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pattern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8초

신연 골형성술시 신연속도에 따른 골형성 관여 인자의 발현 (EXPRESSION OF OSTEOGENESIS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DISTRACTION RATE IN THE DISTRACTION OSTEOGENESIS)

  • 지유진;김여갑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3호
    • /
    • pp.250-265
    • /
    • 2008
  • Distraction osteogenesis is a well-established clinical treatment for limb length discrepancy and skeletal deformities. Appropriate mechanical tension-stress is believed not to break the callus but rather to stimulate osteogenesis. In contrast to fracture healing, the mode of bone formation in distraction osteogenesis is primarily intramembranous ossification. Although the biomechanical, histological, and ultrastructural changes associated with distraction osteogenesis have been widely described, the basic biology of the process is still not well known. Moreover, the molecular mechanisms in distraction osteogenesis remain largely unclear. Recent studies have implicated the growth factor cascade is likely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istraction. And current reserch suggested that mechanical tension-stress modulates cell shape and phenotype, and stimulates the expression of the mRNA for bone matrix protei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expression of growth factors($TGF-{\beta}1$, IGF-I, bFGF) and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osteoclacin, osteonectin) related to osteogenesis by osteodistraction of the mandible in rabbits. 24 rabbits is used for this experiment. Experimental group are gradual distraction(0.7mm, twice/day), acute distraction(1.4mm, twice/day) and control group is only osteotomized. After 5 days latency, osteotomic site is distracted for each 7 days and 3.5 days. Consolidation period is 28 days. The animal is sacrificed at the 3th, 7th, 14th, 28th. The distracted bone is examined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and RT-PCR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 :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 clinical examination according to distraction rate, but gradual distraction was shown to improve regenerate bone formation on radiographic and histologic examination. Growth factors and extracelluar matrix proteins expression increased in distraction group than control group.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stated that graudal distraction is shown to improve and accelerate bone formation and mechanical stress like distraction has considerable effects on osteogenesis related factors. And rabbit is the most appropriate animal model for further reseach on the molecular mechanisms that mediate osteodistraction. It is believed that understanding the biomolecular mechanisms that mediate distraction osteogenesis may guide the development of targeted strategies designed to improve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accelerate bone healing.

한우 c-fos 유전자의 염기서열 및 발현분석 (Sequence and Expression Analysis of c-fos Proto-oncogene in Korean Cattle (HANWOO))

  • 유성란;정행진;정기철;이준헌;조규완;최재관;나기준;상병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891-900
    • /
    • 2003
  • c-fos 유전자는 전사조절인자로서 주로 c-jun family와 결합하여 heterodimers를 형성하며 AP-1 조절 부위를 가지는 유전자들의 전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유전자의 발현은 myoblasts를 비롯한 여러 세포의 분화와 성장을 조절하며 최근 돼지에서 육질에 영향을 미치는 근섬유와 관련된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소에서 육질과 c-fos 유전자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총 1,443 bp의 mRNA 염기서열을 최초로 소에서 밝혔으며 여러 조직과 기관에서의 발현양상도 살펴보았다. 한우의 c-fos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사람, 돼지 및 쥐와 비교하여 본 결과 각각 89.8%, 93.5%와 87.0%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이 유전자의 발현은 근육중 갈비에서 가장 많은 발현량을 보였고, 조직에서는 비장에서 가장 많은 발현량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c-fos 유전자는 SNP의 추가분석에 의해 한우에서 육질의 향상과 관련이 있는 후보유전자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성장기에서 관절융기 높이 및 경사의 연령적 변화 (Changes in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articular eminence during the growth period)

  • 최동순;장인산;차봉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11-420
    • /
    • 2010
  • 관절융기의 높이와 후면의 경사는 교합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하악 운동 시 하악과두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아동에서 연령별로 관절융기의 높이 및 경사의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양호한 골격을 보이는 5.9세부터 19.7세까지 총 160명(남자 71명, 여자 89명)의 대상자가 선정되었고, 이들의 측두하악관절 단층방사선사진에서 관절융기의 높이, 관절융기 후면의 경사가 측정되었다. 남녀 각각 9.0세 미만(Group 1), 9.0 - 10.9세(Group 2), 11.0 - 12.9세(Group 3) 13.0 - 14.9세(Group 4), 15.0 - 16.9세(Group 5), 17.0세 이상(Group 6)의 6군으로 나누었고, 그룹 간 비교를 위해 일변량분산분석, 남녀 간 비교를 위해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다. 각 연령 그룹의 평균 관절융기 높이는 남자에서 4.8 mm, 6.1 mm, 6.4 mm, 7.0 mm, 8.0 mm, 9.2 mm 였고, 여자에서 4.8 mm, 5.4 mm, 6.4 mm, 6.9 mm, 7.6 mm, 7.1 mm 였다. 각 연령 그룹의 평균 관절융기 경사는 남자에서 $29.5^{\circ}$, $34.4^{\circ}$, $35.5^{\circ}$, $37.6^{\circ}$, $40.3^{\circ}$, $42.6^{\circ}$였고, 여자에서 $29.7^{\circ}$, $31.7^{\circ}$, $34.7^{\circ}$, $37.4^{\circ}$, $39.3^{\circ}$, $36.2^{\circ}$였다. 관절융기의 높이와 경사는 남자에서는 Group 5까지, 여자에서는 Group 4까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남녀 간 비교에서는 Group 6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컸다. 관절융기의 성장가속기는 여자가 남자보다 4년 가량 빨랐고, 남자는 여자보다 더 늦은 나이까지 성장하였다. 성장기 중 관절융기의 높이와 경사는 매우 많은 변화를 보였으며, 따라서 이 시기에 교정치료 시 기능적인 정상교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관절융기의 연령적 변화와 성장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수직적 안모 형태에 따른 상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효과 비교 (The effects of maxillary protraction appliance (MPA) depending on vertical facial patterns)

  • 유영규;이기준;오창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13-424
    • /
    • 2002
  • 성장기 아동에서 상악골 열성장을 보이는 제III급 부정교합은 상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적응증이 된다.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효과는 상악골의 전방 이동이지만, 실제로는 상악 치아의 전방 이동,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 하악 전치의 설측 이동 등의 복합적인 결과로 III급 관계가 개선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직적 안모 유형별로는 상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효과에 대한 차이는 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1998년-2000년 사이에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초진시 나이는 6세 6개월에서 13세 3개월 사이의 상악골 열성장을 동반한 제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67명 (남 36, 여 31)을 대상으로, 안모유형별로 SNMP군과 Gonial angle군에서 low, average, high로 세부군을 나누어 치료전 측모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통해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효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NMP군의 low angle에서 B point의 후방이동량이 많았으며, High angle에서는 A point의 전방이동량이 컸다. 2) Genial angle군의 low angle에서 A point의 전방이동양이 가장 적었으며, high angle에서는 A point의 전방이동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3) A point에 대한 arcTan를 구한 결과 A point의 이동 각도는 장안모 군에서 더 수평적인 이동 양상을 보였고, 단안모 군에서는 수직적 이동양상이 강했다. 4) SNMP군과 Gonial angle의 세부군에서 치료기간별 유의성은 없었다.

Gonial Angle의 단순 회귀 모델: 파노라마 영상과 측모두부 영상간의 비교 (The Simple Regression Model of Gonial Angles : Comparison between Panoramic Radiographs and Lateral Cephalograms)

  • 박성희;김영재;이상훈;김종철;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9-13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파노라마 영상과 측모두부 영상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계측치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수식화하는 것이다. 99명의 3급 부정교합 환자의 파노라마 영상과 측모두부 영상에서 gonial angle, 하악지 높이, 하악중절치에서 하악하연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측정된 수치는 각각 대응 표본 T검증, Pearson's 상관관계 검정, 회귀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측모두부 영상에서의 gonial angle 평균값은 $127.50^{\circ}$, 파노라마 영상에서의 값은 $125.49^{\circ}$, 상관계수는 0.945(p < 0.001)로 나타났으며, 상관관계는 '측모두부 영상의 gonial angle = 0.920 ${\times}$ 파노라마 영상의 gonial angle + 12.072'로 나타낼 수 있다. 다른 계측치들 간의 상관관계는 gonial angle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Gonial angle은 파노라마 영상과 측모두부 영상에서 모두 재현성 있게 측정 가능하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파노라마 영상 또한 측모두부 영상과 같이 환자의 수직성장패턴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이모장치의 적응증에 관한 후향적 고촬 (THE RETROSPECTIVE STUDY ON THE INDICATION OF THE CHIN CAP THERAPY)

  • 양원식;김병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
    • /
    • 1995
  • 본 연구는 초진시의 골격형태로부터 이모장치에 대한 반응성을 예측하는 지표를 구하여 III급부정교합환자의 조기 치료를 결정할 때 고려할 수 있는 기준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성장기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아동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영구치열완성 이후의 교합의 안정성과 최대성장기 이후의 안모의 개선도를 기준으로하여 양호반응군 25명과 불량반응군 15명으로 나누었다. 초진시 두 군 사이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주요 골격계측항목을 선택하고, 판별분석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치료전 $Bj\ddot{o}rk$ sum, 전후안면고경비율, genial angle, lower genial angle, occlusal plane to SN, occlusal plane to AB plane angle 등의 항목에서 두 군 사이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양호반응군이 불량반응군에 비해 치료전에 보다 수평적인 안모형태를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이었다. 2. $Bj\ddot{o}rk$ sum등 두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각 항목들의 임계값과 판별력을 구하였다. 3. 판별에 기여도가 높은 세 항목 즉, $Bj\ddot{o}rk$ sum, genial angle 그리고 occlusal plane to An plane angle을 이용한 판별식을 구하였으며, 이를 이용할 때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의 $85\%$를 올바르게 판별할 수 있었다.

  • PDF

Isolation, Expression Pattern, Polymorphism and Association Analysis of Porcine TIAF1 Gene

  • Wang, Y.;Xiong, Y.Z.;Ren, Z.Q.;Zuo, B.;Lei, M.G.;Deng, C.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313-318
    • /
    • 2009
  • TIAF1 is a TGF-${\beta}$1-induced anti-apoptotic factor that plays a critical role in blocking TNF (tumor necrosis factor) cytotoxicity in mouse fibroblasts and participates in TGF-${\beta}$-mediated growth regulation. In this study, we obtained the full-length cDNA sequence of the porcine TIAF1 gene. Real-time PCR further revealed that the TIAF1 gene was expressed at the highest level in liver and kidney with prominent expressions detected in uterus, and lower levels detected in heart, spleen, lung, stomach, small intestine, skeletal muscle and fat of Large White pigs. Sequence analysis indicated that a 6 base-pair deletion mutation existed in the exon of the TIAF1 gene between Meishan and Large White pigs. This mutation induced deletion of Gln and Val amino acids. PCR-RFLP was used to detect the polymorphism in 394 pigs of a "Large White${\times}$Meishan" $F_{2}$ resource population and four purebred pig populations. The frequencies of the A allele (with a 6 bp deletion) were dominant in Chinese Meishan and Bamei pigs, and the frequencies of the B allele (no 6 bp deletion) were dominant in Large White and Landrace pigs. Associat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deletion mutation had highly significant associations (p<0.01) with meat marbling score of the thorax-waist longissimus dorsi (LD) muscle (MM1) and intramuscular fat percentage (IMF), and significant associations (p<0.05) with carcass length (CL). The results presented here supply evidence that the 6 bp deletion mutation in the TIAF1 gene affects porcine meat quality an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further porcine breeding.

Expression characterization and transcription regulation analysis of porcine Yip1 domain family member 3 gene

  • Ni, Dongjiao;Huang, Xiang;Wang, Zhibo;Deng, Lin;Zeng, Li;Zhang, Yiwei;Lu, Dongdong;Zou, Xinhu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3호
    • /
    • pp.398-407
    • /
    • 2020
  • Objective: The Yip1 domain family (YIPF) proteins were proposed to function in endoplasmic reticulum (ER) to Golgi transport and maintenance of the morphology of the Golgi, which were homologues of yeast Yip1p and Yif1p. YIPF3, the member 3 of YIPF family was a homolog of Yif1p.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and regulation mechanism of porcine YIPF3. Methods: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was used to analyze porcine YIPF3 mRNA expression pattern in different tissues and pig kidney epithelial (PK15) cells stimulated by polyinosine-polycytidylic acid (poly [I:C]). Site-directed mutations combined with dual luciferase reporter assays and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were employed to reveal transcription regulation mechanism of porcine YIPF3.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he mRNA of porcine YIPF3 (pYIPF3) was widely expressed with the highest levels in lymph and lung followed by spleen and liver, while weak in heart and skeletal muscle. Subcellular localization results indicated that it expressed in Golgi apparatus and plasma membranes. Upon stimulation with poly (I:C), the level of this gene was dramatically up-regulated in a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pYIPF3 core promoter region harbored three cis-acting elements which were bound by ETS proto-oncogene 2 (ETS2), zinc finger and BTB domain containing 4 (ZBTB4), and zinc finger and BTB domain containing 14 (ZBTB14), respectively. In which, ETS2 and ZBTB4 both promoted pYIPF3 transcription activity while ZBTB14 inhibited it, and these three transcription factors all played important regulation roles in tumorigenesis and apoptosis. Conclusion: The pYIPF3 mRNA expression was regulated by ETS2, ZBTB4, and ZBTB14, and its higher expression in immune organs might contribute to enhancing ER to Golgi transport of proteins, thus adapting to the immune response.

하악골 전돌증 수술 후 하악골 이동량에 따른 발음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SPEECH PATTER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URGICAL SETBACK IN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 신기영;이동근;오승환;성헌모;이숙향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1호
    • /
    • pp.48-58
    • /
    • 2001
  • After performing mandibular setback surgery, we found some changes in patterns and organs of speech.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aspect and degree of speech patterns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rgical setback in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Thirtee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ere studi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ver 6 months. They had undergone the mandible setback operation via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BSSRO). We split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Group 1 included patients whose degree of mandibular setback was 6mm or less, and Group 2 above 6mm. Control group was two adults wish normal speech patterns. A phonetician performed narrow phonetic transcriptions of tape-recorded words and sentences produced by each of the patients an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plosives, fricatives, and flaps were analyzed with a phonetic computer program (Computerized Speech Lab(CSL) Model 4300B(US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Generally, Patients showed longer closure duration of plosives, shorter VOT(voice onset time) and higher ratio of closure duration against VOT. 2. Patients showed more frequent diffuse distribution than the control group in frication noise energy of fricatives. 3. In fricatives, frequency of compact from were higher in group 1 than in group 2. 4. Generally, a short duration of closure for /ㄹ/ was not realized in the patient's flaps. Instead, it was realized as fricatives, sonorant with a vowel-like formant structure, or trill type consonant. 5. Abnormality of the patient's articulation was reduced, but adaptation of their articulation after surgery was not perfect and the degree of adapt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surgical setback.

  • PDF

정상교합을 가진 유치열기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ANALYSIS FOR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IN THE PRIMARY DENTITION)

  • 서문선;손흥규;백형선;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9-118
    • /
    • 2005
  • 소아치과 영역에서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치의 비교분석은 성장과 발육의 평가에 중요하며 부정교합의 조기진단과 치료를 위한 두개 안면부의 형태, 성장 양상을 아는 것에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가 중요한데 유치열기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므로 유치열기 정상교합 아동의 표준치를 얻고 과거 연구에서의 계측치와 비교하고자 서울시내 소재의 유아원 아동 중 유치열기의 정상교합을 가진 4세에서 5세 아동으로 본원에 내원한 안모 및 전신 발육 상태가 양호한 아동 4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 사진을 촬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격성 계측항목에서 각도 계측치는 남녀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길이 계측치는 남자가 여자보다 전반적으로 큰 수치를 보였다. 2. SNA는 $81.3^{\circ}$, SNB는 $76.6^{\circ}$, ANB difference는 $4.7^{\circ}$를 나타냈다. 3. Anterior cranial base length에 대한 Mandibular body length의 비율은 남녀모두 0.9:1이었고 Anterior facial height에 대한 Posterior facial height의 백분율은 남자 61.4%, 여자 62.0%를 나타냈다. 4. 치성 계측항목에서는 IMPA는 $84.2^{\circ}$, UA to SN은 $90.8^{\circ}$를 나타냈다. 5. Ricketts의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은 2.6mm, 하순은 2.5mm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