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com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TV시리즈 애니메이션 <심슨가족>에 나타난 시트콤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itcom in TV Series Animation )

  • 박윤오;김재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57-166
    • /
    • 2011
  • TV시트콤 애니메이션 <심슨가족>은 동서양, 학력, 나이, 성별을 막론하고 다양한 수용자층을 확보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5명의 주인공 가족과 다양한 주변인물들은 매회 등장하여 폭넓은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며, 미국의 사회, 정치적 이슈가 되고 있는 무거운 주제들을 패러디를 사용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표현하고 있다. <심슨가족>이 전 세계에서 이와 같이 사랑받고 있는 이유를 시트콤 애니메이션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스토리 전개방식과 캐릭터의 특징, 그 외의 재미요소들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국내 시트콤 애니메이션의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디어 유머에 대한 내용분석: 1950~1990년대 미국 가족 시트콤을 중심으로 (A Content Analysis of the Family Sitcom Humor from the 1950s to the 1990s in the USA)

  • 김균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86-96
    • /
    • 2014
  • 본 연구는 미국 텔레비전의 여성 재현과 유머 유형을 탐색하기 위해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반세기에 걸쳐 방영된 가족 시츄에이션 코미디(시트콤)프로그램 중 닐슨 시청률 데이터 자료에 의해 가장 인기 있었던 상위 10개 프로그램에서 여성을 포함한 가족구성원이 반영된 코미디 이벤트를 내용분석 했다. 연구결과, 슬랩스틱(slapstick)코미디가 가장 빈번하게 이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맨틱 및 성적인 내용이 가장 흔한 코미디 소재로 이용됐다. 특히 가족구성원 중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여성의 재현과 관련해 점차 여성을 희화화의 대상으로 그리고 있는 점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유머가 종종 극단적인(tendentious)속성으로 흐른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뒷받침 했다. 끝으로 '미디어 유머'와 관련한 후속연구 및 국내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했다.

보편 서사로서의 가족희극, 인스 최의 『김씨네 편의점』 (Universal Narrative of a Familial Comedy: Ins Choi's Kim's Convenience)

  • 이용희
    • 미국학
    • /
    • 제44권2호
    • /
    • pp.67-96
    • /
    • 2021
  • The Canadian public broadcaster CBC had successfully aired a sitcom centered on a Korean immigrant family from 2016 to 2021. The show is based on the play Kim's Convenience written by a Korean-Canadian playwright Ins Choi. This study explores literary features of Kim's Convenience that accounts for its popularity; three elements of the show play crucial roles in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First, Choi deploys a Korean immigrant story in the form of comedy. Second, the main plot revolves around an ordinary family with generational strains that ends in reconciliation. Third. the Kims are depicted more as an archetypical family than a stereotypically Asian one. By closely interweaving these elements, Choi induces the audience to find commonalities from the show, and racial specificities of the Kim's family become "spicy" attractions of the play.

시즌제 시트콤 <프렌즈(Friends)>의 내러티브와 유머 효과 : 몰아보기(Binge Watching) 시청 방식과 관련하여 (Relation between Narrative Construction in Sitcom Friends and Mechanism of Humor-focusing on Viewers' Narrative Understanding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 서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41-149
    • /
    • 2020
  • 이 글에서는 1994년에서 2004년 사이 TV 방영되었고, 2018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제공으로 다시 화제가 된 시즌제 시트콤 <프렌즈(Friends)>의 내러티브 구성과 유머 효과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프렌즈>의 주요 드라마적 갈등축을 담당하는 로스와 레이첼의 서사는 몰아보기 방식과 결합되어 새로운 서사적 인지 차원과 향유 요소를 발생시킨다. 이들의 결별 모티프는 시즌을 건너뛰어 반복되며, 각 에피소드에서 주요 사건(핵 사건)이나 부차적 사건(주변 사건)으로 그 사건의 위계가 자유자재로 변주된다. 그런데 몰아보기 환경에서는 에피소드별 시청 시간의 간격이 짧아지고, 이에 따라 각 대사나 인물의 작은 행동에 대한 기억 보존의 정도가 높아지며, 이별이나 상실과 같은 드라마적 갈등에 투영되는 감정적 에너지가 보다 빠르게 상쇄 혹은 승화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수용자들의 사건 위계 변화에 대한 감각 역시 좀 더 증가하게 된다. 즉 '무거운' 갈등요소가 '가벼운' 유머로 보다 더 빠르게 변화됨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시청자로 하여금 긴장된 에너지를 한 순간에 해방시키는 웃음을 유발하고, 더 나아가 삶 자체를 가볍고 유쾌하게 다루는 시트콤의 특성을 더욱 강화하여 수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시트콤 동영상에서 MPEG-7 시각 기술자를 이용한 Scene 배경의 자동 분류 방법 (An Automatic Scene Background Classification Scheme for Sitcom Videos Using MPEG-7 Visual)

  • 전재욱;손대온;낭종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505-507
    • /
    • 2004
  • 시트콤 동염상은 고정된 배경을 갖는 중 아웃에 연이어 오는 줌 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활영되는 배경의 수는 한정되어 있는 특성이 때문에, 이러한 배경의 시각적 특성을 사용하여 배경들을 학습시키고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의 일종인 LVQ[1]를 사용하여 이러한 증류의 비디오 동영상에 대한 자동 배경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MPEG-7 시각 기술자를 이용하여 신(scene) 배경의 시각적인 특성을 추출하고 이러한 시각적 특성을 미리 제작자에 의해서 주어진 배경 점보로서 LVQ를 학습시킨다. 학습이 진행되면서 특정 배경의 시각적 특성은 LVQ의 가중치로서 표현되며, 다른 배경을 자동으로 분류하는데 사용된다 제안된 LVQ기반의 분류 방법을 사용한 두 종류의 시트콤 동영상에 대한 실험 결과는 분류에 대한 어떠한 하드코딩 없이 80-90%의 정확도로 시트콤 동영상의 배경을 자동으로 분류한다.

  • PDF

미 · 일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음식장면의 상징적 속성 비교 -가족 구성의 애니메이션 <심슨>과 <아따신찌>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Symbolic Content in American and Japanese Animation: Food Scenes in "The Simpsons" and "Atashin'chi")

  • 구보름;권경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79-86
    • /
    • 2013
  •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에서 표현된 음식은 문화의 정서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는데, 음식에 대한 상징적 해석은 문화기호학적 측면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음식 장면에 초점을 두어, 1980년대 미국의 대표적인 가족 구성 애니메이션 "심슨(The Simpsons)"과 2002년 TV아사히에서 방영되어 2009년까지 일본 가족의 소소한 이야기로 큰 공감대를 형성하여 큰 사랑을 받아 온 "아따신찌(あたしンち)"를 대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애니메이션 제작 단계에서 인지적 작용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와 애니메이션 표현의 상징적 속성에 대한 비교사례로서 작품 제작에 있어 하나의 기준으로 적용되기를 바란다.

VOD 홀드백 정책 변화가 IPTV와 케이블TV VOD 이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VOD Holdback Strategy Change on IPTV and Cable TV VOD Usage)

  • 조석현;정동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42-15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IPTV 및 디지털케이블의 SVOD 서비스 홀드백 변경 전후의 VOD 이용 행태를 분석하여, 방송 콘텐츠 유통 전략 변화가 소비자의 VOD 이용행태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SVOD 홀드백이 1주에서 3주로 변경된 후, 이용건수는 50%까지 감소한 반면, 월정액 상품인 PPM의 증가로 유료 VOD 매출은 증가하였다. 시계열 분석결과, SVOD 이용건수, 가입자당 SVOD 이용건수, 가입자당 PPV 이용금액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가입자당 VOD 이용금액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드라마 장르별 SVOD 이용은 미니시리즈, 주말드라마, 주말특별드라마, 시트콤 등의 이용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로 방송사의 콘텐츠 유통 정책 변화가 이용자의 VOD 이용행태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방송사 및 플랫폼 사업자에게 VOD 유통전략 수립 및 VOD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가족애니메이션 캐릭터 연구 - <심슨 가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mily Animation Characters - Focused on the )

  • 윤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5-43
    • /
    • 2019
  • <심슨 가족> 에 대한 관심은 미국 문화의 함축, 깊이 있는 풍자, 흥행에 대한 벤치마킹이 대부분이다. 서사적 특성과 캐릭터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 흥행 원인 분석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작품의 장르적 특성을 가족 애니메이션이라 규정하고, 이에 따른 전략적 캐릭터 서사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캐릭터의 개별적 특징을 확인하고 타 애니메이션, 드라마, 시트콤의 캐릭터와 비교 분석해보았다. 또한 캐릭터들이 서사에 참여하는 비중, 특정 에피소드에서 웃음의 시점과 향유자층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 캐릭터의 이상적인 모습을 탈피해 대중 매체가 지향하던 고정된 시선을 풍자하고 대중이 가진 욕망을 자극한다. 2) 또한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가 주인공이 되고 때로는 조력자, 안타고니스트가 되는 순환적 서사를 통해 향유층을 확장하고 문화적 할인율은 절감했다. 3) 서사의 층위를 달리해 유아, 청소년, 성인들이 즐길 수 있는 깊이가 각각 달라지고 이 역시 타겟의 확장에 기여한다. 한국 애니메이션이 가진 타겟과 주제에 대한 한계를 감안했을 때, <심슨 가족>이 가진 위의 특징을 활용한다면 보다 가치 있고 지속적인 향유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후 한국의 가족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캐릭터 특징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향유의 확장성과 지속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