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ity development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7초

U-City계획 고도화를 위한 조달청 물품정보 활용 방안 : CCTV 사례를 중심으로 (Application Plan of Goods Information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for Enhancing U-City Plans)

  • 박준호;박정우;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34
    • /
    • 2015
  • 본 연구는 U-City 공간의 고도화된 설계 및 계획 활동 지원을 위해 필수정보인 지능화시설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계획가나 설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레퍼런스 모델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레퍼런스 모델의 핵심은 유비쿼터스 서비스 계획내용을 수행할 수 있는 지능화시설에 대한 정보의 포괄성 (Comprehensiveness)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관련정보의 최신성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방대한 지능화 시설의 정보를 다루고 있는 조달청 물품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조달청 물품정보 활용을 위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적용사례로서 CCTV의 적정 배치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진단하였다. 현재로서 U-City계획 패러다임은 IT 기술중심에서 스마트 공간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U-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화시설의 설치 및 배치 등에 관한 기준이나 정보의 부족과 같은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관련법제도 및 지침의 부재로 인해 지능화시설의 적정 배치 선정과 같은 계획활동은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볼 때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U-City 계획 및 설계자에게 제공 가능한 IT기술 및 지능화 시설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서비스 수준과 예산 등을 고려한 최적 계획 수립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조달청 물품정보를 연계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달청은 약 26만 건의 산업관련 DB를 기 구축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갱신되어지고 있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U-City 산업의 핵심인 지능화시설과 관련 기술에 대한 정보수집처로서 매우 유익한 정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제공하고 있는 정보가 활용측면에서 내용적으로 다소 부족하고 정보 공개 측면의 제한성으로 인해 활용상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달청 물품정보의 연계 및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U-City계획의 고도화 및 조달청 물품정보의 다부처 공동 활용을 위한 기초적 틀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계층분류 기법을 이용한 위성영상 기반의 동계작물 구분도 작성 (Satellite Imagery based Winter Crop Classification Mapping using Hierarchica Classification)

  • 나상일;박찬원;소규호;박재문;이경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2호
    • /
    • pp.677-68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기반의 동계작물 구분도 작성을 위한 계층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계층분류 기법은 입력 자료를 계층별로 정의하여 분류하는 방법으로 혼합 픽셀의 효과를 줄이고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북 김제시의 동계작물을 대상으로 Landsat-8 위성영상을 사용하였다. 먼저, Landsat-8 위성영상에서 스마트 팜 맵을 이용하여 농경지를 분류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농경지를 대상으로 시계열 식생지수를 사용하여 동계작물 재배지를 추출한 후, 최종적으로 무인기 영상에서 추출한 훈련자료를 활용하여 밀, 보리, IRG, 청보리 및 혼파 재배지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계층분류 기법에 의한 동계작물 분류 정확도는 98.99%로 동계작물별 재배 필지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안된 분류방법은 작물구분도 작성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단기강우 시 소유역내 식생저류지의 유출량 저감성능 분석 (Analysis of outflow reduction effect of bioretention in small watersheds during short-term rainfall)

  • 김재문;백종석;김병성;권순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2호
    • /
    • pp.855-869
    • /
    • 2023
  • 도심지의 잦은 홍수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저영향개발기법은 지속적으로 연구중에 있다. LID는 도시화의 영향으로 부터 물순환을 회복하기 위해 강우유출 지점에서 침투 및 저류를 기반으로 개발이전의 물순환 상태로 회복하기 위해 도입된 기술이다. 그 중 식생저류지는 LID 요소중 하나로 우수유출수의 침투 및 저류를 통해 유출량을 감소하고, 비점오염원 저감 효과를 가지고 있다. 식생저류지의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었으나 소유역 규모에서의 정량적 성능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수문해석을 할 수 있는 K-LIDM (Korea-Low Impact Development Model)을 활용하여 식생저류지 유역 구축을 통해 유출량 저감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추후에 유역특성, 식생유형 및 토양상태 등 여러가지 변수들을 포함한 연구수행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중소기업의 성과평가를 위한 BSC 구축에 관한 사례연구 - I사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BSC Development of a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 for Performance Evaluation)

  • 지성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83-9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에 있는 중소 제조기업인 I사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에 적합하고 경영환경에 맞는 BSC를 구축하는 것으로, 다른 중소기업들이 이 사례연구를 통해 BSC 구축시 거쳐야 하는 중요한 과정과 각 과정별로 중요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BSC가 구축된 이후 기업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요시장의 환경변화에 따라 주요 사업부문이었던 RDS에서 새로운 SSS로의 사업전략의 변화를 목표로, 사례기업에 맞는 BSC를 구축하였다. 전사적 차원 뿐 아니라 각 팀별로 전략체계도를 작성하고 각 관점별 전략목표, 핵심성공요인 및 핵심성과지표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전체 뿐 아니라 각 팀별로 스마트차트를 작성하여 관점별 점수와 전략목표, 핵심성공요인, 핵심성과지표의 가중치와 목표점수, 실적, 달성율까지 쉽게 계산할 수 있는 중소기업 맞춤형 성과평가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간척지 자원순환형 축산단지의 도입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a Resources Circulation Type Livestock Zone of Reclaimed Land)

  • 윤성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07-326
    • /
    • 2009
  • The present study suggests a concept of resources circulation type agriculture and a concept of a livestock zone related to it and evaluated economical efficiency about a possibility of the resources circulation type livestock zone based on the concept. As a result, when the resources circulation type livestock zone is operated in an area of 1,300ha, it was evaluated that the profit of 11,244 hundred thousand won per year is generat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griculture. When light and heat expenses and roughage of Hanwoo production, production of TMR forage as well as income of the energy and composting business of livestock manure at the recycling center were considered in addition to that, it was judged that the present zone development bushiness has enough business feasibility. However, it is necessary that the support regulations, etc. is constructed so that all produced compost byproducts are used at farmhouses and the system related to facility investment assurance and assistance of operating expenses is maintained. It is thought that the complement of a system is also necessary so that energy or power generation expenses can be operated in the same conditions as other new & renewable energy, and the nation's purchase of carbon credits(CDM) is investigated and systemized in the early period, and construction of a revitalization plan of the business through budget securing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related to the trade of CDM and carbon emission rights is also a business that should be urgently developed. In the future, the change of an outside environment will further promote use of the energy. Also, as people, who don't know agriculture. farm village, increase day by day because of population concentration in a city, an opportunity that can new added value through experience tourism or educational programs utilizing them is increasing. Accordingly, if programs utilizing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utilization as a space of tourism. leisure. experience, system construction of bio-energy and system construction that Micro Grid or Smart Grid as a dispersed storage and generation system is stabilized, are constructed, it can be said that revitalization or success conditions of the zone is further achieved.

  • PDF

무선망 기반의 U-버스광고 비즈니스 모델 및 시스템 구축 방안 (U-Bus Advertisement Business Model and System Implementation based on Wireless Networks)

  • 노수성;김도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8-97
    • /
    • 2010
  • 최근 유비쿼터스 기술의 발달과 도시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효율적인 광고의 정보 전달을 위하여 첨단 기술과 매체간 융합을 통해 버스의 도착시간안내, 스마트폰을 활용한 광고 등 도시민들에게 더욱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뉴미디어를 이용한 실시간 이동형광고의 경우 대용량 데이터의 전달방법과 통신료 부담 등의 어려움이 많아 이를 개선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연구 되었다. 이동형광고 중 u-버스광고 비즈니스 모델과 이동시 실시간 정보제공, 대용량 데이터전송 등 매체의 특성 분석을 통한 차별화 사업전략 방안을 제시하며, 운영센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단말부를 통한 광고송출까지 구체적인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첨단기술과 다양한 매체와의 융합을 통한 실무적으로 활용 가능한 비즈니스모델로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인구 감소 현상에 따른 목포시 빈집 및 공지의 공간적 분포 전망 (Exploring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Houses and Vacant Land Due to Population Decrease in Mokpo)

  • 조영우;최유빈;박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3-47
    • /
    • 2020
  • With population losses and stagnant or depressed economies, the local governments embrace shrinkage and accept having a significantly smaller population. Both the initial and ongoing causes of shrinkage hold dramatic effects on the city and its remaining residents. In this context, vacant land increases as an overabundance of unused infrastructure is demolished and municipalities become burdened with increasing maintenance costs of this land. The result is that vacant land often experiences minimal management relative to social norms and have chance to provide a setting for ecological processes with urban rightsizing strategy. Therefore, urban ecosystems undergo major shifts in structure and function. We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possibilities of where and how much of houses and land will be abandoned to assist land planners and policymakers to mitigate conflict between optimal ecological and sociological outcomes. This article, therefore, aims to identify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cant houses and lands with case study of Mokpo. The study found and verified affecting factors of vacant houses and lands by type through the use of a Maxent model and spatial data that explained housing choice and preference theory. We can predict the vacancies with the spatial variables such as land price, the population ratio over 65, and the distance from security facility. Based on the analysis, the ways of managing housing and land vacan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method are discussed.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자각증상과 학습몰입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and learning flow among nursing student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 김경희;이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139-14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자각증상과 학습몰입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S시와 M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재학생을 편의 표집하여 최종 1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은 스마트폰 중독경향과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자각증상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과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을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다. 스마트폰 중독관리와 컴퓨터단말기증후군 관리를 위한 다양하고 효과가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코로나-19 이후 시대에 생활SOC 시설의 설치·운영을 위한 우리나라 생활권의 설정과 유형 구분 연구 (Studying Life Zone Determ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uth Korea for Providing and Operating Living SOC Facilities in the Post-COVID-19 Era)

  • 김희재;김근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48-461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생활 SOC 시설을 설치하고, 운영하기 위해 우리나라 특성에 적합한 생활권 위계를 설정하고, 유형을 구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생활권과 관련된 정책과 선행연구들을 통해 생활권의 개념을 정립하였고, 생활권 위계에 따라 생활권의 유형을 인구, 고용, 교통, 경제,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z-score 기법을 이용하여 유형구분을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생활권은 규모에 따라 광역생활권, 권역생활권, 도시생활권, 마을생활권, 동네생활권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역할에 따라 중심생활권, 직주균형생활권, 주거생활권, 산업생활권, 저밀생활권으로 유형구분을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타당한 생활권 설정과 적절한 생활 SOC공급은 낙후지역의 쇠퇴를 막고, 지역 간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안동시 3대문화권 문화·생태·관광 기반조성 사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및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Impacts and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Regional Development Plan by the City of Andong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Cultural Eco-tourism in 3 Cultural Areas)

  • 권기창;안건미
    • 지역과문화
    • /
    • 제4권2호
    • /
    • pp.1-23
    • /
    • 2017
  • '3대 문화권 문화·생태·관광 기반조성 사업' 중 안동시 사업(2010-2020)은 선도사업 2개(세계 유교선비문화공원, 한국문화테마파크)와 전략사업 3개(유림문학유토피아, 선성현 문화단지. 전통 빛타래 길쌈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간 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하여 사업 예산 4,432억 원이 경북지역 내 창출한 생산유발액은 6,068억 원(유발계수 1.37), 부가가치유발액은 1,965억 원(유발계수 0.44), 소득유발액은 1,331억 원(유발계수 0.30), 고용유발인수는 2,851명(유발계수 10억 원당 6.43명)이었고 경북을 제외한 타 지역에 창출시킨 생산유발액은 3,834억 원(유발계수 0.877), 부가가치유발액은 1,617억 원(유발계수 0.27), 소득유발액은 546억 원(유발계수 0.12), 고용유발인수는 1,849명(유발계수 10억 원당 4.17명)이었으며 전국에서 유발된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 9,902억 원(유발계수 2.23), 부가가치 3,182억 원(유발계수 0.72), 소득 1,877억 원(유발계수 0.42), 고용 4,701명(유발 계수 10억 원당 10.6명)이었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업은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고 있고 당초 목적인 유교문화의 생활화·산업화·세계화를 달성하기에 많은 한계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 사업과 연계한 한문화 ICT융합 체험단지, 전통문화와 ICT융합 콘텐츠 개발, 안동호 주변연계관광지 조성, 안동호 관광인프라 구축, 전통문화체험단지 조성 등을 신성장 동력 사업으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