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Service

검색결과 2,969건 처리시간 0.026초

스마트워크 환경을 위한 구조와 서비스 응용 (Structure and service applications for smart work environment)

  • 강성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265-270
    • /
    • 2016
  • 스마트폰를 비롯한 모바일 장비, 무선 네트워킹과 인터넷 등의 ICT 기술 진전은 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제반 업무 수행의 방식, 비지니스 프로세스, 서비스 조직 운영 양태에 획기적인 변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진전에 부응하여 제반 일을 보다 수월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자는 노력의 일환으로, 많은 조직체들은 스마트워크 환경 구현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능한 스마트워크 유형들을 살피고 그러한 스마트워크 환경 구현을 위한 네트워킹과 시스템 구성의 구조와 서비스 시나리오들을 다루었다. 또한,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핵심적인 응용으로서 컨퍼런싱 서비스의 호 설정 및 호 해지 절차와 아울러 그 서비스 시나리오와 사용 케이스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스마트워크 환경을 위한 구조와 서비스 응용에 대한 연구는 스마트워크의 환경 구현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홈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Analysis about Impact of Smart Hom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 김규남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4호
    • /
    • pp.97-126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홈 관련 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 대한 문헌검토(literature review)를 통해 스마트홈 관련 산업을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분류하고 외생화하였다. 그리고 2018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이들 산업이 유발하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 및 취업효과와 산업간 연쇄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홈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각 산업 영역에서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수준의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보였으며 스마트홈 산업 내부적으로는 제조업의 서비스업 생산 견인 기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4차 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하는 산업답게 기술집약적인 산업과의 연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카, 핀테크 등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 부문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스마트홈 제조업은 후방파급효과가 전방파급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최종 수요적 산업인 반면 스마트홈 서비스업은 전방파급효과가 후방파급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중간재 산업으로서 타 산업으로의 공급 기능이 높은 산업임을 알 수 있었다.

사물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기반 스마트 홈 리모컨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Remote Contro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Service Platform)

  • 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563-1570
    • /
    • 2018
  • 사물인터넷 기술은 다양한 제품 서비스를 통해 우리생활 곳곳에서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 홈 분야에서의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스마트 홈 제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는 대부분 스마트폰 앱을 사용한다. 그러나 스마트폰 앱은 지능화와 편의성을 강조하는 스마트 홈 서비스와 상반되어 스마트 홈 컨트롤러로 적절하지 않다. 지능적인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의 통합적인 제어가 가능하면서 보다 직관적인 형태의 컨트롤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홈 리모컨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스마트 홈 리모컨은 IFTTT(If This Then That) 자동화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를 구축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스마트홈 서비스 환경에서의 보안 위험 분석을 위한 위협 모델링 적용 방안 (Application of Threat Modeling for Security Risk Analysis in Smart Home Service Environment)

  • 이윤환;박상건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6권2호
    • /
    • pp.76-81
    • /
    • 2017
  • In this paper, the risk analysis of smart home services was implemented by applying threat modeling. Identified possible threats for safe deployment of smart home services and identified threats through the STRIDE model. Through the creation of the Attack Tree, the attackable risk was analyzed and the risk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DREAD model. The derived results can be used to protect assets and mitigate risk by preventing security vulnerabilities from compromising and identifying threats from adversely affecting services. In addition, the modeled result of the derived threat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performing the security check of the smart home servic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Monitoring System based on Smart Device for Service Robot Applications

  • Lee, Jun;Seo, Yo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3호
    • /
    • pp.35-41
    • /
    • 2018
  • Smart device has become an affordable main computing resource for robotic ap-plications in accordance with a fast growth of mobile internet environment. Since the computing power of smart device has been increased, smart device based ro-bot system attempts to replace traditional robot applications with laptop-based system. Methodologies for acquisition of remote sensory information and control of various types of robots using smart device have been proposed rec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ot control system using a monitoring program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The proposed system is a combin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ming oriented robot named EPOR-S. as small service robot plat-form and a smart device. Through a simulation study using image processing, the feasibility of combination of the proposed robot monitoring program and control system was verified.

스마트도시서비스 공동창의자로서의 시민 역할 강화 방안 - 기능카드 기법 개발을 중심으로 - (A Plan to Strengthen the Role of Citizens as Co-Creators of Smart City Services -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 Issue Card Technology -)

  • 지상태;박준호;박정우;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1
    • /
    • 2021
  • 최근 정부는 지역특화형 스마트도시서비스(이하 스마트서비스)의 구축과 시민 체감도 향상을 위해 스마트도시사업에 지역의 사용자인 시민들의 참여를 점차 확대해가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서비스 관련 기술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스마트서비스 구상 과정에서 시민들로부터 구체적인 수준의 의견을 도출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19년 '스마트타운 챌린지 사업'으로 선정된 지자체 4곳의 보고서를 검토하여 리빙랩을 통해 스마트서비스에 대해 시민 의견의 구체화 수준을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 리빙랩과정에서 다양한 디자인사고기법을 활용하여 스마트서비스 계획수립에 참여하였지만, 시민이 스마트서비스의 구체적인 기능을 구상하는 단계에 이르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서비스의 정보수집, 가공, 제공 방법, 기술 등 4가지 요소와 서비스의 콘텐츠 등을 모듈한 후 이를 자유롭게 조합하여 활용 가능한 기능카드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기능카드 기법은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제 진행 중인 스마트도시사업에 적용하여 보았다. 이를 통해 기능카드가 시민들이 스마트서비스의 기능과 콘텐츠를 조합하여 상세 기능 수준으로 스마트서비스를 구체화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능카드 기법은 시민참여형 스마트도시 계획에서 시민들이 지역 문제해결을 위한 의견을 구체화하여 지역특화 스마트서비스를 구상하는 공동창의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ICT 네트워크 기반에서의 스마트 농업 교육 서비스 (Smart Farming Education service based on ICT Network)

  • 김동일;정희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534-1538
    • /
    • 2020
  • 스마트농업 교육 서비스는 농업정보의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제공되며 농업 정보는 현재의 농업활동, 농산품, 농지에서의 생산자 경험으로부터 추출된다. 스마트농업 교육은 웹 오브젝트 기반의 자기주도형 학습으로 제공되어 공간, 장소,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관리기능과 감시기능, 학습심사기능 등으로 구성된 스마트농업 교육의 기준 구성도를 제시하여 스마트농업의 확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스마트 농업 교육 서비스 기술 표준 및 스마트 농업의 보급 과정에서 필요한 네트워크 기반 참조 모델을 제시 한다.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 농업을 위한 교육 서비스 표준모델 (Education Service Standard Model of Smart Farming based on Network)

  • 김동일;정희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7-289
    • /
    • 2021
  • 스마트농업 교육은 자기주도형 학습으로 제공되어 공간,장소,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서비스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감시하여 서비스 제공에 반영시킬 수 있도록 상황인지 기능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농업 교육서비스의 개념과 교육 서비스를 위한 요구사항 그리고 참조구조의 교육 표준 모델을 분석한다. 또한 스마트 농업 교육 서비스의 확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네트워크 기반에서의 교육 서비스의 모델을 제시하여 스마트 농업 국내외 표준화 및 농업정보의 확산에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 PDF

스마트 TV 생활 알리미 서비스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Smart TV Service System for Daily Life Notification)

  • 최종명;임도연;박경우;오수열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3-31
    • /
    • 2012
  • With the advance of Smart TV technologies, TV watchers can enjoy the Internet and games while watching TV programs. Besides retrieving with some keywords in the Internet, people may want to access local information such as notifications from town, messages from children's schools, shopping information from local marts, and even reminder messages for visiting from hospitals while watching TV without using web-browser.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daily life notification service scenarios and its functional and non-functional requirements. Furthermore, we also propose a system that provides the notification services, consists of smart TV apps and server systems. We also introduce the system architecture and the component design of the system. Our work will help smart TV service developers because this paper will give them some service scenarios, requirements, and system architecture and its component design.

Smart Phone VoIP 서비스에 대한 공격과 도청 연구 (A Study of Eavesdropping and Attack about Smart Phone VoIP Services)

  • 천우성;박대우;양종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313-1319
    • /
    • 2011
  • VoIP 서비스는 현재 PSTN망과 인터넷망을 활용하여 기존 전화망보다 저렴한 가격에 음성통화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공공의 보안이 유지 되어야 할 Smart Phone VoIP의 경우 보안취약성에 대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해커의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은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Smart Phone VoIP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침해사고 유형을 분석하고 도청 공격을 실시하여 취약점을 분석한다. Smart Phone VoIP 취약점을 분석을 위하여 OmniPeek와 AirPcap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실험실 환경에서 도청 공격을 실시한다. 도청 공격에 따르는 Packet을 분석하고, IP을 확인하여 공격에 의한 침해사고로 도청이 이루어짐을 시험으로 증명한다. 본 논문은 Smart Phone VoIP 사용자 뿐만 아니라, 현재 행정기관에서 도입하고 있는 Smart Phone 서비스와 VoIP 서비스 보안성 강화에 기초자료로 제공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