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t-net

검색결과 810건 처리시간 0.025초

제주도 신산 연안 정치망 어획물의 종조성 및 어획량 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variation of catches by a set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Sinsan, Jeju Island)

  • 이승종;한송헌;김맹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7권1호
    • /
    • pp.25-33
    • /
    • 2021
  • Species composition and variation of catches in the coastal waters of Sinsan of Jeju Island were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a set net from May 2014 to October 2015. During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55 species (51 species, 35 families and 11 orders in fishes, 4 species, 2 families and 2 orders in cephalopods) were occurred, and Perciformes (28 species) were dominant fishes in this area.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the small pelagic fishes such as Trachurus japonicus and Scomber japonicus were occurred abundantly, and both species accounted for 95.9% of the total catch by a fishing logbook of a set net. In the results of length-frequency distribution of small pelagic fishes caught by a set net in Sinsan, T. japonicus showed a range from 3.5-19.1 cm (average 8.8 cm) and S. japonicus showed a range from 7.0-25.6 cm (average 16.8 cm). In addition, these were mostly immature fishes.

소나 관찰에 의한 대형정치망내 어군행동의 연구 - I - 입망한 정어리소형군의 행동 - (Studies on the Behaviour of Fish Schools in the Main-net of a Large Scale Set-net Using Scanning Sonar - I - The Behaviour of Small Schools of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a in the Main-net -)

  • 김문관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1권1호
    • /
    • pp.1-7
    • /
    • 1995
  • 대형정치망내에 있어서 어군의 행동 조사는 1992년 1월 29일부터 2월 22일 사이에 일본국 석천현 연안 정치망 어장에서 실시하고, 정치망어구의 어획기능에 관해서 해석, 검토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헛통에 출현한 어군수는 17~18시의 일몰시에 가장 많았고, 그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것으로 보아, 헛통에 있어서 어군의 체류시간은 짧고, 비교적 빠르게 원통에 입망했던가 혹은 헛통의 입구로부터 도피했다고 생각된다. 2. 망내에 입망한 정어리소형군의 행동은 측망에 평행한 직선적인 주복이동이 많고, 등망의 부근에서는 방향을 전환하여 헛통의 옆줄에 향하는 행동이 관찰되었다. 3. 망내에 입망한 정어리소형군의 이동속도는 25cm/sec가 최빈치이고, 최대 이동속도는 80cm/sec 이었다.

  • PDF

소나 관찰에 의한 대형정치망내 어군행동의 연구 ( V ) - 방어어군의 망내행동과 등망의 어획기능 - (Studies on the Behaviour of Fish Schools in the Main-net of a Large Scale Set-net using Scanning Sonar-V - The Behaviour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School Entrapped in a Large Set-net and the Catching Function of the Funnel-net -)

  • 김문관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1호
    • /
    • pp.13-20
    • /
    • 1998
  • 대형정치망에 있어서 등망을 중심으로하여 헛통으로부터 제1원통에 이르는 방어어군의 이동행동은 1992년 11월 9일부터 11월 13일까지 일본국 석천현 칠미시 연안에 있는 안단 정치망어장 3호망에서 스케닝 소나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등망의 어획기능에 관해서 분석, 검토하였다. 이상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방어어군의 출현은 헛통에서는 오전중, 제1원통에서는 오후에 가장 많이 볼 수 있었고, 망내에서의 체류시간은 길었다. 2. 등망을 통과하고 있는 어군의 규모는 헛통 및 제 1원통에 체류하는 어군보다 작았고, 이는 어군의 형상이 변하면서 등망을 통과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3. 등망으로 향한 어군중에서 제 1원통에 입망하는 어군의 비율은 24%이고, 제 1원통에 내등망으로 향한 어군중 헛통으로 도피하는 어군의 비율은 27%였다. 이는 외등망의 구조가 원통으로 유도하는 기능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고 내등망의 구조는 출망을 저지하는 효과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정치망의 어획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군의 입출망시각에 맞춘 양망작업이 필요하다. 조사기간중의 원통에 축적된 어군수로부터 그 다음날 아침의 양망은 시장유통과 노동력부족의 문제를 고려하여 적당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 PDF

제주도 주변 해역 고등어 포착망의 연구 - 2 . 이중조에 있어서 망의 변형에 관한 모형실험 - (Studies on the Mackerel Purse Seine Operating in the Sea Area of Cheju Island - 2 . Model Experiment ob the Deformation of Net in Two Layer Current)

  • 박정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2권4호
    • /
    • pp.32-40
    • /
    • 1986
  • A model experiment of purse seine by the circulating water tank was carried out on the changes of net shape and the tension of purseline under operation in two layer current. In the circular tank, the two layer current was made by cutting off the current of upper layer and producing the bottom current by the equipment shown in Fig. 1. The model experiment of purse sein was made on a reduced scale 1 :400, an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Tauti's model law. When the bottom current of O. 5 knot flows to lower part of three-eighths of net,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 The depth of sinkerline reached only about 80% of that of no current set. The horizontal shift of sinker line caused by the bottom current is maximized in tight set. The enclosed area by the floatIine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set net is 61. 5% in tight set, 50. 0 % in loose set and 54. 1 % in lateral set of those in the case of no current. In the first half period of pursing, the tension of the purseline is enhenced by the bottom current and the pattern of increasing is irregular in the tension curves.

  • PDF

여수연해 정치망어장의 해황과 어황에 관한 연구 (Oceanographic Condition and Fishing Condition of the Set Net Fishing Ground in Yeosu Bay)

  • 김동수;이조출;박용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4권4호
    • /
    • pp.150-157
    • /
    • 1988
  • 여수연해 정치망 어장의 6월, 7월, 8월의 해황변화에 따른 어황관계를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천수의 유입이 많은 내해와 돌산연안의 정치망 어장에서는 고온.저염분수가 분포하고 외해에는 저온 고염분수가 분포한다. 2) 정치망 어장부근에는 6월의 와류형성과 8월의 수온약층 형성으로 어류가 군집을 하는데 영향을 미쳐 좋은 어획량을 보여 주고 있다. 3) 정치망 어장에서 어획수온범위는 11$^{\circ}C$~28$^{\circ}C$이며 좋은 어획량을 나타내는 범위는 21$^{\circ}C$~27$^{\circ}C$였다. 또한 염분의 범위는 31.60$\textperthousand$~34.80$\textperthousand$이고 어획이 가장 좋은 범위는 33.80$\textperthousand$~33.99$\textperthousand$였다. 4) 어획대상물의 어획순위는 삼치, 전갱이, 삼치, 정어리, 고등어, 갈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모형정치망에 대한 방어 및 말쥐치의 행동 (Behavior of Yellow Tail , Seriola quinqueradiata and File Fish , Navodon Modestus to the Model Set Net)

  • 권혁사;이병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3호
    • /
    • pp.230-236
    • /
    • 1990
  • 정치망에 대한 방어와 쥐치의 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 동해안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낙망의 1/30크기의 모형정치망을 망지로서 제작하고, 이것을 수면조도 1 lux정도의 실내에 설치된 가로.세로 700cm, 깊이 100cm, 수심 70cm의 수조에 고정했다. 공시어는 정치망에서 어획된 전장 37~45cm짜리 방어와 18~21cm짜리 쥐치이며, 이것을 3~20마리씩 방류하여 통그물에의 입망수, 탈출수 등을 1분 간격으로 조사하고 10분간 누계하여 검토한 결과는 대략 다음과 같다. 1. 방어는 통그물 입망율은 그다지 크지 않으나 원통 입망율은 상당히 크다. 유영궤적은 비교적 원활하며, 입망도 잘하나 탈출도 잘하므로 정치망을 설계할 때는 입망하기가 다소 어렵더라도 탈출하기가 쉽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것 같다. 2. 쥐치는 통그물 입망률은 방어보다 크나 원통입망률은 매우 낮다. 유영궤적은 원활하지 않고 꼬불꼬불 원형으로 맴돌면서 전진하므로 입구가 넓은 헛통에는 잘 입망하나 원통에는 잘 입망하지 않는 것 같다. 따라서 쥐치를 주대상으로 하는 정치망을 설계할 때는 특히 등망부분을 조금 넓게 하여 군이 맴도는데 지장이 없도록 해주는 것이 유리할 것 같다. 3. 방어나 쥐치의 어느 경우에도 원통탈출율은 거의 0이고 헛통탈출율도 거의 10% 이하여서 낙망이 상당히 효과적인 어구임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정치망과 죽방렴 어선의 탄소 배출량 현장 조사 (On-site measurement of carbon emissions of set net and bamboo weir fishing boats)

  • 한인우;김광복;오우석;박근창;이경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8권3호
    • /
    • pp.214-222
    • /
    • 2022
  • This study calculated the on-site measurement (Tier 4) of greenhouse gases emitted during the production stage of major fishing periods that utilize set nets and bamboo weir fishing boats. In addition, using theoretically calculated results (Tier 1), the emission factor present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was comparatively analyzed. On average, carbon emissions for each operating period in the bamboo weir and set net were calculated to be 0.16 and 3.58 kg CO2 time-1, respectively; and the measurement values (Tier 4) for each tool were about 4-17 times lower than their respective theoretical values (Tier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ased on engine performance. As port entry, port departure, and operating periods of the vessels show negligible variation with short distances, the operation of the vessel engine was considered as the main variable for carbon emissions in anchovy set net fishing.

흐름에 대한 모형 정치망의 형상 변화 (Net Shapes of the Model Set Net in the Flow)

  • 김부영;윤일부;권병국;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2호
    • /
    • pp.104-11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정치망 어장에서의 조류변화에 따른 어구 변형을 추정하고, 그 변형을 최소화시키며 어구의 기본 기능을 유지시키는 데 필요한 수중형상과 어구 용적을 확보할 수 있는 설계의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해 회류 수조에서 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흐름에 따른 사개줄의 장력과 그물형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속이 0.0m/s에서 0.6m/s로 변화할 때에 유속(x)에 따른 장력(y)의 실험식은 y=1814.1x+115.12 이었다. 2. 수중형상에 있어서 운동장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에 운동장그물의 기울기는 0~79$^{\circ}$까지, 비탈 그물의 기울기는 0~56$^{\circ}$까지 변화하였고, 원통 까레 깊이 비는 제1원통 까래가 1.0~0.42까지, 제2원통 까래가 1.0~0.41까지 감소하였으며, 조하측인 원통그물의 기울기는 0~87$^{\circ}$까지 변화하였다. 3. 원통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에 원통그물의 기울기는 0~60$^{\circ}$까지, 비탈그물의 기울기는 0~13$^{\circ}$까지 변화하였고, 원통 까래 깊이 비는 제1원통 까래가 1.0~0.27까지, 제2원통 까레가 1.0~0.15까지 감소하였으며, 유속이 0.3m/s일 때 비탈그물이 원통 입구까지 부상하고 0.5m/s일 때 원통 입구를 90% 이상 막았으며, 조하측인 운동장그물의 기울기는 0~58$^{\circ}$까지 변화하였다. 4. 각 부분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입구 및 운동장 부분에서는 힘줄의 저조시 수심 위치에 중량추를 부착하고, 운동장 바깥쪽에 이동식 부가 중량추를 부착하며, 원통에서는 제1원통의 섶장과 까래그물의 연결부에 중량추 및 이동식 부가 중량추를 부착하고, 비탈그물에 중량추를 부착하며, 제2원통에 이동식 부가 중량추를 부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주연안 각망의 조석에 의한 어획량 변동 (Catch fluctuation of the rectangular set net according to the tide age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 이창헌;최찬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4권2호
    • /
    • pp.112-119
    • /
    • 2008
  • The fundamental data on the catch fluctuation in the rectangular set net according to the tide ag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atches recorded from the year 1986 to 2004 in the coastal waters of Hamdeok, Jeju. Total catch by the rectangular set net had a deep connection with the tide age. In particular, during increasing tide, total catch were reduced gradually from the neap tide to the high tide. As it turned out, the slope of total catch declined by degree and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0.76.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decreasing tide, there was little sign of rise in total catch. In particular, large catch seemed to occur at the next tide to the neap tid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catch and the tide age, the level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hosen at $p{\leq}0.05$ decreased in the order rabbitfish(-0.84) and horse mackerel(-0.71), while the significance of other dominant species were not selected.

앵강만 정치망 어장의 멸치 어황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fishing condition variation of anchovy in the set net fishing ground of Anggang bay, korea)

  • 이규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1호
    • /
    • pp.59-71
    • /
    • 2012
  • In order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fishing condition variation of anchovy in the set net fisheries of Anggang Bay, the monthly catch of anchovy was analyzed and examined based on the data acquired from 2006 to 2010 in 13 different fishing grounds. Anchovy consistently appeared from April to December and reached the production of 840 to 1,424 t (average : 1,228 t), with a big annual variation. However, anchovy production in this area accounts for approximately 75% of the production by set net in Anggang Bay whereas it holds 6.8% of the nationwide production (=18,034 t) by set net. The school of anchovy starts to appear in April at the west mouth of the bay and move north-eastward. Afterward, having three of clockwise turns in the middle of the bay, they scatter to swim into the deep place of the bay and finally go out to turn back to their coming way. These behaviors of anchovy are likely related to thermal fronts as well as distributions of food. The production of anchovy (y, kg) relied greatly on frequencies of effective northeasterly ($x_1$) or northwesterly ($x_2$) wind (${\leq}$3.5m/s) which blow between April and June. Their relationships are as follows: $y=1086.27+21.499x_1-15.16x_2$ (r=0.901). Consequently, we concluded that the northeasterly wind, which appears in the breeding season of spring, played a role to retard the movement of anchovy school to the eastern sea, while the northwesterly wind inhibits the invasion of anchovy school into the 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