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Robot

검색결과 565건 처리시간 0.03초

객체 지향적 슬레이브 로봇들로 구성된 홈서비스 로봇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Home Service Robot System consisting of Object Oriented Slave Robots)

  • 고창건;고대건;권혜진;박정일;이석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37-339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new paradigm for cooperation of multi-robot system for home service. For localization of each robot. the master robot collects information of location of each robot based on communication of RFID tag on the floor and RFID reader attached on the bottom of the robot. The Master robot communicates with slave robots via wireless LAN to check the motion of robots and command to them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slave robots. The operator may send command to slave robots based on the HRI(Human-Robot Interaction) screened on masted robot using information from slave robots. The cooperation of multiple robots will enhance the performance comparing with single robot.

  • PDF

Multi Agent Robot System(MARS)의 Robot Agent 간 정보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프로그램 구현 (Design of network for data interaction between Robot Agents in Multi Agent Robot System (MARS))

  • 고광은;이정수;장인훈;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12-717
    • /
    • 2007
  • 홈 서버와 가정용서비스 로봇, 다양한 Device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정환경 내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하게 분산된 임무들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Multi-Agent 시스템을 응용하는 것은 효율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휴먼 인터페이스와 물리적 서비스 제공의 중추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지능형 서비스 로봇이다. 따라서, 기존의 Multi Agent System을 응용하여 Multi Agent Robot System을 정의할 수 있다. 가정이라는 'open'된 특성의 환경에서 Multi Agent Robot System이 사용자에게 좀 더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존재하는 모든 Agent 간의 유기적인 정보교환과 협력이 필요하다. 이것을 위하여 자율구동하며 사용자에게 물리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수의 로봇들을 Agent로 정의하고, 로봇 Agent간의 통신과, 로봇 이외의 Agent로써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홈 서버 등의 Agent와 로봇 Agent들의 통신을 사용자 interface에 직접 표현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설계, 제시한다.

모듈화 구조 기반의 청소 로봇 시스템 설계 (Design of Cleaning Robot System Using Reconfigurable Heterogeneous Modular Architecture)

  • 안호석;사인규;최진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9년도 정보 및 제어 심포지움 논문집
    • /
    • pp.153-155
    • /
    • 2009
  • Cleaning robot system consists of four parts; navigation system for moving of robot, cleaning system, power system, and main system with cleaning algorithm. Navigation system is the most expensive part because it has motors and sensors which is high price. Navigation system is also essential to service robot system, but user should buy two systems which are service robot system and cleaning robot system. If it is possible to share navigation system, user can save money. In this paper, we design the cleaning robot system based on modular architecture.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a Monitoring System based on Smart Device for Service Robot Applications

  • Lee, Jun;Seo, Yo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3호
    • /
    • pp.35-41
    • /
    • 2018
  • Smart device has become an affordable main computing resource for robotic ap-plications in accordance with a fast growth of mobile internet environment. Since the computing power of smart device has been increased, smart device based ro-bot system attempts to replace traditional robot applications with laptop-based system. Methodologies for acquisition of remote sensory information and control of various types of robots using smart device have been proposed rec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ot control system using a monitoring program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The proposed system is a combin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ming oriented robot named EPOR-S. as small service robot plat-form and a smart device. Through a simulation study using image processing, the feasibility of combination of the proposed robot monitoring program and control system was verified.

모듈기반 퍼스널 로봇의 결함 허용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 유지 관리 기법 (Method of network connection management in module based personal robot for fault-tolerant)

  • 최동희;박홍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00-302
    • /
    • 2006
  • Middleware offers function that user application program can transmit data independently of network device. Connection management about network connection of module is important for normal service of module base personal robot. Unpredictable network disconnection is influenced to whole robot performance in module base personal robot. For this, Middleware must be offer two important function. The first is function of error detection and reporting about abnormal network disconnection. Therefore, middleware need method for network error detection and module management to consider special quality that each network device has. The second is the function recovering that makes the regular service possible. When the module closed from connection reconnects, as this service reports connec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module, the personal robot resumes the existing service. In this paper proposed method of network connection management for to support fault tolerant about network error of network module based personal robot.

  • PDF

로봇 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사회적 니즈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Needs of Customer for Robot Design)

  • 김현진;박용국;김재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53-262
    • /
    • 2003
  • 본 논문은 가정용 서비스 로봇의 사회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로봇을 위한 사회적 디자인의 이슈들을 논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로봇의 성격"을 분류하고 정의하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이렇게 정의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을 구성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사 용자가 요구하는 로봇의 사회적 성격을 디자인에 반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가정용 서비스 로봇의 기능 니즈, 사회적 속성, 외형 디자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결과를 통하여, 한국의 소비자들은 "집안의 가사노동을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십대 후반의 여성" 이미지를 가정용 로봇에게서 기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봇에게서 기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어린이를 위한 소셜 로봇의 심리운동 기반 놀이 활동 개발 (Psychomotorik-based Play Activities for Children by In-home Social Robot)

  • 김다영;최지환;김주현;김민규;정재희;서갑호;이원형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47-454
    • /
    • 2022
  • This paper presents the psychomotorik-based play activities executed by the social robot at home which helps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psychomotorik therapy, the play activities were implemented in the close collaboration between psychmotorik experts, service designers and robotics engineers. The designed play activitie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depending on the main areas of child development. The robotic system that can expres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was developed in order to play games with children and but also to make children have continuous interest during the play activities with it. Finally, the psychomotorik-based play service scenario and interactive robot system were validated by the expert group from the domain of child psychotherapy.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lay service and the robot system were appropriately developed for children from the experts point of view.

로봇 중심 FMC에서 최적 로봇 서비스 이동정책을 위한 연구 (Optimizing Robot's Service Movement in a Robot-Centered FMC)

  • 박양병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55-63
    • /
    • 1992
  • This paper presents a simulation based analysis of a service robot operating in a robot-centered FMC, in which the robot is located at the approximate center of the cell and the machines are arranged in a partial circle around it. The robot's function is to locate and service the parts which require a series of unloading, moving, and loading operations. The main purpose of the analysis is to determine the best movement decision for the robot's arm in each instance. The results from the study, based on both statistical and nonstatistical analysis suggest the best policy for the robot's arm's movement that holds promise for application to the robot-centeredFMC.

  • PDF

높이 조절 및 하체 분리형 실내용 서비스 이동 로봇의 제작 및 제어 (Implementation and Control of an Extendable and Separable Mobile Robot Manipulator For Indoor Service)

  • 안재국;정슬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8권1호
    • /
    • pp.39-46
    • /
    • 2011
  • 본 논문은 실내에서 사용할 이동로봇의 구현과 제어에 대한 것이다. 로봇은 두 팔을 가지고 이동할 수 있는 베이스로 구성된다. 로봇은 디자인에 있어 및 가지 특정을 가진다. 첫 번째, 로봇의 허리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두 번째로 로봇은 접촉인 이동로봇 모드에서 2 점 접촉인 밸런싱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로봇은 상제와 하체의 분리 기능을 갖는다. 이동 베이스 부분은 청소작업에 사용이 가능하다.

서비스 로봇 개발의 하드웨어 비용추정을 위한 항목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the Hardware Cost Estimation for Service Robot Development)

  • 이정수;손동섭;최연서;박명준;민정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5-44
    • /
    • 2018
  • 본 연구는 서비스 로봇 개발을 추진하기 이전 기획단계에서 개발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을 도출하고, 각 항목별 영향력의 크기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특히 서비스 로봇은 적용 환경과 수행해야 할 임무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 부품이 달라지고 이에 따른 가격이 천차만별일 뿐만 아니라 소량생산이 대부분으로 비용 추정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로봇 개발 및 기능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특정 임무를 위해 추가되는 각종 센서, 매니퓰레이터, 통신모듈 등 개별적으로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기능 항목으로, 운용되는 환경이나 개발과정에서 충족해야 하는 방진, 방수, 내구성 테스트 등 개발 비용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조정 항목으로 구분하고, 각 항목별 세부 기준을 도출하기 위한 FGI를 수행하였다. 또한 각 항목별 비용 가중치 결정을 위하여 국내 전문가 84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기능 항목 6개(세부 기준 41개), 조정 항목 5개(세부 기준 17개)가 도출되었으며, 각 항목별로 비용 가중치와 순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서비스 로봇 개발 기획단계에서 개발비용을 추정하고,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의사결정 요소로 활용 할 수 있다면, 기업이 서비스 로봇 개발의 전략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한 시장 진입과 확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