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itability Analysis of Non-contact Sensing Methods for Precast Concrete Element Flatness Inspec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평탄도 검사를 위한 센싱 기반 측정방법 적합도 비교

  • Kwon, Soon-Ho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ng Seop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im, Sung-Han (School of Civil, Architectural Engineering engineering &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Minkoo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buk University)
  • 권순호 (충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
  • 김정섭 (충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
  • 심성한 (성균관대학교 건축환경공학부) ;
  • 김민구 (충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22.12.30
  • Accepted : 2023.06.30
  • Published : 2023.07.31

Abstract

Flatness inspection of PC elements is normally conducted manually by inspectors at manufacturing sites. However, the manual inspection is error-prone and subjectiv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obust and efficient flatness measurement method. Recently, a few studies of laser scanner-based flatness inspection have been conducted. However, little attention on field applicability in terms of accuracy, time and cost has been paid. To tackle the limitation,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ree sensing method including floor profiler, terrestrial laser scanner and total station for flatness inspection of PC elements. A series of experiments on two full-scale PC slab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laser scanning method is the most suitable for the PC elements flatness inspection in the aspects of accuracy, time and cost.

현재 국내 건설현장에서 PC 부재의 평탄도 검사는 육안으로만 진행되고 있으며 PC 부재 제작 및 조립과 관련된 표준 시방서에 PC 부재의 평탄도 측정방법 및 허용오차에 대한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C 부재에 대한 적절한 평탄도 검사 방법 및 센싱 기반의 객관적인 측정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최근 건설산업에서 평탄도 측정과 관련하여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형상계측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정확도 외에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는 고려하지 않아 현장 적용성을 판별하기 어렵다. 이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연구의 두 가지 목적은 1) 플로어 프로파일러, 레이저 스캐너, 광파기를 이용해 PC 부재의 평탄도를 측정하고, 2) 플로어 프로파일러와 광파기와 레이저 스캐너를 비교하여 정확성,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스캐너 기술의 현장 적용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레이저 스캐너는 높은 초기 투자 비용을 요구하지만, 계측 정확도가 0.64mm로 광파기의 2배 이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로어 프로파일러 및 광파기보다 효율적으로 PC 부재의 평탄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건설산업에서 레이저 스캐너가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 : 과제번호 21SMIP-A156887-02)

References

  1. ASTM_E1155M (F-Numbers Standard) (2020).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FF Floor Flatness and FL Floor Levelness Numbers.
  2. Concrete Society Technical Report No. 34 (2003). Concrete industrial ground floors- A guide to design and construction. pp. 20-23.
  3. Kang, D.H. (2022). "A Study on the Basic Research to Expand the Field Use of Laser Scanner."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p. 11.
  4. Lee, S.B. (1993). "A Construction Analysis of Precast Concrete Apartme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 2.
  5. Wang, Q., Kim, M.K., Sohn, H, and Cheng, J.C.P. (2015). "Surface Flatness and Distortion Inspection of Precast Concrete Elements Using Laser Scanning Technology"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18(3), pp.601-623. https://doi.org/10.12989/SSS.2016.18.3.601
  6. Tang, X., Wang, M., Wang, Q., Guo, J.J., and Zhang, J. (2022). "Benefits of TLS for Construction QA&QC : time and cost analysis"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38(2).
  7. Shih, N., and Wang, P. (2004). "Using Point Cloud to Inspect the Construction Quality of Wall Finish." In Proceedings of the 22nd eCAADe Conference, Copenhagen, Denmark, 15-18 September.
  8. Li, D., Liu, J., Feng, L., Zhou, Y., Liu, P., and Chen, Y.F. (2020). "Terrestrial laser scanning assisted flatness quality assessment for two different types of concrete surfaces." Measurement, 154, 107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