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City

검색결과 979건 처리시간 0.034초

A Method of Image Identification in Instrumentation

  • Wang, Xiaoli;Wang, Shilin;Jiang, Baoche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3호
    • /
    • pp.600-606
    • /
    • 2018
  • Smart city is currently the main direction of development. The automatic management of instrumentation is one task of the smart city. Because there are a lot of old instrumentation in the city that cannot be replaced promptly, how to makes low-cost transformation with Internet of Thing (IoT) becomes a problem. This article gives a low-cost method that can identify code wheel instrument information. This method can effectively identify the information of image as the digital information. Because this method does not require a lot of memory or complicated calculation, it can be deployed on a cheap microcontroller unit (MCU) with low read-only memory (ROM). At the end of this article, test result is given. Using this method to modify the old instrumentation can achieve the automatic management of instrumentation and can help build a smart city.

사물인터넷 동향분석을 통한 Co-creation기반 스마트시티 구축 방안 (A Development Plan for Co-creation-based Smart City through the Trend Analysis of Internet of Things)

  • 박주섭;홍순구;김나랑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7-78
    • /
    • 2016
  • 최근 세계 각국은 교통난, 주택난, 에너지 부족 등 많은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는 사물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도시 자원의 효율적 통제 및 재사용을 통한 지속가능성, 편리성 및 친환경성을 갖춘 스마트시티의 구축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인터넷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사물인터넷 활용분야 가운데 하나인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비정형 데이터 분석의 하나인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전자신문 기사를 분석하였고 외국의 스마트시티 구축 사례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빅데이터, 클라우드, 플랫폼, 센서 등이 스마트시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스마트시티의 성공적 구축을 위해서는 첫째, 도시내 이해관계자들이 모두 협력하여 가치사슬 전 과정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야 한다. 둘째,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하여야 하고 공공분야 데이터를 지금보다 더 적극적으로 개방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제시하여 후속 연구를 유발하였다는 학문적 기여도가 있다. 또한 실제 지방정부 및 행정기관에서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정책 수립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실무적인 기여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전자신문' 기사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전체 동향을 반영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국외 스마트시티 추진 정책 비교 분석을 통한 성과 확산 방향 설정 (Policy Direction Setting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Foreign Smart City Policies)

  • 정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51-160
    • /
    • 2020
  • 정부의 주요 정책으로 다양한 스마트시티 사업들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정부주도 스마트시티의 성공은 현재 진행 중인 사업들의 성과를 확산 보급시킬 수 있는 지속가능한 거버넌스 구축에 달려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유럽의 스마트시티 정책 사례를 성과 확산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여 국내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였다. 비교항목은 시범도시, 스마트시티 기술과 서비스의 확산, 성과의 측정, 스마트시티 지식정보의 축적, 표준화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미국과 유럽의 스마트시티 정책은 성공사례 창출과 확산을 위해 시범도시를 구축하고, 민간부문의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평가체계 개발과 표준화를 통한 기술과 서비스의 재사용과 확산 추진하는 등 각 지표별 항목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스마트시티 성과확산을 위해 시범도시 후속방안의 조기 마련, 사업성과 평가체계 구축, 통합된 지식축적 체계 마련, 민간분야 참여확대를 위한 본격적인 산업활성화 정책추진의 네 가지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범단지와 실증사업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정부 스마트시티 정책의 후속 과제 발굴과 세부 추진방법을 구체화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도시사업 단계별 시민참여 수준 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Citizen Participation in Smart City Project)

  • 박지호;박정우;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28
    • /
    • 2021
  • 글로벌 스마트도시 추진 동향을 기반으로 2018년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국내 스마트도시 정책의 방향과 관련하여 '지속가능성'과 '사람중심'을 핵심 키워드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 스마트도시사업 추진단계별로 적극적인 시민중심의 혁신 방법론인 리빙랩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다. 스마트도시는 리빙랩을 통해 시민이 중심이 되어 지역문제를 발굴하고, 공공·전문가와 함께 시민의 니즈(Needs)를 반영한 해결방안 도출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문제 해결방안 및 지역발전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운영된 도시재생사업과 비교할 때 스마트도시사업의 시민참여는 그 수준이나 지속가능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추진된 스마트도시사업에서 수행한 리빙랩 프로그램 사례를 대상으로 도시재생사업 단계별 시민참여 특성과의 비교 분석과 Arnstein의 '참여의 사다리' 모형을 기준으로 한 시민참여 활동 수준진단을 수행하였다. 진단결과, 스마트도시사업에서 수행된 리빙랩에 나타난 시민참여 활동은 스마트도시서비스의 선정이나 해결책 구성 등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권한을 기반으로 지역주민의 수요에 맞는 스마트도시서비스를 선택하고 지역에 맞는 서비스의 기술수준이 결정되는 데 큰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스마트도시 구축사업만을 위한 단발성 성격의 시민참여단 모집으로 사업 종료 후 에는 대부분의 시민참여활동이 중단되고 있었다. 이에 반해 도시재생사업의 시민참여 활동은 지역공동체 중심으로 사업 계획 단계부터 사업 종료 후 운영단계까지 지속적인 운영·관리 방안이 도출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도시재생사업과 스마트도시사업간의 시민참여의 특성 비교와 수준진단을 통해 보다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한 시민참여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시티 조례 분석: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Analysis of Municipal Ordinances for Smart Cities of Municipal Governments: Using Topic Modeling)

  • 서형준
    • 정보화정책
    • /
    • 제30권1호
    • /
    • pp.41-66
    • /
    • 2023
  • 본 연구는 72개 지자체의 74개 스마트시티 조례를 대상으로, 지자체 스마트시티 조례의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조례의 주요 키워드를 확인하고, 조례의 키워드에 따른 주제분류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키워드는 스마트도시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키워드가 조례 내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조례에 대한 토픽모델링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분석결과 관련 키워드에 따라 총 8개의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주제-1(스마트시티 추진사항 보안), 주제-2(스마트시티 산업진흥), 주제-3(스마트시티 주민협의체 구성), 주제-4(스마트시티 추진체계 지원), 주제-5(개인정보 관리), 주제-6(스마트시티 데이터 활용), 주제-7(지능정보화 행정구현), 주제-8(스마트시티 홍보) 등으로, 주제의 비중은 주제-6, 주제-4, 주제-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주제분류는 수도권은 주제-5, 주제-6, 주제-8 의 비중이 높았고, 지방권은 주제-2, 주제-3, 주제-4의 비중이 높아 수도권은 스마트시티의 실질 운영 관련 주제가 높았고, 지방권은 스마트시티 추진을 위한 준비단계 관련 주제 비중이 높았다.

A Study on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based on Design Thinking, Design Science - Smart City case

  • SUH, Eung-Kyo
    • 융합경영연구
    • /
    • 제9권2호
    • /
    • pp.11-20
    • /
    • 2021
  • Purpose: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has been emphasized in the transition from industrial society to knowledge-based society. Recently, design thinking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as one of the ways to increase the creativity of the organ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lving urban problem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technology and citizen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is indispensable for realizing smart c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solving urban problem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technology and citizen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is indispensable for realizing smart cities. Resul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sign a citizen-participation type system and contents using a specific space to realize a smart city. This system utilizes the concept of space as a tool to promote innovation activities with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and makes it easy for users of space to participate based on urban problems derived from living labs and the internal structure and user flow line have been designed. Conclusions: It was been also used voice recogn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as important technologies for experiencing smart cities. The system and content were designed with an emphasis on allowing citizens to directly recognize and experience smart city technology, especially through space-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multi-faceted stimulus elements.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시티 데이터 보안 모델 연구 (D.E.Cho : A Study on Smart City Data Security Model Using Blockchain Technology)

  • 조도은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45-57
    • /
    • 2024
  • 스마트 시티는 정보통신기술의 혁신과 도시 생활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현대 도시 계획의 산물이다. 스마트 시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실시간 수집되고 저장 및 처리되는 데이터가 핵심자원이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수집되는 스마트 시티의 데이터는 안전하게 관리되어야 하며, 개인정보보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시티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시티 데이터 보안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 모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IPFS를 통합하여 데이터를 분산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확보하고, CP-ABE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의 접근제어가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였다. 또한 데이터 접근 제어 정책과 동형 암호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의 활용성을 강화하면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도록 하였다.

  • PDF

AHP를 활용한 스마트시티 사업의 전략적 우선순위 분석: 잠재적 주민을 대상으로 (Examining the Strategic Priorities for Smart City Project with Analytic Hierarchy Process Based on a Survey of Potential Residents)

  • 강하은;김승철;이태원;장미경;이아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243-253
    • /
    • 2021
  •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에 거주할 의향이나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인 주민들을 대상으로 AHP 분석기법을 활용해 전략목표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마트시티 사업의 비전, 핵심가치, 전략목표에 대한 계층구조도를 설정하기 위해 국내외 스마트시티 관련 학술논문 및 연구보고서, 사업계획서, 기관 홈페이지 등을 조사하여 교수, 연구원, 전문가 및 포커스 그룹의 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2계층 4개, 3계층 12개 속성들을 선정, 계층구조도를 확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HP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민들은 스마트시티 사업에 있어 삶의 질을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계층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로는 안전성을 가장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편의성, 친환경, 사회적 불평등 해소 순으로 우선순위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시 세워야 할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미 그린 뉴딜 사업의 추진체계와 사업특성에 관한 연구 -국내 스마트 그린도시와 미국의 주 및 부족 지원 보조금의 비교를 중심으로- (Implementation System and Project Characteristics of Green New Deal Projects in Korea and the U.S.A. -A Comparison between the Smart Green City in Korea and State and Tribal Assistance Grants in the U.S.A.-)

  • 윤지희;염성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593-607
    • /
    • 2022
  • Climate change has recently become a serious global issue, and carbon emissions and energy consumption are increasing, particularly in cities where economic activities and populations are concentrated. Accordingly, various countries worldwide are promoting the Green New Deal and promoting urban-centered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ies with the aim of carbon neutrality. In Korea, following the "smart green city" project that creates a city where humans and the environment coexist, a similar "carbon neutral green city" policy is set to be introduced. Therefore, in this stud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introduction of the carbon neutral green city policy will b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ate and Tribal Assistance Grants of the U.S. bipartisan infrastructure law and the smart green city of the Korean new deal.

에너지 측면의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행복도시의 적용실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nergy Planning Technique of Smart Green City : Focus on Application Condition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 오덕성;박소연;이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368-6375
    • /
    • 2015
  • 본 연구는 스마트 그린시티의 목표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에너지 측면의 계획기법과 적용기술을 정리하고, 국내에서 가장 먼저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을 수립한 행복도시를 분석함으로서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의 실현방안을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스마트 그린시티의 개념을 정의하고, 3개 목표, 3개 부문, 6개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과 스마트 그린시티 목표와 계획기법의 기대효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18개 계획기법을 도출하였다. 셋째, 행복도시를 대상으로 도출된 계획기법의 적용실태를 기반여건 조성과 기술 및 시스템 도입 측면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그린시티 조성을 위한 주요 계획기법은 '도시 에너지 통합관리 센터 구축', '건축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빌딩 자동화 시스템', '녹색교통 체계 구축', '지능형 교통 시스템',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 등 건축물 에너지 소비 절감과 지능형 녹색 교통 시스템 구축에 관련된 계획기법으로 도출되었으며 향후 개선 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