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2.141

Relation between Narrative Construction in Sitcom Friends and Mechanism of Humor-focusing on Viewers' Narrative Understanding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Seo, Eun-Hye (홍익대학교 교양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this paper, I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narrative construction (especially focusing on motif) and humor mechanism based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Several motif theories such as B. Tomachevski, Horst and Ingrid Dämmrich and S. Chatman are used as a basic study method in chapter II. In popular sitcom , sometimes kernels(according to S. Chatman's term) in certain season's story are changed into satellites(according to S. Chatman's term) in other season's stories. The motif of Ross and Rachel's conflic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for this switching process. Especially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as the interval length is much more shortened, viewers tend to reflect their own emotional memory into characters less strongly than segment watching environment. As a result, the possibility 'heavy' stories such as seperation are quickly changed into 'light' humorous matters is increased. This kind of hierarchy variation of repeated motif make the viewers laugh, because they can feel sudden liberating energy by eliminating psychological pressure. It means the characteristics of sitcom's humor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theory of 'laugh as a eliminating tension', which I. Kant representatively said.
Keywords
Sitcom; ; Binge Watching; Narrative; Motif; Kernels; Satellites; Humor;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Immanuel Kant, 백종현 옮김,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2 류종영, 웃음의 미학, 유로, 2005.
3 최이정, 시트콤 구조 분석론,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4 이응주, 텔레비전 시트콤의 장르 재구성을 위한 텍스트분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5 김미라, "웹드라마 콘텐츠의 제작 및 서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네이버 TV 캐스트 웹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5호, pp.324-325, 2015.
6 김미라, "시트콤 장르의 중첩적 공진화 연구: <지붕뚫고 하이킥>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1권, 제2호, pp.5-37, 2010.
7 송우열, TV 시트콤의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순풍 산부인과'와 '프렌즈'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8 김태연,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의 내러티브 분석," 한국극예술연구, 제22호, pp.317-349, 2005.
9 Brett Mills, Television Sitcom, British Film Institute, 2005.
10 남정미, "넷플릭스 조회 1위는 10년 전 시트콤...고여있던 콘텐츠의 부활," 조선일보, 2019.10.5.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0/04/2019100402079.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news)
11 정금희, 수용자의 능동적 행위로서 미디어 몰아보기(Binge watching) : 계획된 행동이론 (TPB)을 적용한 몰아보기 행동 모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2 B. Tomachevski, "테마론," 츠베탕 토도로프 편, 김치수 옮김, 러시아 형식주의 문학의 이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8.
13 한순상, 수용자의 몰아보기 이용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4 Djoymi Baker, "과잉의 용어들-넷플릭스 시대, 서사극적 시청으로서 몰아보기," Cory Barker, Myc Wiatrowski 외, 임종수 옮김, 넷플릭스의 시대, 랜덤북스, 2019.
15 Maria Bianchini, Maria Carmen Jacob De Souze, "넷플릭스와 <못말리는 패밀리>의 혁신적인 서사 구성," Cory Barker, Myc Wiatrowski 외, 임종수 옮김, 넷플릭스의 시대, 랜덤북스, 2019.
16 S. Horst and Ingrid Dammrich, "모티프와 주제," 이재선 엮음, 문학주제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6.
17 Seymour Chatman, 한용환 옮김, 이야기와 담론-영화와 소설의 서사 구조, 푸른사상, 2008.
18 Stephen Neale, Frank Krutnik, 강현두 옮김, 세상의 모든 코미디,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19 Henri Bergson, 이희영 옮김, 웃음/창조적 진화/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동서문화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