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Barrier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초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FITC-BSA의 경피투과 거동 (Transdermal Permeation Behavior of FITC-BSA using Microneedle)

  • 김윤태;오아영;이준희;안식일;박종학;이한구;강길선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6호
    • /
    • pp.357-363
    • /
    • 2008
  • Penetration rate of large molecule through skin is very low due to the barrier effect of stratum corneum. Novel microneedle treatment device with roll was designed for transdermal delivery of large molecular drugs such as vaccine and protein drugs. The permeation rates of FITC labelled bovine serum albumin (FITC-BSA) as a model protein were determined using modified Franz diffusion cell and hairless mouse skin which were treated by hydrogel or solution containing FITC-BSA. Fluorescent spectrophotometer was used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of FITC-BSA. Microscope using fluorescent filter was used to capture the image and location of FITC-BSA in the skin. We confirmed that permeation rate of BSA was increased with the treatment by microneedle and was increased by the increasing frequency of treatment. Furthermore, the permeation rate observed from hydrogel treated sk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rom solution treated skin.

항우울제인 Paroxetine의 피부 투과 특성 연구 (Percutaneous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Antidepressant Paroxetine)

  • 정덕채;황성규;오세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0-177
    • /
    • 2011
  • Transdermal drug delivery(TDS) offers many important advantages. For instance, it is easy and painless, it protects the active compound from gastric enzymes, and it avoids the hepatic first-pass effect. Also, it is simple to terminate the therapy if any adverse or undesired effect occurs. But skin is a natural barrier, and only a few drugs can penetrate the skin easily and in sufficient quantities to be effective. Therefore, in recent years,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area of penetration enhancement. The most commonly used transdermal system is the skin patch using various types of technologies. Compared with other method of dosage, it is possible to use for a long term. It is also possible to stop the drug dosage are stopped if the drug dosage lead to side effect. Polysaccharide, such as xanthan gum and algin were selected as base materials of TDS. Also, these polymers were characterized in terms of enhancers and drug contents. Among these polysaccharide, the permeation rate of Paroxetine such as lipophilic drug was the fastest in xanthan gum matrix in vitro. We used glycerin, PEG400 and PEG800 as enhancers. Since dermis has more water content(hydration) than the stratum corneum, skin permeation rate at steady state was highly influenced when PEG400 was more effective for lipophilic drug. Proper selection of the polymeric materials which resemble and enhance properties of the delivering drug was found to be important in controlling the skin permeation rate.

Betaine의 mTOR 비의존적 자가포식 작용 촉진에 의한 표피 분화 유도 효과 (Betaine Induces Epidermal Differentiation by Enhancement of Autophagy through an mTOR-independent Pathway)

  • 최선국;김미선;김진현;박선규;이천구;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5-101
    • /
    • 2018
  • 표피는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로부터 재생되어 계층화되는 상피 조직으로서 물리적 장벽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개체를 보호한다. 자가포식 작용(autophagy)은 단백질 축적물, 손상된 세포 소기관, 세포내 미생물 등이 리소좀으로 운반되고 분해되도록 매개하는 기작이다.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가포식 작용이 각질형성세포의 대사 기관과 핵을 제거하여 각질층으로 최종 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보고 되었다. 그러나 자가포식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표피 분화를 유도할 수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단일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하여 베타인(betaine)이 인간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서 세포질 내 LC3 punctate 소포체 및 LC3-I에서 LC3-II로의 변환을 증가시켜 자가포식 작용을 촉진함을 규명했다. 자가포식 작용의 억제 신호인 mTOR 경로는 베타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므로, 베타인에 의해 유도된 자가포식 작용은 mTOR에 독립적임을 알 수 있었다. 베타인에 의해 촉진되는 자가포식 작용은 primary keratinocyte 및 skin equivalent에서도 관찰되었다. 또한, 베타인 처리된 인공피부에서 표피층 두께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자가포식 작용의 새로운 조절소재로서 베타인이 표피의 턴오버를 촉진하여 표피의 장벽기능을 개선하고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모 주정 추출물이 염증으로 손상된 피부장벽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on Skin Barrier Function by Inflammation)

  • 정미림;이규영;홍철희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23
    • /
    • 2018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TNF-{\alpha}$$IFN-{\gamma}$로 자극한 인간피부각질형성세포 (HaCaT keratinocytes) 모델을 사용하여 지모가 피부장벽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MTT assay를 통하여 지모 주정(70% 에탄올) 추출물 (EAA)이 HaCaT keratinocytes의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EAA가 HaCaT 세포의 이주 능력에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였다. 또한 western blot analysis와 qRT-PCR을 통하여 EAA가 $TNF-{\alpha}/IFN-{\gamma}$로 자극한 HaCaT 세포에서 iNOS의 단백질 발현 및 IL-4, IL-13, IL-6의 mRNA 발현, filaggrin의 단백질과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 : EAA는 처리 농도 $500{\mu}g/ml$까지 HaCaT keratinocytes의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EAA는 wound healing assay에서 HaCaT 세포의 이주 능력을 증가시켰으며, $TNF-{\alpha}/IFN-{\gamma}$로 자극한 HaCaT 세포에서 iNOS의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켰다. 또한 EAA가 IL-4, IL-13, IL-6의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EAA는 $TNF-{\alpha}/IFN-{\gamma}$ 자극에 의해 감소했던 filaggrin을 단백질과 mRNA 수준에서 회복시켰다. 결론 : EAA가 HaCaT 세포에서 Th2 type cytokines, pro-inflammatory cytokine의 억제와 filaggrin 회복을 통해 피부장벽 기능 손상에 대한 억제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EAA가 염증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장벽 기능 개선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및 각질형성세포 분화에 대한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er Extract on Inhibition of β-hexosaminidase and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 홍인기;김은지;석지현;김보현;장진동;조기정;최신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1-2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두충 추출물이 RBL-2H3 세포의 ${\beta}$-hexosaminidase의 분비 억제와 HaCaT keratinocytes 피부장벽의 회복과 관련한 filaggrin, transglutaminase-1 (TGase-1), cornified cell envelope(C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beta}$-hexosaminidase 방출 억제 능은 13% 효능을 확인하였고, 피부장벽기능의 회복과 관련된 인자들은 발현과 활성의 정도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판단할 수 있는 CE 측정에서는 두충추출물이 양성대조군보다 더 좋은 효능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두충 추출물은 ${\beta}$-hexosaminidase 분비 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손상된 피부장벽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순채 점액질 다당체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과 연구 (Skin Hydration Effect of Brasenia schreberi Mucilage Polysaccharide Extract)

  • 안세연;길소연;권오선;장윤희;진무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3-230
    • /
    • 2017
  • 본 연구는 순채 점액질 다당체의 인체 피부와 in vitro에서의 피부 보습효과를 확인하고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환경적 스트레스와 노화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수분 보유량을 증가시키고 수분의 손실을 예방해야 한다. 본 연구진은 순채의 점액질로부터 추출한 다당체를 인체 피부에 도포했을 때, 특이적인 윤활성으로 피부에서의 거칠기(roughness)를 개선시켰다는 것을 확인했다. In vitro에서 각질형성세포에 순채 점액질 다당체를 처리했을 때, 피부장벽의 가교 역할을 하는 transglutaminase 1 (TGM1)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물과 글리세롤의 이동을 조절하는 막관통 단백질 aquaporin 3 (AQP3)와 수분 보유 기질 히알루론산을 합성하는 효소인 hyaluronan synthase 3 (HAS3) 유전자의 발현 또한 증가함을 확인했다. 추가적으로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에서, 항염증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순채의 점액질 다당체는 기존에 없는 새로운 천연 원료로서, 피부에 보습 효과와 항염증, 콜라겐 합성 촉진 효능이 있음을 밝혔다.

생체 모사수 화장품이 세포 활성과 피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smetics Contained Isotonic Water Mimicked Body Fluid on Cell Activities and Skin)

  • 박선영;이성훈;김은주;최소웅;김지영;조성아;조준철;이해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5-201
    • /
    • 2014
  • 생체수는 링거액, 인공관절액, 세포 배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이는 생체수가 체온을 조절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생체 내 다양한 대사 과정에서 용매로 사용되며, 삼투압이나 능동적 섭취를 통한 혈액 또는 림프액을 통해 세포에서 세포로 전달되는 미네랄, 에너지원, 호르몬, 시그널과 약물의 전달 물질로 이용되기 때문이다. 세포외 지질과 자연보습성분(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을 함유하는 각질층은 외부의 수분을 끌어들여 내부 수화에 이용하며, 이러한 과정들은 피부 장벽 기능과의 연관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당류를 포함한 생체모사수(Cell Bio Fluid SyncTM)를 인체 피부에 처리하여 세포활성을 관찰하고, 생체 모사수를 함유한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여 인체피부 개선 효과를 연구 하였다. 피부 세포 활성을 보기 위해 각질세포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였고, 에너지 고갈상태로 만들기 위해 3시간 동안 PBS에 전 처리한 후 이후 세포 배양액인 DMEM 및 등장액인 PBS, 생체 모사수(Cell Bio Fluid $Sync^{TM}$)에 각각 3시간 처리하였다. 이후 MTT assay와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인체의 피부 개선 효능을 위한 임상 연구에 21명의 여성이 참여하였다. 생체 모사수를 함유한 제품을 1주일간 안면에 도포하였고, 수분량, 피부결, 밝기 그리고 피부 균일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피험자가 세안 후 항온항습조건($22{\pm}2^{\circ}C$, $50{\pm}5%$)에서 20분 간 대기하고 수행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SPSS ver.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체 모사수(Cell Bio Fluid $Sync^{TM}$)가 세포 활성을 높이고 인체의 피부에서 수분, 거칠기, 밝기, 균일도, 투명도 등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전정가지 추출물이 UVB에 유도된 HR-1 mice의 피부손상에 대한 광보호 효과 (Photoprotective Effect of Grape Pruning Stem Extracts on the UVB Induced HR-1 Mice Skin)

  • 김정희;김종국;김선건;정승일;장민정;김길수;김극준;곽승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83-389
    • /
    • 2017
  • 본 연구는 포도수확 후 버려지는 가지를 이용한 포도전정가지 추출물(Grape Pruning Stem Extracts, GPSE)에 함유된 polyphenol류 중 항산화, 항염증, 항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rutin, procyanidin B3, quercetin, kaempferol의 함량을 분석하고, UVB로 유도된 HR-1 mice의 손상된 피부에 대한 피부 보습, 피부 증식 억제, 항염증 등의 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식품,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포도전정가지에서 polyphenol 성분을 80% EtOH로 추출하고 여과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20^{\circ}C$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GPSE의 유효성분 함량은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피부손상을 유도하기 위해 UVB를 실험동물에 조사하였고, GPSE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TEWL assay, 피부조직의 H&E staining 및 COX-2 단백 발현 측정을 위한 면역조직화학적염색(immunohistochemical stain) 등을 실시하였다. 포도전정가지 시료 53 kg에서 EtOH 분획 추출물 2.34 kg을 추출하여 4.42%의 수율 결과를 얻었다. 유효성분 분석 결과, procyanidin B3, 0.28 mg/g, rutin 12.81 mg/g, quercetin 0.51 mg/g 및 kaempferol 8.24 mg/g로 나타났다. TEWL assay 결과 대조군과 비교, GPSE와 serum base의 혼합물이 도포된 그룹(농도 2,000 mg/kg~125 mg/kg)에서 모두 보습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GPSE의 피부증식억제를 통한 광보호 효과를 확인한 결과 epidermis에는 GPSE 농도 2,000 mg/kg의 농도에서 suncream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p<0.05), dermis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GPSE 농도 2,000 mg/kg~125 mg/kg 모든 농도에서 UVB 조사한 그룹 두께 $800{\mu}m$와 비교하여 suncream 도포군이 $580{\mu}m$, GPSE 2,000 mg/kg~125 mg/kg 모든 농도에서 $600{\mu}m$이하로 나타나 UVB에 의해 손상된 HR-1 mice의 피부증식 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GPSE가 UVB에 의해 손상된 HR-1 mice 피부에 항염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OX-2 단백발현을 보기위해 immunohistochemical stain한 결과 UVB를 조사한 대조군에 비해 GPSE를 도포한 그룹 모두에서 항염증 효과를 보였지만, GPSE의 농도 1,000 mg/kg에서는 suncream 22%보다 낮은 8%에서 COX-2의 단백발현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우수한 항염증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p<0.05). 본 연구 결과에서, GPSE 내 rutin, kaempferol, quercetin, procyanidin B3와 같은 유효성 페놀성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GPSE는 보습효과, 피부증식억제효과, 염증발현억제효과 및 자외선 손상에 의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GPSE는 피부보호 효과의 가능성이 있는 기능성 물질로서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등의 원료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Serine 의 인공피부조직 투과 개선을 위한 Stearic Acid 기반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Stearic Acid-Based Solid Lipid Nanoparticles for the Improvement of Artificial Skin Tissue Transmittance of Serine)

  • 여수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9-184
    • /
    • 2021
  • 각질층은 피부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피부 내 수분을 유지시킨다. 피부 보습은 각질층 내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 NMF)에 의존하는데, NMF 중 아미노산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NMF 중 serine (Ser)의 피부 투과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생체 적합한 고형지질인 stearic acid 기반 고형지질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s, SLNs)를 설계하였다. Ser 봉입 SLNs은 이중 가온용융유화법으로 제조하였다. 평균 입자 크기는 256.30 ~ 416.93 nm이었고 제타전위는 -17.60 ~ -35.27 mV이었다. 유화제의 지용성 또는 친수성의 정도가 각각 높아질수록 입자크기 작아지고 안정성 및 봉입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Ser의 피부 투과 연구를 위해 인체 표피 유래 피부 조직(SkinEthicTM RHE)을 사용하였다. Ser의 피부 투과결과 SLN을 적용한 제형이 대조군인 Ser 용액에 비해 약 4.1 ~ 6.2 배 투과율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유화제의 지용성 또는 친수성의 정도가 각각 높아질수록 Ser의 피부 투과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Ser이 봉입된 SLN은 기능성화장품의 보습효과 처방을 위한 경피흡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enistein의 Endocannabinoid system (ECS) 활성 유도를 통한 피부염 손상 회복 효과 (Genistein Recovers Dermatitis Damage through Endocannabinoid System (ECS) Activity)

  • 안상현;서일복;김기봉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7-47
    • /
    • 2020
  • Objectives After inducing dermatitis in 6-week-old mice, we tri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recovery in the damaged skin by administering genistein and palmitoylethanolamide (PEA) Methods The 6-week-old mice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Ctrl), dermatitis causing group (AcDE), genistein-administered group after the onset of dermatitis (GsT), and PEA-administered group after the onset of dermatitis (PEAT). Seven mice were assigned to each group. Changes in the skin barrier were observed after three days of administration following the onset of dermatitis. Results In the GsT and PEAT, there was less skin damage compared to the AcDE, and the lowest skin damage showed in the GsT. The intensity of CB1 and CB2 expression was increased by 64% (CB1) and 39% (CB2) in the GsT, and 38% (CB1) and 28% (CB2) in the PEAT compared to the AcDE. The E-catherin positive reaction was decreased in the AcDE, while the E-catherin positive reaction was increased in the GsT (76%) and PEAT (34%). The p-JNK positive reaction was increased in the AcDE, while the p-JNK positive reaction was decreased in the GsT (60%) and PEAT (39%). Toxic Hepatopathy was not observed in the liver tissue of Genistein administered 3OGsT, and PEA administered 3OPEAT. Conclusions Genistein has recovery effect on dermatitis damage through active induction of the endocannabin system (E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