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phone dependenc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5초

부모 양육 태도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 욕구의 매개효과 (Parenting Attitude and Over Dependence on Smart Phon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 이현이;김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62-74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 양육 태도와 기본심리 욕구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기본심리 욕구의 매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7년 인터넷 스마트폰 과의존 장기 추적 조사 데이터 901명의 설문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과의존은 기본심리 욕구의 자율성(r=-.22, p<.001), 유능성(r=-.13, p<.001)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r=-.21, p<.001)에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부정적 양육 태도(r=.15, p<.001)에서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 양육 태도와 기본심리 욕구는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친다. 긍정적 양육 태도는 자율성을 매개하여 스마트폰 과의 존을 낮춰주고, 부정적 양육 태도는 자율성을 매개하여 스마트폰 과의존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사회적 관심 제고를 위한 국가적 정책 방향과 함께 자녀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기본심리 욕구 충족을 위한 부모교육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개입 방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의 지각된 특성이 심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도감과 의존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upon Psychological Attitude -Study with focus on sense of security and sense of dependence)

  • 조휘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175-18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지각된 특성이 심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지각된 특성의 변수로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심리적 태도 변수로는 안도감과 의존감을 결과 변수로는 사용자 만족을 설정하여 연구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모델을 실증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스마트폰의 지각된 특성과 심리적 태도를 연구하는데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은 첫째, 스마트폰의 지각된 특성인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은 심리적 태도인 안도감과 의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감은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만 안도감은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증후군에 대한 인지정도 및 실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Status and Degree of Recognition for Smart Phone Syndrome of Undergraduate Students)

  • 김태희;강문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941-948
    • /
    • 2014
  •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정신과 신체 건강, 학업, 대인관계 등 일상생활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스마트폰 증후군도 어느 사이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용어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증후군의 인식 정도와 디지털 건망증, 스마트폰 중독 및 카카오톡 의존도 등 대표적인 증후군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스마트폰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 대응 방안을 고찰하였다. 1일 평균 5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증후군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 디지털 건망증 및 카카오톡 의존도 등을 포함한 스마트폰 증후군이 매우 심각한 상태로 분석되어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해야 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융복합시대에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mart-phone Depend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e Convergence Era: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

  • 백선미;손귀옥;박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00-108
    • /
    • 2019
  •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한 4개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총 221부로 실증적인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의 일상생활 장애와 가상세계 지향이 높으면 대인관계 문제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일상생활 장애와 가상세계 지향이 높으면 진로태도성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는 진로태도성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스마트폰 의존도와 진로태도성숙 관계에서 모두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 경험 (Smartphone Usag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 김정애;조의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87-201
    • /
    • 2016
  • 본 연구는 20세에서 23세 사이의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경험 구조를 분석하고자 총 4회에 걸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4개의 일반적 구조문장과 28개의 주제로 작성할 수 있었다. 일반적 구조문장은 스마트폰 사용의존, 스마트폰 사용현상, 스마트폰 사용결과, 스트레스와 스마트폰과의 관계이었고 주제는 양가감정, 스마트폰에 대한 긍정적 감정, 분리불안, 스마트폰에 대한 부정적 감정, 스마트폰에 의존되어 있는 감정, 스마트폰과의 일체감, 생활의 보조 역할, 깊게 삶에 관여함, 일상생활에 유용함, 학습 소통 휴식과 건강관리, 인간관계 유지, 가장 중요한 존재, 깊이가 얕은 관계의 속상함, 대인관계 방해, 부정적인 대인관계 형성, 사적인 부분 침해, 부정확한 인맥 구축, 어쩔 수 없이 참여, 개선하지 않으려는 인간관계, 집중력 저하, 학업에 방해, 학업에 도움, 심층학습 성취에는 한계적 도움, 스트레스 도피 공간, 스트레스 증폭, 강박적 집중, 괴리감, 시간낭비이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대학생에게 스마트폰의 사용은 스마트폰에 의존하게 되었고, 인간관계와 학업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스트레스를 증폭시켰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의 원칙이 필요하고, 합리적인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문화 구축을 제언한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Latent Profile Analysis on Smart Phone Depen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염동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07-114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프로파일을 탐색하고, 프로파일에 나타난 집단별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의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 Chil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초등학생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1,585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의존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와 잠재계층 분류율에 따라 3개 계층 유형이 선택되었다. 유형 1은 모든 지표에서 낮게 나타나 저의존집단(50.1%)으로, 유형 2는 모두 지표에서 높게 나타나 고의존집단(10.7%)으로, 유형3은 모든 지표에서 중간 수준으로 나타나 중의존집단(39.2%)으로 명명하였다. 스마트폰 의존도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의존집단을 기준으로 중의존집단과 비교했을 때,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또래애착이 낮을수록 중의존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저의존집단과 비교한 결과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친구교제시간이 적을수록, 방임의 정도가 낮을수록, 또래애착이 낮을수록 저의존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메타분석 (Smart phone dependence Intervention Program meta-analysi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송화;이경은;김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44-152
    • /
    • 2019
  • 아동의 스마트폰의 무분별한 사용은 일상생활에 장애가 되며 아동의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인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스마트폰에 중독된 아동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고, 국내에서 출간된 스마트폰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 18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등학생 스마트폰 중독감소를 유발하는 스마트폰 중독 집단프로그램의 전체 변인의 효과 크기는 g=-0.90로 나타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감소 및 관련 변인들의 변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발적인 참여 동기에서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연구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개입은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전 스마트폰에 대한 예방 교육이 필요하고,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이 스마트폰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성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이 스마트폰에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IT 리터러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 의존이 청소년 온·오프라인 비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Dependency on Juvenile Delinquency)

  • 전영준;남태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39-151
    • /
    • 2020
  • 본 논문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드에서 일어나는 청소년 비행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매개분석을 통해 파악한다.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 온라인·오프라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어 매개변수로서 스마트폰 의존도와 정서상태를 포함하여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다중매개효과가 문화활동 참여에 따라 완화되는지를 분석하고자 문화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표본을 구분하여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의 영향력이 문화활동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 간에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er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2018)의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한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드에서의 청소년 비행의 증가에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스마트폰 의존과 청소년의 정서상태는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고 문화활동 참여집단에서 이러한 영향력이 다소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 여성의 결혼친화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자아실현욕구, 부모의존, 일·가정 양립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rriage friendly attitudes among unmarried women -Focusing on self-actualization needs, dependence on parents, and work-family balance stress-)

  • 노유영;임춘희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1-97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elf-actualization needs, dependence on parents, and work-family balance stress affecting on the marriage friendly attitudes among the unmarried women in twenties and thirtie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315 unmarried women connected by SN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method through SNS by the smart phone using by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and analyzed by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rriage friendly attitude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religion, dating. In the case of college graduates, having religion and dating partner, unmarried women had more marriage friendly attitudes.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marriage friendly attitudes among unmarried wome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ducation, religion, and the humanity factor among the self-actualization needs, emotional dependence on parents and work-family balance stress. In addition, the humanity factor among the self-actualization needs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marriage friendly attitudes among unmarried women in this stud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emphasizing humanity education, having the emotional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and enforcing social systems for work-family balance for the greater marriage friendly attitudes of unmarried women in twenties and thirties.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s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on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Based on Meditation Effect of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 박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06-41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 구실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초4 코호트" 2,607명 중 불성실한 응답표본 208명을 제외한 2,399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 지지와 강요는 아동의 공격성에 대해 부(-)영향을 미치지만, 거부와 비일관성은 공격성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일관성과 거부는 아동의 사회적 위축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강요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격성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위축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자율성지지, 거부, 강요 그리고 비일관성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시사하는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