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PC

검색결과 1,217건 처리시간 0.027초

원심성형 중공PC기둥의 압축 실험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xial Strength of Centrifugall Formed Shell PC Columns)

  • 박진영;양원직;이원호;오상훈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37-40
    • /
    • 2008
  • 최근 급속한 속도로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의 건설 현장에서는 공기 단축 및 자재의 절감을 통한 공사비 절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현장에서의 거푸집 공사기간이 전체 공사기간의 1/4정도 차지하고 있으며, 공사비는 전체 공사비의 $15{\sim}2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공기단축, 거푸집 자재의 절감 및 거푸집 폐자재의 처리에 대한 어려움을 줄일 수 있는 중공PC 반건식 기둥의 사용성 및 구조적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중공PC기둥은 전단보강근이 배근된 상태로 피복두께 만큼 공장에서 제작되어 지므로 품질관리 및 부재의 정밀도 등 여러 이점이 있지만, 코아 부분은 현장에서 후 타설 하여야 하므로 중공PC와 코아 콘크리트 간의 부착성능이 기둥의 압축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공PC와 코아 콘크리트 간의 부착성능 및 압축거동성능을 평가하고자 기존 철근콘크리트 기둥 1개와 코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다른 중공PC 기둥2개를 제작하여,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중공PC기둥의 압축거동성능에 대하여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 PDF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평탄도 검사를 위한 센싱 기반 측정방법 적합도 비교 (Suitability Analysis of Non-contact Sensing Methods for Precast Concrete Element Flatness Inspection)

  • 권순호;김정섭;심성한;김민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52-59
    • /
    • 2023
  • 현재 국내 건설현장에서 PC 부재의 평탄도 검사는 육안으로만 진행되고 있으며 PC 부재 제작 및 조립과 관련된 표준 시방서에 PC 부재의 평탄도 측정방법 및 허용오차에 대한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C 부재에 대한 적절한 평탄도 검사 방법 및 센싱 기반의 객관적인 측정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최근 건설산업에서 평탄도 측정과 관련하여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형상계측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정확도 외에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는 고려하지 않아 현장 적용성을 판별하기 어렵다. 이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연구의 두 가지 목적은 1) 플로어 프로파일러, 레이저 스캐너, 광파기를 이용해 PC 부재의 평탄도를 측정하고, 2) 플로어 프로파일러와 광파기와 레이저 스캐너를 비교하여 정확성,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스캐너 기술의 현장 적용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레이저 스캐너는 높은 초기 투자 비용을 요구하지만, 계측 정확도가 0.64mm로 광파기의 2배 이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로어 프로파일러 및 광파기보다 효율적으로 PC 부재의 평탄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건설산업에서 레이저 스캐너가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OSC기반 PC구조 공사비 산정을 위한 품셈개발 및 공사비 분석 - RC공법과 비교 - (A Study on Development of Construction Standard Production Rates and Cost Analysis for Off-Site Construction (OSC)-Based PC Structure Construction Costs - Comparison with RC Method -)

  • 이한수;이치호;한희수;이정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56-68
    • /
    • 2024
  • 최근 공동주택에서의 OSC (Off-Site Construction)기반 PC구조의 객관적인 원가기준 마련을 위해 공장제작-현장설치 단계의 공사비 산정을 위한 품셈 체계를 제안하였다(Lee et al., 2021). 또한, 건설공사 표준품셈에서도 보편적인 PC공사의 현장설치 단계에 적용할 수 있는 주요 부재의 표준품셈을 제시하는 등 PC공사의 공사비를 체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PC구조의 현장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공동주택 PC공법에 적용할 수 있는 공장제작-현장설치 품셈을 개발하였으며, 현행 표준품셈 기준과 비교하여 공동주택의 현장 및 부재특성에 적용할 수 있도록 표준품셈의 보완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개발 품셈을 활용하여 공사비를 산출하고 동일규모의 공동주택 RC공법과 공사비를 비교함으로써 PC공법의 비용발생 특성 및 원가절감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PC공법의 표준품셈은 PC공법 공사비 산출결과의 객관성과 일관성을 확보함으로서 PC공법 적용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멀티펄스의 위치보정 방법을 이용한 8kbps PC-MPC에 관한 연구 (A Study on 8kbps PC-MPC by Using Position Compensation Method of Multi-Pulse)

  • 이시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285-290
    • /
    • 2013
  • 유성음원과 무성음원을 사용하는 멀티펄스 음성부호화 방식에 있어서, 대표구간의 멀티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유성음의 합성음성파형에서 일그러짐이 나타난다. 이것은 대표구간의 멀티펄스를 피치구간마다 복원하는 과정에서 재생 음성신호가 정규화되는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것을 해결하기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피치구간마다 멀티펄스의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PC-MPC)을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MPC와 멀티펄스 위치를 보정한 PC-MPC의 $SNR_{seg}$를 평가한 결과, PC-MPC의 남자음성에서 0.4dB, 여자음성에서 0.5dB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MPC에 비해 PC-MPC의 $SNR_{seg}$가 개선되어 음성파형의 일그러짐을 제어할 수 있었으며, 본 방법은 셀룰러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Low Bit Rate의 음원을 사용하여 음성신호를 부호화하는 방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C에 탑재된 OTP의 취약점 분석 (Vulnerabilities Analysis of the OTP Implemented on a PC)

  • 홍우찬;이광우;김승주;원동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4호
    • /
    • pp.361-370
    • /
    • 2010
  • OTP(One Time Password)란 사용자가 인증시 안전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매번 다른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인증하는 방식을 말한다. OTP 인증 방식을 이용할 경우 공격자는 패스워드를 가로채어 정당한 사용자로 위장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OTP는 H/W 기반 또는 S/W 기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W를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형과 카드형의 경우 배포 및 사용의 편의성 문제로 인해 대중화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이를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바일이나 PC에 S/W 형태로 구현하는 OTP가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S/W 제품은 구현상에 취약점이 존재할 경우 악의적인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금융보안연구원의 보고서에서는 모바일 상에 탑재된 OTP의 경우 구현상에 취약점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PC상에 탑재된 OTP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취약점 분석 사례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C에 탑재된 OTP의 보안 검토사항을 도출하고, 실제 역공학을 통해 OTP 생성 메커니즘을 파악하여 취약점 분석을 수행하였다.

금융회사 단말PC 재해복구 효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Disaster Recovery Efficiency of Terminal PC in Financial Company)

  • 이승철;윤준섭;이경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211-224
    • /
    • 2015
  • 금융회사의 재해복구시스템은 관련 법과 규정에 따라 적정 수준 유지를 위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 왔고 매년 1회 이상의 훈련을 통해 그 적정성을 검증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3.20 사이버 공격 시 동시다발적인 대규모 PC(Personal Computer) 불능사태가 발생하였고 복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목표한 수준의 업무연속성을 유지할 수 없었다. 그 이유는 재해복구 영역 중 PC 복구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간과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3.20 사이버 공격을 가정하여 금융회사의 대규모 단말PC를 비용 대비 효과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제시한 방안에 따라 대규모 단말PC의 동시 복구 시간을 측정하여 금융감독기관의 금융회사 재해 복구 권고시간인 3시간 내 업무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단말PC의 동시 복구가 가능함을 검증한다. 유사한 규모와 형태로 단말PC를 운영 중인 금융회사들은 본 논문이 제시하는 방안을 참조하여 3.20 사이버 공격과 같은 재난 발생 시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고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C용 광대역 EMC 필터의 설계 및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Fabrication of Broad-Band EMC Filter for PC)

  • 김동일;정상욱;김민정;전중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5
    • /
    • 2004
  • 본 논문은 개인용 컴퓨터(PC)에 적합한 EMC 필터의 제작에 대해서 다룬다. PC는 CPU를 포함한 여러 소자들이 모여 있어 각 장치들간에 서로 많은 간섭이 일어날 수 있고, PC와 연결되는 여러 외투 장치들에 영향을 받아 불요 전자파가 많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C를 측정대상기기(EUT)로 하여 임피던스에 적합한 노이즈 저감 필터를 제작하였다. 관통형(Feed-through) 컨덴서와 높은 투자율을 가진 페라이트 비드로 구성된 필터를 제작한 필터와 함께 적용하여 PC용 EMC 필터를 제작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제작한 필터가 10 MHz ∼ 1.5 GHz에서 삽입손실이 40 dB 이상 감쇠되며, CISPR Pub. 22 규격과 IEC 61000-4-4의 level 4까지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분절형 PC침목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성능평가 시험 (Performance Measurement of Split PC Sleepers for Safety in Maintenance Work)

  • 엄기영;엄주환;신승권;이창훈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6권4호통권23호
    • /
    • pp.1-6
    • /
    • 2006
  • 세계적으로 기존선 속도향상을 위해 분기기 개량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분기기는 선로시스템에서 구조적으로 가장 복잡한 장치로써 안정적인 구조가 필요하다. 이에 분기기 부설시 정확한 조립은 승차감과 열차주행 안전성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최근 철도 선진국에서는 분절 PC침목을 이용한 공장에서의 사전 일체화 정밀조립 후 현장까지 운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분절형 PC침목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실내 성능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조건으로 현장에서 STT, MTT와 같은 유지보수 작업시 발행 가능한 최악의 조건을 고려하여 분절침목의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PC용 광대역 EMC 필터의 설계 및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Fabrication of Broad-Band EMC Filter for PC)

  • 김동일;정상욱;김민정;전중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715-719
    • /
    • 2004
  • 본 논문은 개인용 컴퓨터(PC)에 적합한 EMC 필터의 제작에 대해서 다룬다. PC는 CPU를 포함한 여러 소자들이 모여 있어 각 장치 간에 서로 많은 간섭이 일어날 수 있고, PC와 연결되는 여러 외부 장치들에 영향을 받아 불요 전자파가 많이 발생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C를 측정대상기기(EUT)로 하여 임피던스에 적합한 노이즈 저감 필터를 제작하였다. 관통형(Feed-through) 컨덴서와 높은 투자율을 가진 페라이트 비드로 구성된 필터를 제작한 필터와 함께 적용하여 PC용 EMC 필터를 제작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제작한 필터가 10 MHz~1.5 GHz에서 삽입손실이 40 dB 이상 감쇠되며, CISPR Pub. 22 규격과 IEC 61000-4-4의 level 4까지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Comparison between Subjective Scoring and Computer-Based Asymmetry Assessment in Facial Nerve Palsy

  • Lee, Doh Young;Kim, Hyun Seok;Kim, So Young;Park, Kwang Suk;Kim, Young Ho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3권1호
    • /
    • pp.53-58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a PC-based facial asymmetry assessment program (PC-FAAP) and to compare the results of PC-FAAP with subjective regional scoring by raters in acute unilateral peripheral facial nerve paralysis (FNP). Subjects and Method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8 participants per group: group I, normal; group II, mild to moderate FNP; and group III, severe FNP. Using the PC-FAAP, the mouth asymmetry ratio (MAR), eyebrow asymmetry ratio (EAR), and complete eye closure asymmetry ratio (CAR) wer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movement of tracking points on both sides. The FNP grading scale (FGS) integrated each score, and the scores were weighted with a ratio of 5:3:2 (MAR:CAR:EAR). Subjective regional scoring was measured on a 0-100 scale score by three otologists. PC-FAAP and subjective scoring were compared in each group regarding the consistency of the results. Results: The mean scores of the MAR, EAR, CAR, and FGS of each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C-FAA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MAR, EAC, CAR, and FGS. PC-FAAP showed more consistent results than subjective assessment (p<0.001). The PC-FAAP was significantly more consistent in group I and group III (p<0.001 and p=0.002, respectively). FGS in group III was the only parameter that showed a more consistent result in PC-FAAP than the subjective scoring (p=0.008). Conclusions: An FNP grading system using a PC-based program may provide more consistent results, especially for severe f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