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ative Study on the Rearing Experiences of Adolescent Single Parents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지역사회 거주 청소년 한부모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경란 (단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
  • 최정숙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1.11
  • Accepted : 2017.03.09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is study utilized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to understand the rearing experiences of the single adolescent parent. The study consisted of eight single parents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The single parents had given birth during the ages between 16 and 24 and were currently rearing children between 6 months and 11 years of ag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sisted of 140 meanings, 34 subcategories, and 7 structure factors. The final structure factors consisted of 'onset as an escape from the unfulfilling reality', 'conflict upon unexpected choice situation', 'difficulties of starting and adapting to single adolescent parenting', 'brutal realities of at home single parenting', 'search for the best parenting role for the young parent', 'changes and growth associated with discovering one's self identity as a single parent', and 'concerns and wishes for a better life of the single adolescent parent'.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to better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single adolescent parent with anticipations for organized institutional aid and changes of the social attitude have been proposed.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청소년 한부모의 자녀양육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Giorgi 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16~24세에 자녀를 출산하고 현재 6개월~11세 자녀를 둔 지역사회 거주 재가 청소년 한부모 8명이다. 연구 결과, 140개의 의미단위, 34개의 하위구성요소, 7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최종 구성요소는 '충족되지 못한 현재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시작됨', '뜻하지 않게 닥친 선택의 기로에서 갈등함', '청소년 한부모삶으로의 진입과 적응의 힘겨움', '재가 청소년 한부모의 자녀 양육과정에서 마주한 차가운 현실의 벽', '어린 부모로 최선의 부모됨을 위한 역할 찾아가기', '한부모로서 나를 찾아가는 과정에서의 변화와 성장', '더 나은 청소년 한부모 삶을 위한 염려와 바람'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거주 청소년 한부모의 자녀양육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고, 그들에대한 제도적 지원과 사회 시선의 변화가 모색되길 바라면서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