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Grid

검색결과 1,001건 처리시간 0.026초

지능형 전력망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보안위협과 정책 분석 (Security Threat and Policy Analysis to Secur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Smart Grid)

  • 이대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381-1390
    • /
    • 2021
  • 지능형 전력망은 제어시스템, 전력망, 수용가로 구성되는 세 가지의 광범위한 보안 영역을 다루는 대표적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융합 신기술이다. 융합 신기술인 만큼 향후 국가의 기술발전과 성장동력, 경제성 등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만약의 보안사고 발생 시에는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에너지 관련 기관은 최신의 각종 보안 사고들을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보안대책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스마트그리드 현황과 보안표준 동향, 그리고 취약점 및 위협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스마트그리드 보안기술 전망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스마트그리드 AMI환경에서의 ID기반 인증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D-based Authentication Scheme in AMI SmartGird Environment)

  • 김홍기;이임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8C권6호
    • /
    • pp.397-404
    • /
    • 2011
  • 최근 기존의 단 방향 전력망 시스템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그리드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인프라로 원격검침시스템인 AMI는 스마트미터에서 측정한 전력량을 상위 데이터 저장소인 MDMS에 전송한다. 스마트미터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전력데이터를 전송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보안위협을 포함한 추가적인 보안위협이 예상된다. 이는 소비자의 개인정보노출 및 산업시스템 마비 등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보안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스마트미터와 MDMS간 그리고 각 가정의 디바이스와 MDMS간의 상호인증과 전력량 데이터 전송방식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스마트 그리드 수요반응 시스템을 위한 그리디 스케줄링 기법 (Greedy Technique for Smart Grid Demand Response Systems)

  • 박래혁;엄재현;김중헌;조성래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3호
    • /
    • pp.391-395
    • /
    • 2016
  • 최근 몇 년간, 전력 소비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전력 수급의 불안이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전력 예측의 불확실성 및 전력 발전량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력망과 IT 기술을 결합한 스마트 그리드기술은 각광을 받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 최대 부하율을 낮추며 효율적인 전력 사용을 유도한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은 다양한 요금 정책, 수요반응 기술, 스마트 전자 기기들을 활용한다. 특히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스케줄링 해주는 수요반응 기술은 스마트 그리드의 핵심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요 반응 기술을 위한 그리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그리디 기법은 전력 요금의 최소화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며 시스템 정전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 성과 평가기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erformance of Smart Grid Pilot Projects)

  • 김현제;박찬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15-20
    • /
    • 2012
  • 스마트그리드의 성공적 구축을 위해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이 추진 및 확대되고 있다. 이 시범사업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타당하고 객관적인 성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현실에 맞는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 성과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시범사업 형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평가기준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주요 연구문헌 검토와 전문가회의를 통해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 성과 평가기준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마련된 평가기준 초안은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국내 현실에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총 2차례의 델파이조사를 거쳤으며, 조사 결과 6개 평가항목에 18개 평가기준을 도출하였다.

스마트그리드 개인정보보호법제 개선 (Legislative Reform of Smart Grid Privacy Act)

  • 이동혁;박남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415-423
    • /
    • 2016
  •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은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간 실시간 정보 교환이 가능함으로써 많은 편리성을 가져다 준다. 그러나 사용자의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위험성은 항시 존재한다. 스마트그리드 환경의 특성에 따라, 기존과 같이 개인정보의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개인정보 노출의 위협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 패턴 분석 등에 따른 다양한 정보도 함께 노출될 우려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스마트그리드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스마트그리드를 위한 수요반응 기술 (DR(Demand Response) Technology for Smart Grid)

  • 박재정;김윤현;김진영;서종관;이재조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7
    • /
    • 2012
  • 최근들어, 에너지 자원과 환경보호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친환경적인 소비패턴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기술이 여러 산업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그리드는 IT기술을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상승시키는 기술로써, 이 중에서도 수요반응(Demand Response)기술은 스마트 그리드 안에서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은 과도한 전력 소모시대에 맞춰 효율적인 전력 소모를 위해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그리드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과 수요반응에 대한 개념, 그리고 이에 응용되는 수요반응 기술들과 그 예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하둡기반 빅데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그리드 전력데이터 분석 (Analyzing Smart Grid Energy Data using Hadoop Based Big Data System)

  • 조영탁;이원진;이인규;온병원;최중인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4권2호
    • /
    • pp.85-91
    • /
    • 2015
  • With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Smart Grid infrastructure, it is much easier to collect energy usage data using AMI (Advanced Measuring Instrument) from residential housing, buildings and factories. Several researches have been done to improve an energy efficiency by analyzing the collected energy usage data. However, it is not easy to store and analyze the energy data using a traditional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since the data size grows exponentially with an increasing popularity of Smart grid infrastructure. In this paper, we are proposing a Hadoop based Big data system to store and analyze energy usage data. Based on our limited experiments, Hadoop based energy data analysis is three times faster than that of a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based approach with the current system.

전력 HILs를 활용한 스마트 인버터의 LVRT 시험 (Low Voltage Ride Through Test for Smart Inverter in Power Hardware in Loop System)

  • Sim, Junbo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7권1호
    • /
    • pp.101-105
    • /
    • 2021
  • Encouragement of DER from Korean government with several policies boosts DER installation in power system. When the penetration of DER in the grid is getting high, loss of generation with break-away of DER by abnormal grid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loss of high generation causes abnormal low frequency and additional operations of protection system. Therefore, KEPCO where is Korean power utility is preparing improvement in regulations for DERs connected to the grid to support abnormal grid conditions such as low and high frequencies or voltages. This is called 'Ride Through' because the requirement is for DER to maintain grid connection during required periods when abnormal grid conditions occur. However, it is not easy to have a test for ride through capability in reality because emulation of abnormal grid conditions is not possible in real power system in operation. Also, it is not easy to have a study on grid effect when ride through capability fails with the same reason. PHILs (Power Hardware In the Loop System) makes it possible to analyze power system and hardware performance at once. Therefore, this paper introduces PHILs test methods and presents verification of ride through capability especially for low voltage grid conditions.

PPNC: Privacy Preserving Scheme for Random Linear Network Coding in Smart Grid

  • He, Shiming;Zeng, Weini;Xie, Kun;Yang, Hongming;Lai, Mingyong;Su, X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3호
    • /
    • pp.1510-1532
    • /
    • 2017
  • In smart grid, privacy implications to individuals and their families are an important issue because of the fine-grained usage data collection. Wireless communications are utilized by many utility companies to obtain information. Network coding is exploited in smart grids, to enhance network performance in terms of throughput, delay, robustness, and energy consumption. However, random linear network coding introduces a new challenge for privacy preserving due to the encoding of data and updating of coefficients in forwarder nodes. We propose a distributed privacy preserving scheme for random linear network coding in smart grid that considers the converged flows character of the smart grid and exploits a homomorphic encryption function to decrease the complexities in the forwarder node. It offers a data confidentiality privacy preserving feature, which can efficiently thwart traffic analysis. The data of the packet is encrypted and the tag of the packet is encrypted by a homomorphic encryption function. The forwarder node random linearly codes the encrypted data and directly processes the cryptotext tags based on the homomorphism feature. Extensive security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s demonstrate the validity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scheme.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변조 방지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안전한 사용자 인증 및 키 합의 방식 (A Secure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Scheme for Smart Grid Environments without Tamper-Resistant Devices)

  • 박기성;윤대근;노성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313-323
    • /
    • 2020
  • 최근 스마트 그리드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는 다양한 환경에서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전력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들은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므로 공격자의 데이터 주입, 변경, 삭제 및 추출 등 다양한 잠재적인 공격에 취약하다. 따라서 올바른 사용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하고 키를 합의 하는 것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보안 필수요소 이다. 본 논문에서는 Zhang 등이 제안한 인증 및 키 합의 방식이 안전성을 tamper-resistant 디바이스에 의존하는 문제가 있으며 스마트 미터 도난 및 위장 공격, 세션 키 노출 공격 등 다양한 공격에 취약함을 밝히고 이를 개선한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변조 방지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으며 안전한 사용자 인증 및 키 합의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인증 방식의 안전성 및 성능을 분석하고 BAN(Abadi-Burrow-Needham) logic 분석을 통하여 제안한 방식이 안전한 상호 인증을 제공함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방식은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실제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인증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