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ab Supporting Typ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복층터널 안정성 분석을 위한 빔-스프링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beam-spring model to analyse the stability of double-deck tunnel)

  • 이상현;안준상;강경남;김병찬;송기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301-317
    • /
    • 2017
  • 본 연구는 복층터널 생애전주기 안정성 평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초기 연구로서, 복층터널 안전성 분석을 위한 빔-스프링 모델 기반의 구조해석 솔버를 개발하였다. 구축된 복층터널의 빔-스프링 모델을 사용하여 중간슬래브 지지방식, 터널심도 및 지반탄성계수가 복층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과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중간슬래브의 지지방식은 세그먼트 라이닝과 일체화 거동에 영향을 미치고, 터널심도가 깊어질수록 중간슬래브가 복층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반탄성계수와 중간슬래브가 세그먼트 라이닝 부재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BSTRUCTURE NON SUPPORTING FORMWORK FOR TOP-DOWN CONSTRUCTION

  • Mee-Ra Jeong;Hong-Chul Rhim;Doo-Hyun Kang;Kwang-Jun Yo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788-793
    • /
    • 2009
  • Constructing substructures by using Top-Down or Downward method needs an efficient formwork system because of difficulties in supporting concrete slabs from the bottom while excavation is in process. Existing underground formwork systems can be classified by three types: graded ground supported type (Slab On Grade, Beam On Grade), suspension type (Non Supporting Top Down Method), and bracket supported type (Bracket Supported R/C Downward). Each method has its own advantages and limits. Application of a specific formwork system for a given construction site is determined by various conditions and affect construction time and cost. This paper presents a newly developed underground non-supporting formwork system, which combines the advantages of a suspension type and a bracket supported type while it overcomes limits of two types. The developed system has a moving formwork which is supported by suspension cables hanging from the bracket placed at the top of pre-installed substructure columns. Then, the moving formwork is repeatedly lowered down for the next floor below to support concrete slab during curing. The details of this bracket and cable supported system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 improvement of easiness in construction.

  • PDF

고속철도 터널에서의 궤도 형식에 따른 궤도와 차체의 진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of Track and Vehicle Body According to Type of Track in Tunnel of High-Speed Railway Lines)

  • 김만철;장승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D호
    • /
    • pp.125-13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터널 내에서 자갈도상궤도와 콘크리트 슬래브궤도 등 궤도 형식에 따른 궤도와 차량의 진동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자갈도상궤도와 콘크리트 슬래브궤도가 부설된 경부고속철도 터널 내에서 궤도와 KTX 차체의 진동가속도를 측정하여 주파수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궤도 형식에 따른 레일, 침목, 자갈도상, 슬래브 등 궤도 구성품과 터널 라이닝 등 궤도의 진동과 차체의 진동 특성을 분석하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측정결과에 따르면 터널 내에서는 80Hz 대역의 주파수에서 레일과 차량의 진동이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콘크리트 슬래브궤도가 부설된 터널에서 진동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레일 지지 스프링의 동적특성의 변화에 따라 차량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진동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콘크리트 슬래브궤도의 지지강성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시스템 측면에서 차량의 진동과의 상호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와 H형강 기둥 접합부의 구조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H-Steel or SRC Column and Flat Plate Slab Connection)

  • 윤명호;이윤희;유홍식;김진원
    •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9-14
    • /
    • 2014
  • Main topics in this study is a new structural detail for connection between H-Steel or SRC column and flat plate slab. W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unching shear performance of H-steel or SRC column + RC slab system for vertical load and lateral load. From the test resul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 yield moment, yield rotation, maximum moment, deformation capabilities ect. - are obtained and evaluated. In this paper as a shear reinforcement for supporting region of plate closed stirrup type and shear band are used, and their test results are compared.

철근콘크리트 아치 데크의 정적 휨 거동 (Flexural Behavior of RC Arch Deck Subjected to Static Loading)

  • 엄기하;양달훈;김성재;김장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371-37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아치 데크의 정적재하실험을 통해 휨 거동을 평가하였다. 휨 실험은 길이 2.5 m, 폭 1.2 m, 중심단면 두께 100 mm, 단부단면 두께 160 mm의 실제 크기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아치 데크의 정적재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극한설계강도에 비하여 약 1.74배 높은 하중을 견디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실험체에는 구간에 따라 각각 다른 거동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거동은 아치 데크와 이를 지지하는 반력대 사이에 일체거동이 이뤄지지 않은 이유로 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반력대를 제외한 아치 데크의 정적재하 실험을 통해 정밀한 거동을 확인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철근콘크리트 아치 데크는 일반형태의 바닥판에 비하여 우수한 구조적 이점을 통해 설계기준보다 높은 구조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향후에는 장지간 바닥판으로써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테이블형 다단 드롭 시스템을 이용한 저소음 보-슬래브 거푸집의 구성부재 성능 및 현장적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Field Application of Low Noise Beam-slab Formwork using Table Type Multi-stage Drop System)

  • 류화성;정우진;김득모;송성용;신상헌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9-360
    • /
    • 2017
  • 콘크리트 건축물 공사에 있어, 거푸집공사는 전체공사비의 10%를 차지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최근의 건축물은 대형화, 고층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거푸집공사의 고효율과 안전성을 위하여 거푸집공정의 시스템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인명사고와 해체공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민원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대부분 해외기술에 의존하여 국내 건설현장 여건을 고려하지 않는 관계로 외면되어 기존 거푸집 공법을 답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정개선, 안전성 향상 및 해체소음 저감이 가능한 슬래브, 보 전용 테이블형 다단 드롭 시스템 거푸집을 개발하고 시스템 내에 사용되는 주요 부재인 장선 멍에와 동바리의 물성을 평가하고, 이 시스템의 현장 적용을 위한 해체공정에서의 소음을 기존 공법과 비교 평가하는 연구로서 실험결과, 멍에 빔과 동바리 모두 슬래브 및 보 타설용 가설재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내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소음도가 기존 공법에 비해 10dB(A) 이상 저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타설 시의 처짐량을 측정한 결과, 기존 공법 대비 처짐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Designing method for fire safety of steel box bridge girders

  • Li, Xuyang;Zhang, Gang;Kodur, Venkatesh;He, Shuanhai;Huang, Qiao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8권6호
    • /
    • pp.657-670
    • /
    • 2021
  • This paper presents a designing method for enhancing fire resistance of steel box bridge girders (closed steel box bridge girder supporting a thin concrete slab) through taking into account such parameters namely; fire severity, type of longitudinal stiffeners (I, L, and T shaped), and number of longitudinal stiffeners. A validated 3-D finite element model, developed through the computer program ANSYS, is utilized to go over the fire response of a typical steel box bridge girder using the transient thermo-structural analysis method. Results from the numerical analysis show that fire severity and type of longitudinal stiffeners welded on bottom flang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fire resistance of steel box bridge girders. T shaped longitudinal stiffeners applied on bottom flange can highly prevent collapse of steel box bridge girders towards the end of fire exposure. Increase of longitudinal stiffeners on bottom flange and web can slightly enhance fire resistance of steel box bridge girders. Rate of deflection-based criterion can be reliable to evaluate fire resistance of steel box bridge girders in most fire exposure cases. Thus, T shaped longitudinal stiffeners on bottom flange incorporated into bridge fire-resistance design can significantly enhance fire resistance of steel box bridge girders.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behaviour of a steel sub-frame under a natural fire

  • Santiago, Aldina;Simoes da Silva, Luis;Vaz, Gilberto;Vila Real, Paulo;Lopes, Antonio Gameiro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8권3호
    • /
    • pp.243-264
    • /
    • 2008
  • This paper details a testing facility ("NATURAL FIRE FACILITY") that allows closely-controlled experimental testing on full-scale sub-frames while reproducing the spatially transient temperature conditions measured in real fires. Using this test facility,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ix steel sub-frames under a natural fire was carried out at th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of the University of Coimbra. The main objective of these tests was to provide insight into the influence of these connection types on the behaviour of steel sub-structures under fire. The experimental layout is defined by two thermally insulated HEA300 columns and an unprotected IPE300 beam with 5.7 m span, supporting a composite concrete slab. Beam-to-column connections are representative of the most common joint type used on buildings: welded joints and extended, flush and partial depth plate. Finally, the available result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evolution of the steel temperature; development of displacements and local deformations and failure modes on the joints zone.

KORA를 활용한 정수장 염소 취급시설의 운영조건에 따른 피해범위 변화 평가 (Evaluation of Damage Range Variation Based on Operation System of Chlorine Facility in Water Purification Plant using KORA)

  • 곽솔림;임형준;류태권;최우수;정진희;이지은;김정곤;이연희;류지성;윤준헌;윤이;이진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4-90
    • /
    • 2018
  • 정수장에서 염소 누출 사고 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장외영향평가의 위험도는 영향범위내 주민수와 사고 발생 빈도의 조합으로, 취급시설 운전온도, 긴급차단밸브 설치 위치 및 시설의 밀폐정도에 따른 피해범위 변화를 분석하여 피해범위 내 주민 수를 줄일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시하였다. 피해범위 산정은 KORA(Korea Off-site Risk Assessment Supporting Tool)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운전온도가 낮아질수록, 용기의 브렌치 배관마다 긴급차단밸브가 설치될수록, 시설의 밀폐수준이 높을수록 피해범위가 감소하였다. 최악의 사고시나리오에서 감소율은 각각 17.6%, 71%, 34.5% 이며, 대안의 사고시나리오에는 각각 31.6%, 69.0%, 34.8% 이다.

기초슬래브의 밑면이 경사진 캔티레바식 옹벽의 내진설계 (Earthquake-Resistant Design of Cantilever Retaining-Walls with Sloped Base)

  • 김홍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87-98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Elman둥이 상시하중의 경우에 대해 제안한 새로운 형태의 캔키레바식 옹벽 설계방식을 지진하중을 고려한 경우에까지 확대적용하여 예상되는 효율성을 설계예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좀더 안전한 측에서의 셜계검토를 위해 캔티레바식 옹벽의 자체중량 및 뒷채움 일부분의 모래중량에 의한 수평관성력 등을 포함하는 분석법이 제시되었다. 또한 한계 평형상태가 아닌 다양한 토압상태에서의 설계검토를 목적으로 Mononobe-Okabe 동적토압계산식을 변형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초슬래브의 밑면이 경사진 캔티레바식 옹벽형태가 내진설계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다른 형태의 캔티레바식 옹벽에 비해, 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가장 크면서도 옹벽축조에 관련된 콘크리트량, 굴착량 및 뒷채움 모래의 양은 가장 절감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단부분을 $45^{\circ}$만큼 경사지게하는 캔티레바식 옹벽형태는, 상시하중 및 비교적 낮은 수준의 지진에 대해서는 효율성이 예상되나, 수평진도가 커짐에 따라 이와 같은 효율성을 기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대한 주된 원인은, 옹벽 후단부분에 작용하는 수평발생토압합력의 감소율이 수평진도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지는데 있다. 이외에도 기초슬레브의 밑면이 경사진 캔터레바식 옹벽에 관련된 설계도표를, 뒷채움 및 기초지반모래의 내부마찰각 크기, 지진하중시의 활동에 대한 안전율 규정 등을 각각 달리하여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