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 hormone-binding globuli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1초

이소플라본 보충이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와 성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soflavones Supplementation on Bone Mineral Density and Sex Hormones in Postmenopausal Women)

  • 이다홍;김미현;윤미은;승정자;이행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8호
    • /
    • pp.863-869
    • /
    • 2002
  • Soy isoflavones have been hypothesized to exert hormonal effects and to enhance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To test this hypothesis, we studied the effects of soy isoflavones supplements on bone mineral density and sex hormones (serum estradiol, sex hormone-binding globulin and testosterone) in 47 postmenopausal women. There were 24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and 23 in the control group. The treatment group consumed the isoftavones extract capsule daily (which contained 90 mg of soy isoflavones) for 12 weeks. The study compared pre- and post-isoflavones intake in the following areas: physical examination, diet survey, bone mineral density and serum sex hormone levels. The average age of the treatment group was 64.63 years and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66.48 yea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Both groups maintained regular diet patterns in terms of their average daily nutrient intak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 (18.49 mg) and the control group (21.27 mg) in terms of daily isoflavones intake based on diet. The 12-week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change after taking isoflavones supplements demonstr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 lumbar spine BMD (0.82 g/$\textrm{cm}^2$ in pre versus 0.81 g/$\textrm{cm}^2$ in post), femoral neck BMD (0.58 g/$\textrm{cm}^2$ in pre versus 0.57 g/$\textrm{cm}^2$ in post) in the treatmen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estradiol in the isoflavones treatment group. The subjects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testosterone in the isoflavones treatment group. But the subjec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hormone-binding globulin (60.04 nmol/L in pre versus 52.39 nmol/L in post) in the isoflavones treatment group at the levels of p < 0.05. The significant decrease in sex hormone-binding globulin did indicate the need for long-term study on isoflavones supplementation as well as its positive effect on bone mineral density.

The relationship between anthropometric and metabolic risk factors and testicular function in healthy young men

  • Hakki Uzun;Merve Huner;Mehmet Kivrak;Ertan Zengin;Yusuf Onder Ozsagir;Berat Sonmez;Gorkem Akca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1권1호
    • /
    • pp.48-56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anthropometric and metabolic risk factors with seminal and sex steroidal hormone parameters in a screened population of healthy ma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healthy young men without chronic or congenital diseases. The body composition parameters that we investigated were measured weight, h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WC), as well as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Semen samples were analyzed for semen volume, sperm concentration, sperm motility and morphology, seminal pH, and liquefaction time. Biochemistry analysis, including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parameters, was conducted on fasting blood samples. Testicular volume was calculated separately for each testis using ultrasonography. Results: Body mass index exhibited an inverse association with total sperm count. WC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numerous seminal parameters, including sperm concentration, total sperm count, sperm morphology, and follicle-stimulating hormone levels. The basal metabolic rate was associated with seminal pH, liquefaction time, and sperm motility. WC, fat mass percentage, and triglyceride levels exhibit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The measures of glucose metabolism were associated with a greater number of seminal parameters than the measures of cholesterol metabolism. C-reactive protein levels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sperm concentration and total sperm count. Conclusion: Anthropometric and metabolic risk factors were found to predict semen quality and alterations in sex steroidal hormone levels.

Is Immunohistochemical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Expression Important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denocarcinomas?

  • Bulut, Gulay;Kosem, Mustafa;Bulut, Mehmet Deniz;Erten, Remzi;Bayram, Irf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203-8210
    • /
    • 2016
  • Adenocarcinomas (AC) are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carcinomas. It may be quite challenging to detect the primary origin when those carcinomas metastasize and the first finding is a metastatic tumor. This study evaluated the role of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 positivity in tumor cells in the subclassification and detection of the original organ of adenocarcinomas. Between 1994 and 2008, 64 sections of normal tissue belonging to ten organs, and 116 cases diagnosed as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salivary gland, lung adenocarcinoma,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 adenocarcinoma of stomach, colon, gallbladder, pancreas and prostate, endometrial adenocarcinoma and serous adenocarcinoma and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ovary, were sent to the laboratory at the Department of Pathology at the Yuzuncu Yi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where they were stained immunohistochemically, using antibodies against SHBG. The SHBG immunoreactivity in both the tumor cells and normal cells, together with the type, diffuseness and intensity of the staining were then evaluat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adenocarcinomas of the organs, including the glandular structures, impressively valuable results are encountered in the tumor cells, whether the SHBG immunopositivity is evaluated alone or together with other IHC markers. Further extensive research with a larger number of cases, including instances of cholangiocarcinoma and cervix uteri AC [which we could not include in the study for technical reasons]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appropriately evaluate the role of SHBG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C.

Vegetarian Diets and Estrogen Metabolism in Korean Premenopausal Women

  • Kim Kyung Mi;Sung Mi Kyung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7권1호
    • /
    • pp.29-35
    • /
    • 2005
  • It has been suggested that dietary fat increases the risk of breast cancer by elevating serum estrogen concentrations. However, studies on a relationship between fat intake and breast cancer risk have shown contradictory results, possibly because the levels of fat intake in study populations were too high to observe differences. Also, the effect of other dietary factors may present.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and estrogen metabolism in premenopausal women whose usual fat intake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ir western counterparts. Twenty lacto-ovo vegetarians (LOV) and twenty omnivor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 day food records including a Saturday or a Sunday were used to estimate nutrient intake. Serum lipids, estradiol, sex-hormone binding globulin, and urinary estradiol were measured. Study results showed $24.8\%$ and $20.9\%$ of energy intake were provided from fat in omnivorous and LOV subjects, respectively. Serum and urinary levels of estradiol were two times higher in omnivores. Fat intake was not related to either serum estradiol nor urinary estradiol when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as performed. Carbohydrate, total dietary fiber and soluble dietary fiber intak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serum estradiol concentration. Legumes, vegetables and fruit consumption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s with both serum and urinary estradiol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indicate lower estrogen availability may be associated with plant food­based diets in premenopausal women whose usual diets contain less than $25\%$ of energy as fat.

건강한 소아에서 렙틴 아디포넥틴 비와 인슐린 저항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diponectin ratio and insulin resistance in healthy children)

  • 안계현;김신혜;유은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256-261
    • /
    • 2008
  • 목 적 : 렙틴과 아디포넥틴은 대표적인 adipocytokine으로 비만도 및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함에 따라 혈중 렙틴은 증가하고 아디포넥틴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소아에서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인슐린 저항성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7-15세의 건강한 소아 77명(남아 36명, 여아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신체계측을 하고 공복 후 채혈하여 혈당, 인슐린, 렙틴, 아디포넥틴, 총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라디올 및 SHBG를 측정하였다. 활성 남성호르몬 농도로는 FAI를, 인슐린 저항성의 척도로는 HOMA-IR을 사용하였다. 결 과 : 남아에서 HOMA-IR은 연령, 사춘기 단계, FAI, 렙틴 및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아에서는 HOMA-IR과 연령, %WFH, 사춘기 단계, 에스트라디올, 렙틴, 그리고 렙틴/아디포넥틴 비 사이에 의미있는 양의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아에서 렙틴/아디포넥틴 비는 연령, %WFH, 및 FAI로 보정한 후에도 HOMA-IR과 독립적인 연관성을 보였다(P=0.010). 여아에서는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HOMA-IR 사이에 독립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못하였다. 결 론 : 비만하지 않은 건강한 소아에서도 렙틴/아디포넥틴 비는 인슐린 저항성과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였으며, 남아에서는 연령, 비만도 및 남성호르몬 농도로 보정한 후에도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인슐린 저항성 사이에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었다.

호로파와 야관문 복합추출물의 남성갱년기 개선에 관한 연구 (Effect of a Mixed Extract of Fenugreek Seeds and Lespedeza cuneata on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 이경수;이은경;김신연;김태환;김현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92-4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야관문, 호로파 복합추출인 YHM이 남성갱년기증상의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흰쥐에게 YHM을 4주간 투여한 후, testosterone, SHBG, PSA, 체지방, 혈중지방, 근육량, 운동수행능력, 정자수, 간독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YHM 투여 후 남성갱년기의 지표로 사용되는 남성호르몬인 testosterone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testosterone과 결합하여 기능을 저하시키는 SHBG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립선 관련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PSA를 측정하였으나,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지방조직과 근육량을 측정한 결과 지방 조직은 줄이고 근육량은 늘리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갱년기에서 흔히 있는 근육량 감소 및 체지방 증가를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혈중지질농도에 있어서도 YHM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감소한 반면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증가하였음을 관찰하였다. 강제수영을 통한 운동수행능력 측정에서도 YHM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수영시간이 길었고 이는 YHM의 투여가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총 정자수와 활동성 정자수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YHM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정자형성과 활동성에 영향을 주는 testosterone 농도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YHM의 투여가 간독성을 가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AST와 ALT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으로써 간독성을 가지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실험결과 전반적으로 저농도 투여군인 YHM-40에서 고농도 투여군인 YHM-80에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YHM의 효과가 농도 의존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최적의 생체 이용률을 나타내는 농도가 YHM 40mg/kg인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YHM의 투여는 남성갱년기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지표들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활용하여 남성갱년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엉겅퀴 발효 추출물을 통한 남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 (Effect of Fermented Cirsium japonicum Extract on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 정병서;김성훈;김현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790-80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엉겅퀴 추출물(CE) 및 엉겅퀴 발효추출물(FCE)이 남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5주령 된 흰쥐에 추출물을 6주간 투여한 후, 간독성, 테스토스테론, SHBG, 정자수 및 정자 운동성, PSA, 복부지방, 근육량, 혈중지질, 운동수행능력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세포 실험을 통해 그 기작을 확인하였다. 천연 추출물에서 있을 수 있는 간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간 손상의 지표인 AST와 ALT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E 및 FCE 투여 후 남성 갱년기에서 감소하는 테스토스테론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였고, 테스토스테론의 생체 내 활성을 저하시키는 SHBG의 농도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총 정자수와 정자 운동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CE 및 FCE 투여군에서 증가한 양상을 나타냈고, 이는 정자 형성과 활동성에 영향을 주는 테스토스테론 농도의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전립선에 대한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PSA를 측정하였으나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지방조직과 근육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지방조직량은 줄이고 근육량은 늘려 남성 갱년기에서 흔히 나타나는 체지방 증가 및 근육량 감소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남성 갱년기에서 흔히 동반되는 혈중지질대사 이상에 있어서도 CE 및 FCE 투여군이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감소시킨 반면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증가시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운동수행능력 측정 결과에서는 CE 및 FCE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수영시간이 증가하였고, 이는 CE 및 FCE의 투여가 남성 갱년기에서 나타나는 활력의 저하를 회복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CE 및 FCE의 테스토스테론 증가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실험을 통해 테스토스테론 생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 유전자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처리군에서 합성관련 효소는 모두 증가함을 나타내었고, 전환 관련 효소는 감소함을 나타내었으므로 엉겅퀴 추출물이 테스토스테론 합성을 직접 촉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E와 FCE를 비교해 봤을 때 전반적으로 FCE가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발효 과정을 통해 엉겅퀴 유효 성분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CE 및 FCE가 남성 갱년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