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alpinum subcommunity was found in area of low elevation and had lower exchangeable K, Ca, and Mg concentration than in the other subcommunity. The Carex lanceolata subcommunity was found in area of medium elevation and had medium exchangeable K, Ca, and Mg concentration. The Carex lanceolata subcommunity was located in a path of top the mountain peak, and has been destroyed. We need any action to protect the sub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