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parent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29초

부모 사별에 따른 대학생의 상실경험 연구 (Parental Loss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 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39-49
    • /
    • 2008
  • This research reports on a qualitative analysis of email facilitated reflective dialogue with seven college students whose parent dies. The study was exploratory in considering cultural values on intact family and asked the question: What do children experience after parental death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with intra and extrafamily systems? Young adult children of single parent family expressed that they felt social pressure to practice filial piety toward their single parent. They made efforts to fulfill the social expectation and to achieve social desirability. Social stigma from extrafamily systems affected the experiences of the bereaved children. In terms of intrafamily system, young adult children tend to idealize their deceased parent. Single parents depended on the young adult children, which made parent-child relationship enmeshed or conflicting. The holistic view of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intra and extra family systems when understanding family loss experience of the bereaved young people.

여성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systemic Factors that affect the independent will of the female single parent householder)

  • 이은희;최광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983-2990
    • /
    • 2012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 근거하여 여성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여성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자립의지 향상을 위한 개입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들은 영남지역 모자보호시설에 거주하는 176명의 여성 한부모가족 가구주들이다. 본 조사는 2011년 9월 28일부터 10월 11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연구의 분석은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주요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관관계분석을, 그리고 생태체계적 요인이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각 단계적으로 비교하기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한부모가족 가구주들의 자립의지에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운데서는 연령과 입소기간이, 개인체계 요인 가운데서는 자기효능감의 정도가, 가족체계요인 가운데서는 가족의 문제해결에 대한 대처행동이, 그리고 사회체계요인 가운데서는 확대가족 및 친지로 부터의 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여성 한부모가족 가구주들의 자립의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지역사회 거주 청소년 한부모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on the Rearing Experiences of Adolescent Single Parents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 이경란;최정숙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5호
    • /
    • pp.189-236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청소년 한부모의 자녀양육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Giorgi 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16~24세에 자녀를 출산하고 현재 6개월~11세 자녀를 둔 지역사회 거주 재가 청소년 한부모 8명이다. 연구 결과, 140개의 의미단위, 34개의 하위구성요소, 7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최종 구성요소는 '충족되지 못한 현재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시작됨', '뜻하지 않게 닥친 선택의 기로에서 갈등함', '청소년 한부모삶으로의 진입과 적응의 힘겨움', '재가 청소년 한부모의 자녀 양육과정에서 마주한 차가운 현실의 벽', '어린 부모로 최선의 부모됨을 위한 역할 찾아가기', '한부모로서 나를 찾아가는 과정에서의 변화와 성장', '더 나은 청소년 한부모 삶을 위한 염려와 바람'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거주 청소년 한부모의 자녀양육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고, 그들에대한 제도적 지원과 사회 시선의 변화가 모색되길 바라면서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건강가정지원센터 내 한부모가정 관련 사업 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ograms for Single-parent Families in a Family Support Centers)

  • 박정윤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3호
    • /
    • pp.167-17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ealthy family education, healthy family counseling, a healthy family culture, and healthy families integrated programs for single parent families in family support centers, The data collected came from 59 family support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Korea. Subjects included both single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e children were of elementary school age. The types of programs were education, counseling, culture, and integrated program. Education programs were process separately for the parents and for the children. Counseling programs were mostly group-type program that aimed at improving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The contents included sections on anger management, reducing stress, enriching self-esteem. The culture programs involved experiences, camps that included cooking, watching movies, similar activities. Integrated programs involved respite support, rearing support, mentor-mentee partnerships, and the formation of self-help groups.

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Comprehensive Policies for Low-Income Single-parent Households - Using a Concept of Social Exclusion)

  • 송다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295-319
    • /
    • 2003
  • 본 연구는 저소득 모자가구주의 대부분이 일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여전히 어려운 노동빈민(working poor)으로서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비롯되었으며, 저소득모자가구의 생활실태를 최근 사회과학 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배제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의 극복방안으로서 사회적 통합과 연대모색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남성가장을 중심으로 한 일반가구, 일반 모자가구, 사회적 빈곤선 이하에 놓인 저소득모자가구를 대상으로 각 가구유형별 특성과 생활실태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반적인 모자가구의 사회적 배제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0년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사회복지욕구조사" 원자료를 이차분석(secondary analysis) 하였으며 총 3,182가구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모자가구는 일반모자가구, 저소득모자가구에 상관없이 고용형태, 주거형태, 소득, 소비생활 측면에서 일반(남성가장)가구에 비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반가구에 비해 모자가구는 가족으로부터 자원을 제공받기보다는 오히려 장애, 만성질환 등의 가족원을 보호해야 하는 상당한 부담을 안고 있었으며, 사회적 안전망에서도 모자가구는 전반적으로 제외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모자가구가 일반가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사회적으로 취약해지거나 고립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현실을 반영하며, 현재 공식적으로 빈곤층, 혹은 저소득층으로 분류되지는 않았지만 일반모자가구도 포괄적인 사회적 안전 망이 확립되지 않는다면 향후 저소득층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확인시켰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모자가족의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수 있는 사회적 통합방안이 모색되었다.

  • PDF

농촌지역 편부모가족을 위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 for single-parent family in rural area)

  • 김경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27-142
    • /
    • 1999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develop a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 for single-parent families in rural area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rough continuous tests.For these objectives, the concurrent-type program for single-parent families that emphasized communication skills, psychological strategies,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system was construc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pre-, post- and delayed test through 88 single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it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self-confidence and in decreasing depression. This effectiveness was more in single-father families than single-mother families. But especially in children this effectiveness was diminished as times passed. For maintaining this effectiveness in program, more frequent and continuous following education was demanded.

  • PDF

한부모가정여부가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을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ngle-parent household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diation of children's self-care and media exposure-)

  • 양경해;강현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221-2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정여부가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 노출을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데이터의 초4학년패널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총 1,916명의 아동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주요한 통계방법으로는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중매개모형 특정간접효과(specific indirect effect)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모형(phantom model)에 의한 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가정여부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뿐 아니라, 아동의 자기보호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 노출은 한부모가정여부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한부모 가정은 일반가정에 비해 아동 자기보호 수준이 높으며, 이는 미디어 노출을 증가시키고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아동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에 관련한 정책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학교 적응을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이라는 구조적 특성과 그에 따른 특수한 욕구에 맞는 방과후 돌봄과 아동 미디어노출 관련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정서지능향상프로그램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on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in Single Parent Family)

  • 진소연
    • 초등상담연구
    • /
    • 제5권1호
    • /
    • pp.139-15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for the increas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single parent family To verify the previous hypotheses, 16 children of single parent family(experimental group I : n=8, control group 1 : n=8) and 16 children of two parent family(experimental group II : n=8, control group II : n=8) were selected at random, which are a total of high-grade students from P elementary school in J city, Jeon-buk province. Disposal about experimental group execut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for the humanity education of Moon - yong - lin(1999)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which was reconstructed guidanc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Her - seung - hee (2004) as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for 50 minutes, 16times, twice a week.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after experiment, 1 collected materials for estimation by providing the subject children with questionaries about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ability of school life adapta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n analyzed the average differences in number of mark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rough and by using One-Way ANOVA, and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ceiv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in statistic data(p<.01).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ceiv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on the school life adaptation in statistic data(p<.001).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ingle parent family's children and the two parent family's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ability of school life adaptation(p>.05). But single parent family's children were higher significant increase than two parent family's children 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01).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ability of school life adaptation. Also, these showed that this program helps the school life adaptation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 of single parent family's children.

  • PDF

한부모가정과 양부모가정 초등학생의 건강행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Health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ingle-Parent Families and Two-Parents Families)

  • 이유진;김명숙;홍성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711-72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정과 양부모가정 초등학생의 식생활 습관, 신체활동, 가정 및 학교생활, TV 시청 및 인터넷, 흡연, 음주와 약물, 성의식, 사회성과 정신건강 등을 파악하고, 한부모가정 초등학생의 건강행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의 S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023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5일부터 3월 16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정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모자가정 초등학생의 경우 '아침식사는 규칙적으로 먹는 편이다.'(p=.015)와 '담임 선생님과의 개별상담을 원한다.'(p=.019)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부자가정의 초등학생은 '밥을 먹기 전이나 밖에서 놀다 돌아와서 비누로 손을 씻는다.'(p=.035), '고민이 있을 때 의논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p=.005)와 '외롭고 우울한 경우가 자주 있는 것 같다.'(p=.007)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모자가정에서 '담임선생님과의 개별상담을 원한다.'가 양부모가정보다 7.670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p=.011), '아침식사는 규칙적으로 먹는 편이다.'는 0.434배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부자가정에서는 '밥을 먹기 전이나 밖에서 놀다 돌아와서 비누로 손을 씻는다.'가 0.298배로 낮게, '고민이 있을 때 의논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가 0.265배로 낮게, '외롭고 우울한 경우가 자주 있는 것 같다.'가 3.844배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한부모가정 초등학생의 건강행태 관리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상담을 원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양부모가정보다 높게 나타난 것을 토대로 한부모가정 학생들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이혼 가정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가구 소득의 조절효과 (Predictors of Positive Changes in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Incomes)

  • 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65-47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이혼 가정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혼 가정 한부모의 지각된 사회적 차별 경험, 양육 어려움, 자녀와의 대화시간,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확인하고, 가구 소득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5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자료의 한부모 1,11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부모가 지각한 차별 경험은 양육어려움(${\beta}=.354$), 인터넷 사용문제(${\beta}=.234$)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부모가 지각한 양육 어려움은 자녀와의 대화시간(${\beta}=-.192$), 자녀의 긍정적 변화(${\beta}=-.218$)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beta}=.440$)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는 부모의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beta}=-.199$)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부모가 지각한 차별 경험은 자녀와의 대화시간, 양육 어려움, 인터넷 사용문제를 매개로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beta}=-.167$)가 확인되었다. 셋째, 다집단 분석 결과, 가구 소득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계수의 크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한부모가 차별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사회적 문화 형성과 한부모의 양육 과정에 대한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가 중요하며, 한부모 가정 자녀의 인터넷 과다 사용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