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Ag alloy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4초

The Stability of Plating Solution and the Current Density Characteristics of the Sn-Ag Plating for the Wafer Bumping

  • Kim, Dong-Hyun;Lee, Seong-Jun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55-163
    • /
    • 2017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of metal ions and the applied current density in the Sn-Ag plating solutions were examined in regards to the resulting composition and morphology of the solder bumps' surface. Furthermore the effect of any impurities present in the methanesulfonic acid used as a base acid in the Sn-Ag solder plating solution on the stability of plating solutio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n-Ag alloys films was also explored. As expected, the uniform bump was obtained by means of removing impurities in the plating solution. Consequently the resultant solder bump was obtained in an optimal current density of the range of $1A/dm^2$ to $15A/dm^2$, which has acceptable bump shape and surface roughness with 12inch wafer trial results.

Sn-3.0Ag-0.5Cu, Sn-0.7Cu 및 Sn-0.3Ag-0.5Cu 합금의 제조 및 특성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n-3.0Ag-0.5Cu, Sn-0.7Cu and Sn-0.3Ag-0.5Cu alloys)

  • 이정일;팽종민;조현수;양수민;류정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30-134
    • /
    • 2018
  • 솔더(solder) 재료는 수 천년 이상 인류 문명과 함께해온 대표적인 금속 합금으로서 현재까지도 전자 패키징(electronic packaging) 및 표면 실장(SMT, surface mount technology) 분야의 핵심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Ag 가격의 급격한 상승과 전자산업의 저가격화 전략으로 인해 솔더 재료에서의 Ag 함량의 감소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n-3.0Ag-0.5Cu, Sn-0.7Cu 및 Sn-0.3Ag-0.5Cu(weight%) 조성의 무연납 솔더바 샘플을 주조법으로 합금화 하였다. 제조한 Sn-3.0Ag-0.5Cu, Sn-0.7Cu 및 Sn-0.3Ag-0.5Cu 샘플에 대한 결정구조, 화학조성 및 미세구조를 XRD, XRF, 광학현미경, FE-SEM 및 EDS 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제조된 샘플은 ${\beta}-Sn$, ${\varepsilon}-Ag_3Sn$${\eta}-Cu_6Sn_5$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었을 확인할 수 있었다.

Sn-3.5Ag-Bi 솔더의 크리프 특성 (Creep Properties of Sn-3.5Ag-xBi Solders)

  • 신승우;유진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5-33
    • /
    • 2001
  • Bi(0, 2.5, 4.8, 7.5, 10 wt%)가 첨가된 Sn-3.5Ag-xBi 합금을 주조 및 압연을 거쳐 준비하였다. 그 후, dog-bone형상의 시편의 안정한 미세 조직을 위해 열처리를 거친 후, 일정하중에 크리프 실험을 수행하였다. 2.5%Bi 첨가 합금의 경우, 크리프 저항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Bi가 더 첨가됨에 따라 크리프 저항성은 감소하였다. 합금의 응력 지수는 전형전인 전위 크리프에 의한 4를 나타내었으며, 10%Bi 시편의 경우, 입계 미끄러짐에 의한 2를 나타내었다. 0%Bi 합금의 경우, 연성 파괴 양상을 보인 반면, Bi 첨가 합금의 경우, 약간의 단면적 감소를 보이는 취성 파괴 양상을 보여주었다. 파단 시편의 미세 조직 관찰 결과, 응력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기공이 관찰되었으며, 상당량의 입계 미끄러짐이 관찰되었다.

  • PDF

금속-세라믹용 Pd-Ag-Sn-Au계 합금의 모의소성 시 산화처리 후 급랭에 의한 경화 효과 (The hardening effect by ice-quenching after oxidation of a Pd-Ag-Sn-Au metal-ceramic alloy during porcelain firing simulation)

  • 신혜정;김민정;권용훈;김형일;설효정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97-20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포세린 소성과정 동안 금속하부구조물의 경도가 하강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모의소성 시 산화처리 단계에서 서냉(bench cooling) 대신 급랭(ice-quenching)으로 합금을 냉각시킴으로써 나머지 소성단계 동안 경화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d-Ag-Sn-Au계 금속-세라믹용 합금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산화처리 후 stage 0으로 냉각한 시편과 산화처리 후 급랭한 시편을 glaze까지 모의소성한 결과, 두 시편 모두 소성 첫 단계에서 경도가 상승한 후 지속적으로 경도가 하강하였으나, 산화처리 후 급랭한 시편의 최종 경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소성 첫 단계에서 일어난 경도의 상승은 면심입방구조의 Pd-Ag-rich 기지에서 면심정방구조의 Pd3(Sn, Ga, In)상의 석출로 인해 기지와 석출물간의 계면에 생성된 격자변형에 기인하였다. 모의소성과정에 따른 경도의 하강은 석출물이 조대화됨에 따라 석출물과 기지사이의 계면의 면적이 감소되어 격자 뒤틀림이 해소된 것에 기인하였다.

전자부품의 Pb-free 솔더에 대한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for Pb-free Solders of Electronic Packages)

  • 허우진;백승세;정영훈;권일현;양성모;유효선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83-85
    • /
    • 2003
  • This paper is investigated the shear strength by using the micro shear-punch test method for Sn-37Pb alloy, binary and ternary alloys of environment-friendly Pb-free solder alloys which would be surely applicable to the electronic packages. As a result, in case of Max. shear strength, Sn-4Ag-0.5Cu has the highest value and Sn-37Pb has the lowest value on every condition of experiment temperature. Also, In case of Pb-free solder joint specimens, it was found that Pb-free solder alloys have higher value of shear strength than eutectic Sn-Pb solder alloy and Sn-4Ag-0.5Cu has the highest value.

  • PDF

Sn-Ag-Cu 무연합금의 미세구조 분석 (Microstructure of Sn-Ag-Cu Pb-free solder)

  • 이정일;이호준;윤요한;이주연;조현수;조현;류정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4-98
    • /
    • 2017
  • 최근 수년 동안 Sn-3.0Ag-0.5Cu(weight%) 조성의 합금은 주요 전자 제조업체들의 대표 무연솔더 조성으로 다양한 전자제품의 제작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Ag 가격의 급격한 상승과 전자산업의 저가격화 전략으로 인해 솔더 재료에서의 Ag 함량의 감소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n-3.0Ag-0.5Cu 조성의 무연솔더를 주석, 은 및 구리 금속분말의 용융을 이용하여 합금화 하였다. 제조한 Sn-3.0Ag-0.5Cu 샘플에 대한 결정구조 및 미세구조를 XRD, 광학현미경, FE-SEM 및 EDS 분석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제조된 Sn-3.0Ag-0.5Cu 샘플은 ${\beta}-Sn$, ${\varepsilon}-Ag_3Sn$${\eta}-Cu_6Sn_5$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금속-세라믹용 Pd-Au-Ag-Sn계 합금의 모의소성 후 계류에 따른 석출경화 (Precipitation Hardening by Holding After Simulated Complete Firing in a Metal-Ceramic Alloy of Pd-Au-Ag-Sn System)

  • 김민정;신혜정;권용훈;김형일;설효정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43-349
    • /
    • 2016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whether the post-firing heat treatment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hardness of metal-ceramic alloy of the Pd-Au-Ag-Sn system. Precipitation hardening by holding at $600^{\circ}C$ after simulated complete porcelain firing in a metal-ceramic alloy of the Pd-Au-Ag-Sn system was examined by observing the change in hardness, crystal structure, and microstructure using a hardness test, X-ray diffraction (XRD), an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The hardness of the alloy increased apparently by holding the specimen at $600^{\circ}C$ for 30 min after simulated complete porcelain firing. The formation of fine grain interior precipitates during holding at $600^{\circ}C$ caused the formation of lattice strain in the grain interior, resulting in apparent hardening. The faster cooling rate (stage 0) during simulated complete porcelain firing resulted in more effective precipitation hardening during holding at $600^{\circ}C$. From the above results, an appropriate post-firing heat treatment, such as holding at $600^{\circ}C$ for 30 min after complete porcelain firing may increase the durability of metal-ceramic prostheses composed of Pd-Au-Ag-Sn alloy.

Conductive adhesive with transient liquid-phase sintering technology for high-power device applications

  • Eom, Yong-Sung;Jang, Keon-Soo;Son, Ji-Hye;Bae, Hyun-Cheol;Choi, Kwang-Seong
    • ETRI Journal
    • /
    • 제41권6호
    • /
    • pp.820-828
    • /
    • 2019
  • A highly reliable conductive adhesive obtained by transient liquid-phase sintering (TLPS) technologies is studied for use in high-power device packaging. TLPS involves the low-temperature reaction of a low-melting metal or alloy with a high-melting metal or alloy to form a reacted metal matrix. For a TLPS material (consisting of Ag-coated Cu, a Sn96.5-Ag3.0-Cu0.5 solder, and a volatile fluxing resin) used herein,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metal matrix exceeds the bonding temperature. After bonding of the TLPS material, a unique melting peak of TLPS is observed at 356 ℃, consistent with the transient behavior of Ag3Sn + Cu6Sn5 → liquid + Cu3Sn repor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The TLPS material shows superior thermal conductivity as compared with other commercially available Ag pastes under the same specimen preparation conditions. In conclusion, the TLPS material can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a highly reliable conductive adhesive in power device packaging because remelting of the SAC305 solder, which is widely used in conventional power modules, is not observed.

발전 설비용 CrMo강의 탄화물 구조와 조성 변화에 미치는 열화 및 크리프 손상의 영향 (The Effects of Thermal Degradation and Creep Damage on the Micro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Carbides in the CrMo Steels for Power Plant)

  • 주연준;홍경태;이현웅;신동혁;김제원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10호
    • /
    • pp.1018-1024
    • /
    • 1999
  • Sn-3.5Ag 무연합금을 Cu 및 Alloy42 리드프레임에 납땜접합 (solder joint)하고 미세조직, 젖음성, 전단강도, 시효효과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Cu의 경우, 땜납의 Sn기지상안에 Ag(sub)3Sn과 Cu(sub)6Sn(sub)5상이, 그리고 땜납/리드프레임의 경계면에서는 1∼2㎛ 두께의 Cu(sub)6Sn(sub)5상이 형성되었다. Alloy42의 경우, 기지상내에 있는 낮은 밀도의 Ag(sub)3Sn상만이, 그리고 계면에는 0.5∼1.5㎛ 두께의 FeSn(sub)2이 형성되었다. 한편, Cu에 비해 Alloy42 리드프레임에서 퍼짐면적은 크고 접촉각은 작아 더 우수한 젖음성을 나타내었으나, 전단강도는 35%, 연신율은 75%로 낮았다. 180℃에서 1주일간 시효처리 후, Cu 리드프레임에는 계면에 η-Cu(sub)6Sn(sub)5 층외에 ξ-Cu(sub)3Sn층이 성장하였고, Alloy42 리드프레임에는 기지상내에 Ag(sub)3Sn이 구형으로 조대하게 성장하였고, 계면에는 FeSn(sub)2층만이 약 1.5㎛로 성장하였다.

  • PDF

Pb 기판/활물질 계면의 부식층형성에 미치는 합금원소영향 (Effects of Alloying Elements on the Corrosion Layer Formation of Pb-Grid/Active Materials Interface)

  • 오세웅;최한철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225-233
    • /
    • 2007
  • Effects of alloying elements on the corrosion layer formation of Pb-grid/active materials interface has been researched for improvement of corrosion resistance of Pb-Ca alloy. For this research, various amounts of alloying elements such as Sn, Ag and Ba were added to the Pb-Ca alloys and investigated their corrosion behaviors. Batteries fabricated by using these alloys as cathode grids were subjected to life cycle test. Overcharge life cycle test was carried out at $75^{\circ}C$, 4.5 A, for 110 hrs. with KS standard (KSC 8504). And then, after keeping the battery with open circuit state for 48 hr, discharge was carried out at 300A for 30 sec. Corrosion morphology and interface between Pb-grid and activ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by using ICP, SEM, WDX, and LPM. Corrosion layer of Pb-Ca alloy got thicken with increasing Ca content. For Pb-Ca-Sn alloy, thickness of corrosion layer decreased as Sn and Ag content increased gradually. In case of Pb-Ca-Sn-Ba alloy, thickness of corrosion layer decreased up to 0.02 wt% Ba addition, whereas, it was not changed in case of above 0.02 wt% Ba ad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