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IoT sensor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4초

RF433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ARDUINO-YUN 기반의 게이트웨이를 활용한 전력관리 IoT 시스템 (Power Manageable IoT Systems Using RF433 Wireless Sensor Network and ARDUINO-YUN Based Gateway)

  • 최은석;심재용;장석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36-944
    • /
    • 2017
  • 현재 산업 분야 전반에 걸쳐 다양한 IoT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 기술들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중이다. 그러나 IoT 대부분의 연구들은 센서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연결되는 복잡한 구조에 의존한다. 물론 유연성과 확장성 측면에서 이들은 분명한 장점이 있다. 문제는 이와 같은 복잡한 구성은 구현상의 어려움과 추가적인 비용을 초래하기 때문에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의 산업 분야에서 IoT 도입을 저해하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저비용의 IoT 환경이 필요한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 구조를 제안 한다. 또한 RF433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아두이노 윤 기반의 게이트웨이, APM (Apache, PHP, MySQL)을 적용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현하고 이들 간의 효율적인 전력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스마트 홈 프로토타입 구현 (A Smart Home Prototype Implementation Using Raspberry Pi)

  • 김정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139-1144
    • /
    • 2015
  • 인터넷이 가능한 기기를 상호 연결하여 새로운 정보와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은 가정, 사무실, 공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가정에서는 하나의 작은 인터넷을 구성하고 기기들끼리 상호 연동하여 안전, 보안, 편리성, 에너지 절약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가이지만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라즈베리파이에 각종 센서를 연결하여 가정의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홈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단순히 센서로서 역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네트워크에서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웹 노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별도의 서버가 필요 없으므로 경제적이며 다수의 웹 노드들이 상호 연동할 수 있어 확장성과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

RF433 무선 센서 네트워크 및 ARDUINO YUN을 활용한 전력 효율적인 IoT 시스템 (Power Efficient IoT (Internet of Things) System using the RF433 Wireless Sensor Network and ARDUINO YUN as the Gateway)

  • 최은석;심재용;장석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19-722
    • /
    • 2016
  • 현재 산업 분야 전반에 걸쳐 다양한 IoT 기술들을 접목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센서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구성되는 복잡한 IoT 시스템 구조는 구현 상의 어려움과 설치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이 필요한 산업 분야에서 IoT 도입을 저해하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저비용의 IoT 환경이 필요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 구조를 제안 한다. 또한 RF433 모듈을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아두이노 윤을 활용한 게이트웨이, 그리고 APM (Apache, PHP, MySQL)을 적용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현하고 센서 디바이스의 효율적인 전력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IoT-based Automati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 Choi, Eun-Soo;Kang, Min-Soo;Jung, Yong Gyu;Paik, Jean 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70-75
    • /
    • 2017
  • Recent development of IT industry including smart phone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s resulted in rapid growth of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and relevant markets. The access to IoT is becoming easier thanks to the boards and IoT products, such as Arduino and Raspberry Pi. Large-scale business sites use IoT technology to manage inventories, but small-scale business sites do not. In the present study, We ported Linux-based Raspbian to Raspberry Pi, It utilizes web server communication to control the Arduino through the application We used a color sensor to figure out the kind of inventory. We also built a database using MySQL to store the data. We used raspberry pi to check whether the proposed system works and apply it to small-scale business.

Adaptive Success Rate-based Sensor Relocation for IoT Applications

  • Kim, Moonseong;Lee, Wooch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9호
    • /
    • pp.3120-3137
    • /
    • 2021
  • Small-sized IoT wireless sensing devices can be deployed with small aircraft such as drones, and the deployment of mobile IoT devices can be relocated to suit data collection with efficient relocation algorithms. However, the terrain may not be able to predict its shape. Mobile IoT devices suitable for these terrains are hopping devices that can move with jumps. So far, most hopping sensor relocation studies have made the unrealistic assumption that all hopping devices know the overall state of the entire network and each device's current state. Recent work has proposed the most realistic distributed network environment-based relocation algorithms that do not require sharing all information simultaneously. However, since the shortest path-based algorithm performs communication and movement requests with terminals, it is not suitable for an area where the distribution of obstacles is uneven. The proposed scheme applies a simple Monte Carlo method based on relay nodes selection random variables that reflect the obstacle distribution's characteristics to choose the best relay node as reinforcement learning, not specific relay nodes. Using the relay node selection random variable could significantly reduce the generation of additional messages that occur to select the shortest path. This paper's additional contribution is that the world's first distributed environment-based relocation protocol is proposed reflecting real-world physical device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OMNeT++ simulator. We also reconstruct the three days-long disaster environ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has been performed by applying the proposed protocol to the simulated real-world environment.

Apache Kudu와 Impala를 활용한 Lambda Architecture 설계 (Lambda Architecture Used Apache Kudu and Impala)

  • 황윤영;이필원;신용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9권9호
    • /
    • pp.207-212
    • /
    • 2020
  • 데이터의 양은 기술의 발전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이 등장하고 있다. 이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플랫폼이 Apache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한 하둡이며, 하둡은 IoT 분야에도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에 하둡 기반 IoT 센서 데이터 수집 분석 환경은 하둡의 코어 프로젝트인 HDFS의 Small File로 인한 네임노드의 과부하 문제와 임포트된 데이터의 업데이트나 삭제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Apache Kudu와 Impala를 활용해 Lambda Architecture를 설계한다. 제안하는 구조는 IoT 센서 데이터를 Cold-Data와 Hot-Data로 분류해 각 성격에 맞는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배치를 통해 생성된 배치뷰와 Apache Kudu와 Impala를 통해 생성된 실시간뷰를 활용해 기존 하둡 기반 IoT 센서 데이터 수집 분석 환경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가 분석된 데이터에 접근하는 시간을 단축한다.

Diffie-Hellman 기반 사물인터넷 센서노드 키 관리 연구 (The research on Diffie-Hellman-based IoT Sensor Node key management)

  • 홍성혁;유진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9-14
    • /
    • 2017
  • 최근 저가격의 소형화, 저전력 기술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센서의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사물인터넷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 IoT) 기반에서의 안전한 정보 전송을 위한 키 관리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물인터넷은 센서를 이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저전력과 저용량 등의 제약이 심하며, 결과적으로 일반적인 보안의 방법으로 키를 관리하기 어렵다. 그러나 사물인터넷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안전한 키 관리의 문제는 필수적 해결과제이다. Diffi-Hellman 키 교환방식은 센서노드에 적합하지 않아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키 관리하는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기반에서 통신을 위한 키 생성을 통해 물리적 제약받지 않고 사물간 안전한 통신 기술을 제안한다.

중소기업 환경에서 IoT 기술을 이용한 제조 환경 개선에 관한 분석 연구 (A Study on improving manufacturing environment using IoT technology in small business environment)

  • 정윤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83-90
    • /
    • 2017
  • 최근 대기업을 중심으로 가전제품, 스마트폰, 헬스케어 제품에 IoT를 부착한 제품을 출시하여 IoT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중소기업 환경은 다른 나라보다 IoT 기술을 적용하기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에 IoT 기술을 중소기업 환경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 개선 프로세스가 무엇보다도 절실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에서 현재 운영중인 제조 공정을 IoT 기술과 융합하였을 때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 운영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전체 제조 공정과정에서 제조 제품 정보와 센서/다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IoT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 모델은 기존 모델보다 제조 프로세스의 효율성이 23.1% 향상되었다. 또한, 제조 프로세스가 증가할수록 기존 모델에 비해 업무 처리시간이 평균 17.3% 단축되었다. 마지막으로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인력 감축 비용이 기존 모델보다 평균 19.8%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oT 수집 서버를 위한 공간효율적 압축-칼럼 관리 (Space-Efficient Compressed-Column Management for IoT Collection Servers)

  • 변시우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79-187
    • /
    • 2019
  • 소형 컴퓨팅 기기의 최근 발달과 더불어, 사물인터넷 기반 센서 네트워크가 광범위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제는 저렴한 비용으로 센서 연산 기능과 통신 기능을 사용가능하게 되었다. 센서 데이터 관리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주요한 요소이다. 센싱 장비로부터 발생되고 전파되는 엄청난 분량의 자료는 많은 유효 정보를 제공하고 사업추진을 위한 다음세대의 빅데이터로 생각되고 있다. 최신 컬럼 기반 압축 기법이 높은 공간 효율 때문에 대용량 서버에 장착되고 있다. 센서는 좁은 대역폭과 오류가 많은 무선 채널을 사용하므로, 센서 기반 저장 시스템은 불안정한 데이터 서비스에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물 인터넷 센서망에 대한 분석을 간략하게 서술하며, 사물 인터넷을 위한 신규 스토리지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관리 방법은 레이드 스토리지 모형을 근거로 하고, I/O 성능의 감쇄 없이 공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컬럼 기반 분리 및 압축법을 활용한다. 컴퓨터 모의 성능 실험을 통하여 본 제안 저장 기법이 기존 Raid 제어 기법보다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소형 IoT 기기 제작을 위한 FDM 프린팅 공정에서의 내부채움에 따른 물성치 변화 연구 (A Study for the Mechanical Properties with Infill Rate in FDM Process to Fabricate the Small IoT Device)

  • 안일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75-80
    • /
    • 2020
  • 최근의 IoT 센서의 소형화와 센서의 소형화로 인하여 다른 센서 및 구조물들과의 간섭 및 견고성을 고려하여 더욱 복잡해 지고 있다. 최근 3D 프린팅 기술은 센서 직접 제작이나, 센서 소자를 포함하는 기구를 만드는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이 되고 있다. 그 중에서, fused deposition modeling(FDM) 기술은 장비 및 소재의 가격이 상당히 저렴하며, IoT 기기의 제작이 활용이 가능한 가장 유력한 기술중에 하나이다. 그런 FDM 프린팅 기술은 플라스틱 소재 기반의 필라멘트를 녹여서 적층하여 3D 형상을 만들어 내는 기술이며, 최근에 특허 종료와 아울러 오픈 소스 기반의 저가형 프린터가 개발됨으로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FDM 기술을 이용하여 출력된 출력물에 있어서 기계적 물성치는 소재의 종류와 다양한 공정 변수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도 내부 채움(infill)은 기계적 물성치에도 큰 영향을 주면, 출력 시간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내부 채움과 기계적 물성치 및 출력 시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여, 기계 기구물을 제작할 때 출력 시간과 기계적 물성치를 고려한 최적의 내부 채움 조건 선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된 방법을 증명하고자, 다른 공정은 모두 고정하고, 내부 채움 조건만을 변경한 인장 시편을 제작하고, 제작된 시편을 인장 실험을 통하여 내부 채움에 따른 출력물의 기계적 물성치를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