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whitening agent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s of Sibseonsan as an Anti-Inflammatory, Anti-Wrinkle, and Skin Whitening Treatment

  • Jo, Na Yo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7권2호
    • /
    • pp.88-93
    • /
    • 202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ibseonsan (SSS) is an effective antiinflammatory, anti-wrinkling, and whitening agent. Methods: To determine whether SSS had an anti-inflammatory effect,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was used (RAW 264.7) and production of DPPH, NO, TNF-α, and PGE2 were measured. To ascertain potential anti-wrinkle effects of SSS in these cells, collagenase and elastase production were measured. To verify whether SSS had a whitening effect, tyrosinase activity and DOPA staining were performed using a melanoma cell line (B16/F10).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reduction in survival of SSS-treated RAW 264.7 cells, up to 400 ㎍/mL. Free radical scavenging (23.96 ± 1.85%) was observed in RAW 264.7 cells treated with SSS at a concentration of 400 ㎍/mL. The SSS treatment group (400 ㎍/mL)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compared with the LPS stimulated treatment group. The SSS treatment of macrophage cells appeared to reduce production of TNF-α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oncentration of PGE2 by about 25% in the SSS treatment (400 ㎍/mL) group (p = 0.05).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production of collagenase and elastase in B16/F10 cells treated with SSS (400 ㎍/mL) was greater by 26.37% and 45.71%, respectively. The SSS treatment (400 ㎍/mL)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by about 17% in tyrosinase production in B16/F10 cells. The SSS treatment group showed little change in DOPA staining. Conclusion: SSS extract may be useful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may have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s. These results may support the use of SSS in clinical practice.

엉겅퀴 추출물 실리마린의 피부 미백효과 (Hypopigmentary Effect of Milk Thistle Extract Silymarin)

  • 유익동;추수진;류인자;김영희;허광화;김기호;한창성;김수진;김진웅;손의동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1-158
    • /
    • 2009
  •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미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식물 추출물들의 미백활성을 조사한 결과, 엉겅퀴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silymarin이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Silymarin으로부터 유효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각종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HPLC 등의 기법을 실시하여 silybin과 isosilybin을 분리한 후 이성질체인 silybin A와B, 그리고 isosilybin A와 B를 각각 순수 분리하였다. Silymarin은 Mel-Ab melanocyte에서 세포독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동시에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였고 $IC_{50}$ 값은 28.2 ${\mu}g/mL$이었다. 또한 Silymarin은 cell-based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고, western blot 분석 결과 tyrosinase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Silymarin으로부터 분리한 활성 화합물인 silybin 및 isosilybin의 미백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각각 42.25 ${\mu}M$ 및 16.32 ${\mu}M$$IC_{50}$ 값을 가지며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tyrosinase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Diastereoisomer 형태로 존재하는 silybin A 및 B, 그리고 isosilybin A 및 B의 멜라닌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네 가지 화합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부 미백 임상연구를 실시한 결과, silymarin 2 % 함유 크림을 사용할 경우 피부 미백 효과가 유효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활성물질 silymarin은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안전한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raviola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 of Graviola (Annona muricata) Leaf Extracts)

  • 조은희;김인혜;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8권2호
    • /
    • pp.198-20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graviola leaf extracts, GLE)의 항산화(antioxidant), 항균(antibacterial), 미백(whitening) 및 주름 개선(anti-wrinkle) 효과 등을 조사하였으며, 항산화(antioxidant) 효과에 대한 활성은 전자공여능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GLE는 농도 의존적으로 전자공여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E의 항균 활성은 paper disc법으로 측정하여 나타냈으며, 표준물질인 ampicillin과 비교하여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CCARM3115에서 비교적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GLE에 대한 미백(whitening) 효과 역시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GLE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yrosinase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E 농도에 따른 L-tyrosine을 DOPA로 바꾸는 데 관여하는 hydroxylation 반응과 관련한 mushroom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은 표준물질인 arbutin에 비해 $125{\sim}250{\mu}g/mL$ 농도 범위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B16-F10 cell에 대한 melanin 생합성 저해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mu}g/mL$에서 76.7%를 나타났다. 주름 생성과 관련하여서는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동일한 농도에서 GLE 및 ursolic acid는 10.5, 56.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Graviola Leaf Extracts, GLE)이 항산화 및 미백 활성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백 화장품 성분으로서 과색소침착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덕 분획별 抽出液이 멜라닌 生成에 미치는 影響 (The Effect of Various Partition Extracts of Radix Codonopsis Lanceolatae on the Melanogenesis)

  • 오한철;홍철희;이수형;황충연;김남권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9-71
    • /
    • 2004
  • Melanin pigmentation has an essential role in protecting human skin against the damaging effects of ultra violet radiation, infection, environmental factor, etc. However abnormal melanin pigmentation can directly cause a number of congenital and acquired pigmentary skin disease. This study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partition extracts of Codonopsis lanceolata on the melanogenesis in the B 16 melanoma cells. The cells were treated for 3 days with various partition extracts of Codonopsis lanceolata. While treatment with the BuOH partition extract of Codonopsis lanceolata increased significantly the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 the n-Hexane or ethyl acetate partition extract dose-dependently suppressed them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But ethyl acetate parti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The H2O partiton extract at various concentrations did not exhibit any significant change on the melanogene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eatment with the n-Hexane partition extract inhibits the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and raise the possibility that this extract may be effective in the abnormal melanin pigmentation as well as the whitening agent for the skin.

  • PDF

초고압 추출 공정에 의한 당귀 추출물의 미백 및 자외선 차단 효과 (Skin-Whitening and UV-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on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 김철희;권민철;한재건;나천수;곽형근;최근표;박욱연;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5-26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초고압 추출 공정의 활성 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당귀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미백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인간의 섬유아세포인 CCD-986sk를 이용한 세포독성 실험에서 $1.0mg/m{\ell}$ 농도의 시료 첨가를 통해 초음파 병행 $60^{\circ}C$ 추출물이 21.27%로 가장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 15분간 초고압 처리한 $60^{\circ}C$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23.49%로 가장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UVA 처리에 따른 MMP-1 발현 저해 효과 측정에서 $1.0mg/m{\ell}$ 첨가를 통해 15분간 초고압 처리한 $60^{\circ}C$ 초음파 추출물이 UV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122.2%를 나타내며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의 121.3%와 근사한 수치의 발현 억제 효과를나타내었다. 그 외 다른 시료들도 134.5% 이하로 발현하며 높은 저해율을 나타냄에 따라 당귀가 UVA에 대한 MMP-1 발현 저해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억제효과에서는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가 $1.0mg/m{\ell}$의 농도에서 70.8%로 가장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당귀 시료 중에서는 초고압을 15분간 처리한 $60^{\circ}C$ 초음파 추출물이 ascorbic acid에 근사한 수치인 69.4%로 가장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그외의 시료들도 모두 55% 이상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시료 첨가를 통한 Clone M-3 세포주의 melanin 생성 억제실험에서 $1.0mg/m{\ell}$ 농도 첨가를 통해 15분간 초고압 처리한 $60^{\circ}C$ 초음파 추출물이 82.4%를 나타내어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에 비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당귀가 자외선 차단 및 피부 미백 관련 향장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으며, 초고압 처리를 통해 향장활성의 증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Modulation of Melanin Synthesis by Amaranthus spp. L Seed Extract in Melan-a Cells

  • Seo, Jae Ok;Do, Moon Ho;Lee, Jae Hak;Lee, Taek Hwan;Wahedi, Hussain Mustatab;Park, Yong Un;Kim, Sun Yeou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168-174
    • /
    • 2016
  • Anti-melanogenic effects of amaranth (AT), one of the key source of squalene, were investigated in melanocytes. Amaranth seed powder was extracted with water and melan-a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T. By using HPLC, content of myo-inositol, one of potential active components, was measured in the crude extract of AT.AT reduced the melanin content in melan-a melanocytes and down-regulated melanogenic enzyme activity such as tyrosinase, TRP-1 and TRP-2. By regulating melanogenic enzyme activity, AT may be a potential natural source for whitening agent. Myo-inositol was detected in AT by HPLC and may be one of the active compounds from AT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anti-melanogenesi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AT has anti-melanogenesis properties. This new function of amaranth may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new skin-whitening products and its value as food.

도깨비부채 뿌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Root Extracts on Melanin Biosynthesis in Rodgersia podophylla A. Gray)

  • 최상윤;강난주;김호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30
    • /
    • 2006
  • 도깨비 뿌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melan-a 세포주에서의 세포독성 및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고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주된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외선에 대한 흡수도를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도깨비 뿌리 추출물을 $100\;{\mu}g/ml$ 농도로 melan-a 세포에 처리시 뚜렷한 독성 없이 멜라닌 생성을 24.6% 감소시켰으며 melan-a 세포로부터 추출된 tyrosinase 활성억제 효과실험에서 농도 의존적인 활성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도깨비 뿌리추출물은 일광화상의 원인인 UV-B 영역의 자외선을 흡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은 피부 미백 및 자외선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원료로써의 높은 활용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Ethyl linoleate inhibits α-MSH-induced melanogenesis through Akt/GSK3β/β-catenin signal pathway

  • Ko, Gyeong-A;Kim Cho, Somi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2권1호
    • /
    • pp.53-61
    • /
    • 2018
  • Ethyl linoleate is an unsaturated fatty acid used in many cosmetics for its various attributes, such as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nd clinically proven to be an effective anti-acne ag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thyl linoleate on the melanogenesis and the mechanism underlying its action on melanogenesis in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Our results revealed that ethyl linoleate significantly inhibited melanin content an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in ${\alpha}$-MSH-induced B16F10 cells, but it did not directly inhibit activity of mushroom tyrosinase. Ethyl linoleate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and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in governing melanin pigment synthesis. We observed that ethyl linoleate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Akt and glycogen synthase kinase $3{\beta}$ ($GSK3{\beta}$) and reduced the level of ${\beta}-catenin$, suggesting that ethyl linoleate inhibits melanogenesis through $Akt/GSK3{\beta}/{\beta}-catenin$ signal pathway. Therefore, we propose that ethyl linoleate may be useful as a safe whitening agent in cosmetic and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reducing skin hyperpigmentation in clinics.

Alkyl-3,4-dihydroxybenzoate와 N-Alkyl-3,4-dihydroxybenzamide 유도체의 피부 감작성에 관한 홀로그래피적인 정량적 구조와 독성과의 관계(HQSTR) (Holographic Quantitative Structure-Toxicity Relationships on the Skin Sensitization of Alkyl-3,4- dihydroxybenzoate and N-Alkyl -3,4- dihydroxybenzamide Derivatives)

  • 김상진;성낙도;정훈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1-96
    • /
    • 2005
  • 일련의 alkyl-3,4-dihydroxybenzoate (A)와 N-alkyl-3,4-dihydroxybenzamide (B) 유도체들의 치환기(R1 및 R2) 변화에 따른 피부 감작성과의 관계를 HQST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유도된 피부 감작성에 관한 HQSTR 모델은 매우 양호한 예측성(cross-validated $r^2_{cv}.,\;q^2=0.744$)과 적합성(non-cross-validated, $r^2_{ncv}$. =0.978)을 나타내었다. 이들 두 화합물은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이 클수록 피부 감작성이 낮은 반비례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R1-치환기 사슬 중 C1 ${\~}$ C3 원자 부분은 피부 감작성에 기여하지 않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ester (A)는 amide (B)보다 피부 감작성이 낮으나(AB) 특징을 나타내므로 미백제의 활성 성분으로서 매우 이상적인 화합물임을 알았다.

루꼴라(Eruca sativa)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Anti-melanogenic effect of Eruca sativa extract)

  • 김현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4-79
    • /
    • 2016
  • 본 연구에서 루꼴라(E. sativa)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루꼴라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루꼴라 추출물 처리 시 항산화 활성($ID_{50}$, 17.60 mg/L)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루꼴라 추출물 처리시 높은 tyrosinase 활성저해($ID_{50}$, 132.54 mg/L) 및 멜라닌 함량 저하($ID_{50}$, 158.90 mg/L)를 보여주었다. 또한, 루꼴라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루꼴라 추출물이 직접적인 tyrosinase 활성저해 및 세포 내 tyrosinase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루꼴라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개선 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주름개선 효과 등 추가적인 실험을 통하여 화장품 소재 개발 응용 가능성을 타진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