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nalized intersection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3초

신호교차로 내 딜레마구간 차내경고시스뎀 개발 (In-vehicle Dilemma Zone Warning System at Signalized Intersections)

  • 문영준;이주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53-62
    • /
    • 2003
  • 본 연구는 건설교통부 ITS R&D 사업 「신호교차로 내 딜레마구간 차내경고시스템 개발」 과제로써 첨단차량 및 도로 분야(AVHS)의 운전자지원 및 충돌방지시스템 분야로서 신호교차로 내에서 단독 혹은 차량군으로 진입하는 차량들에게 신호변경 시 운전자가 정지 혹은 진입의 의사결정을 안전하게 내릴 수 있도록 신호제어기의 변경정보를 단거리전용무선통신(DSRC)를 통해 실시간으로 사전에 경고를 주는 차내경고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의 연구개발은 ITS 연구개발을 통한 시스템 통합 및 구축을 실현함으로써 ITS에 대한 대국민 의식전환으로 국내 ITS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한 도시부 신호교차로 유턴 사고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U-turn Accident Model at Signalized Intersections in Urban Area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강종호;김경환;김성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279-128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부 신호교차로에서의 유턴 사고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창원시 3지, 4지 신호교차로의 유턴 교통사고 자료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사고예측모형을 추정하였다. 먼저 유턴 운영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맨-위트니 U검정으로 평균차이를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4지 신호교차로의 사고유형별 구분에 있어서는 추돌사고를 제외한 유형에서, 사고위치별에 있어서는 유출부 사고가 유턴구역이 설치된 집단의 사고발생건수가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사고건수에 대한 반응척도를 이항으로 분류하고 사고예측모형을 추정한 결과 상충교통량, 대향차로수와 같은 독립변수가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3지 신호교차로에서는 종단 경사, 4지 신호교차로에서는 횡단보도수가 공통영향 이외에 특정변수로 도출되었다. 도시부 신호교차로에서 유턴 운영을 위해서는 유턴 구역 대향차로수가 사고무발생 교차로의 평균차로수인 3.5개 차로 이상이며, 접근부의 종단선형이 상향경사일 경우에 설치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된다. 또한 유턴 차량의 많은 부분이 횡단보도 시간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점을 고려하여 유턴 시기에 대한 지시표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초기변수의 불확실성이 신호교차로 지체모형 및 서비스수준 예측에 미치는 영향 분석 (A Effect of Unreliable Default Parameter in Forecasting Delay and Level of Service of Signalized Intersection)

  • 김성득;박원규;김경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1-478
    • /
    • 2003
  • 신호교차로는 도로조건, 교통조건, 신호조건 능 방대한 입력자료를 바탕으로 용량분석을 시행하고 이 과정을 토대로 주요 효과척도인 지체를 산정하여 신호교차로의 서비스 수준을 판단한다. 하지만 이러한 용량 및 서비스 수준 결정에 있어 바탕이 되는 현장 데이터(회전 교통량, 도로의 기하구조, 신호시간, 접근로 구배, 중차량비, 첨두시간계수, 차량도착형태 등) 입력자료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초래되는 결과의 오류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추정된 용량 및 서비스수준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할 수 없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 교차로 접근로의 교통량과 중차량 비율 및 도로의 기하구조 등 입력자료의 불확실성이 용량해석과 서비스수준 결정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해보고 이틀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Roundabout의 용량분석 (Analysis of the Entry Capacity of Roundabouts)

  • 전우훈;도철웅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9-69
    • /
    • 2003
  •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시 교차로는 신호 또는 '정지', '양보'표지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교통량이 비교적 적은 교차로를 roundabout으로 처리하는 것이 지체측면에서 볼 때 신호교차로보다 우수하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실제 외국에서는 이 통제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 방법을 꺼리는 이유는 물론 교차로부지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 때문이기도 하지만, 어떤 교통조건에서 roundabout을 사용해야 효율적인지에 대한 연구가 없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roundabout에 대한 진입용량 모형의 개발과, 교통량에 관한 준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Roundabout의 진입용량은 회전교통류율과 기하구조에 의해서 결정되며, 이 기하구조 요소는 중앙섬직경과 진입차로폭 그리고 회전차로폭이다. 분석에 필요한 현장자료는 4개의 roundabout에서 수집되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진입용량에 크게 영향을 주는 도로조건은 중앙섬직경과 회전차로폭이며, 2)본 연구에서 개발한 국내의 진입용량 모형에서 얻은 용량은 독일과 이스라엘 모형의 진입용량보다 더 높다. 그 이유는, 이들 모형에 내재하는 도로조건 파라메터가 서로 다름으로 단순비교가 어렵지만. 본 연구에서 선택된 roundabout의 외경(外涇)이 외국의 값보다 비교적 크며, 우리나라 운전자들의 수락간격이 다른 나라에 비해서 짧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Roundabout과 신호교차로의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해 SIDRA를 이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은 단지 1차로로 구성된 roundabout에 대해서만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각 방향의 접근로에서의 교통량이 600pcph 이하일 때 신호교차로보다 roundabout의 효율성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호교차로와 버스정류장간 이격거리 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the Required Minimum Spacing between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Bus-Bays)

  • 하태준;박제진;임혜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3-82
    • /
    • 2002
  •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의 부근에 위치한 버스정류장과 교차로간의 최소 이격거리 산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차로의 유입부에서는 버스가 승하차 서비스를 한 후 좌회전 차로로 진입하기 위해 필요한 거리를 기준으로 이격거리를 산정하였으며, 유출부에서는 좌회전한 버스가 정차를 위해 차로 변경하는 데 필요한 거리를 바탕으로 이론식을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대기행렬모형과 간격수락모형이 이용되었다. 유도된 이론식을 이용하여 교통량 및 설계속도 등을 변수로 하는 모의실험을 실시한 후, 모의실험의 결과 값을 현재의 버스정류장 설치기준 중 교차로 부근의 설치위치에 관련된 기준인 엇갈림 길이의 계산 값과 비교하였다. 제안된 식들은 현재 설치된 정류장 위치의 적정성에 관한 개략적인 평가, 또는 신설하고자 하는 정류장의 위치선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이론식은 버스의 진행 각도, 버스의 속도, 신호조건 등 일부 변수의 설정을 순화시켰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향후 본 연구와 관련하여 신호교차로에서의 버스와 주변 교통류의 운행특성에 관한 보조연구가 실시된다면 보다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버스정류장 설치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부산항 배후도로 신호교차점에 있어서 컨테이너 차량의 영향분석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Container Vehicles o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of the Roads at Pusan Port)

  • 정헌영;김홍태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7-100
    • /
    • 1999
  • This study was focused on analyzing the headway of various types of trailer in Pusan city with the high heavy vehicle rate. Then Passenger Car Equivalent(PCE) was calibr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trailers in the traffic flow at the signalized intersections. To fulfill this goal types of trailer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such as full trailer semi-trailer unloaded semi-trailer semi-trailer loaded with 20ft container and semi-trailer loaded with 40ft container and Passenger Car Equivalent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CE’s were 2.64, 1.51, 2.09, 2.16 and 2.23 respectively. 2) The saturation flow rate o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was lower than that on the multi-lane highway in the big city of Korea. 3) The start-up delay on the thru lane was similar to the average value in our country but the start-up delay on the left-turn lane was longer than the average value in our country by the impact of container Vehicles.

  • PDF

버스의 재차인원을 고려한 중앙버스전용차로 효과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iveness Analysis Method of Exclusive Median Bus Lanes Considering Number of People in Buses)

  • 조한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59-167
    • /
    • 2013
  •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ness analysis method of exclusive median bus lanes, which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operation efficiency of exclusive median bus lanes. METHODS :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signalized intersection including exclusive median bus lanes" and "normal signalized intersec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 existing capacity analysis method was also review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exclusive median bus lanes. Delay reduction of passengers using exclusive median bus lanes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benefit of exclusive median bus lanes and the number of people in buses were included in the proposed effectiveness analysis method. RESULTS :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expresses properly the effectiveness of exclusive median bus lanes through performing sensitivity analysis and analyzing with the real data of the number of people in buses and passenger car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that measure of effectiveness of signalized intersections is changed to "sec/person". CONCLUSIONS : It was concluded that the method is a proper effectiveness analysis method because it can reflect the benefit of passengers in buses.

신호교차로 지체모형 (Singnalized Intersection Delay Model)

  • 김영찬;이청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7-40
    • /
    • 1991
  • Delay is an widely-used tool for evaluating the operation of signalized intersections. This paper presents two mathematical models: a model converting stop delay into approach delay : and a model estimating delay at isolated signalized intersection. To develop the delay-conversion model, actual stop delay and approach delay experienced by individual vehicles were measured and then their relationship was formulated using ma-thematical procedure. the formula expressing the approach-delay to stop-delay ratio was a monotonously decreasing function of effective red time. New delay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the fitness to measured delay for undersaturated traffic condition and the convergence to the deterministic overflow delay for oversaturated traffic condition. Performance of this model was better than those of other existing models based on the comparison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