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Oriented

검색결과 1,765건 처리시간 0.023초

서비스지향구조 기반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성 시험 평가 방법 (Maintainability Testing Evaluation Method for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based Software)

  • 김진식;전인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81-90
    • /
    • 2009
  • 서비스지향구조 소프트웨어 품질평가는 품질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기술로서 국제 표준을 수용하는 전략기술 개발을 통해 객관성과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많은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연계된 솔루션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서비스지향구조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정부차원의 시범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관련 업계의 기술 개발에 따라 서비스지향구조 기반 소프트웨어의 상용화가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지향구조 기반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성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 메트릭을 제안하였고 품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적절한 기준에 따라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고 평가 사례를 제시하여 평가 방법을 명확히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서비스지향구조 기반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성 품질향상을 유도하고 서비스지향구조 기반 소프트웨어에 대한 양적/질적인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고 본다.

기내 서비스 환경에 대한 승무원의 인식이 동기부여 및 서비스 지향성을 매개로 하여 서비스 제공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bin Crew's Perception of Cabin Servicescape to Their Service Performance through Motivation and Direction)

  • 최덕진;김문선;김기웅;박성식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3-61
    • /
    • 2013
  • In-flight service, depending on the perceptions of service satisfaction because ever turns into a variable, which enables service providers the flexibility of a variable in the end flight service to suit your needs to providing comprehensive and proactive services of the crew will be motivated.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s motivation to work in a confined space on board the flight service characteristics in-flight service will be a major impact on the environment. This service-oriented environment, in-flight service and motivation in order to verify the impact on services in Cape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service-oriented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motivation of the crew and the crew of the service-oriented, with a voluntary service crew services dependent variable parameters that affect the behavior of the acts. Services and service-oriented motivation Cap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 both the irradiated while the impact on voluntary service and results verification service aesthetics, cleanliness, and physical service environment, only the voluntary services of the crew a positive effect on that the effects were investigated.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서비스 중심 자율-구성 네트워크 기법 (Service Oriented Self-Construction Network Scheme in IoT Environments)

  • 윤주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922-928
    • /
    • 2018
  • 최근 서비스 지향 사물인터넷 네트워킹 기술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는 사물인터넷 환경이 특정 통일 지역 내에 자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 디바이스들이 공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네트워크 환경은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 효율적인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이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환경에서 효율적 서비스 제공 위해 스스로 서비스를 인지하고 서비스 별 네트워크 구성 기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서비스 디바이스로 구성된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서비스 중심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 서비스 중심 자율-구성 네트워크 (Service Oriented Self-Construction Network (SO-SCN)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서비스 제공 시 필요한 네트워크 오버헤드의 최소화와 함께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 할 수 있는 방법이다. 특히, 실험을 통해서 제안한 기법이 단대단 데이터 발생률과 단대단 지연 측면에서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이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프로덕트 라인 기반 서비스 명세 생성 방법 (An Approach to Developing Service Descriptions Based on Product Line)

  • 박준석;문미경;염근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5호
    • /
    • pp.747-754
    • /
    • 2009
  •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은 일련의 관련된 시스템들, 즉 도메인 내에서 재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공통된 부분들을 식별하고, 시스템마다 상이하게 나타나는 가변적 요소들의 분석을 통해 핵심 자산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프로덕트 라인 개념은 객체 및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에 적용되어 소프트웨어 개발의 생산성을 증대시켰다. 최근 들어 소프트웨어 개발의 패러다임은 서비스라는 핵심 자산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서비스 지향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패러다임하에서 비즈니스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체계적이고 유연한 서비스 지향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수 있도록 핵심 자산인 서비스 생성 방법은 프로덕트 라인 기법을 적용시킬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지향 패러다임과 프로덕트 라인의 결합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자산인 도메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기술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도메인 서비스는 도메인 서비스 공통적/선택적 속성 가변성, 오퍼레이션 타입의 가변성, 메시지 타입의 가변성을 통해 공통성과 가변성이 명확히 기술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통해 유사한 기능을 가진 도메인 서비스를 목적에 맞게 커스터마이즈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생성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지향 개발을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효율적인 서비스 시스템 개발을 위한 룰 기반의 관점 지향 기법 (Rule-based Aspect Oriented Approach for Efficient Service System Development)

  • 이우진;최일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35-743
    • /
    • 2015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 Oriented Architecture)는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유연성을 보장하여, 비즈니스 변화에 최대한 민첩하게 대응하도록 지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즈니스와 제약조건을 하나의 서비스로 코딩하는 일반적 접근법은 비즈니스 룰의 변경을 위하여 전체 결합로직을 변경하는 등 많은 자원을 소모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서비스 시스템 개발에 관점 지향 기법(Aspect Oriented Approach)을 확장하여 적용한다. 관점 지향 기법의 기존 핵심관심(Core Concern), 횡단관심(Cross Cutting Concern)이외에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서비스에 포함된 비즈니스 룰을 룰관심(Rule Concern)이라는 새로운 관심사로 분리한다. 룰관심은 수준에 따라 프로세스 룰관심(PRA: Process Rule Aspect)과 서비스 룰관심(SRA: Service Rule Aspect)으로 구분된다. 시스템은 이러한 관심사의 분리를 통하여 핵심관심, 횡단관심 및 룰관심으로 각각 모듈화 되고 독립적으로 유지보수 되어 서비스 시스템의 적용성, 재사용성 및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인터넷 패션 구매경험자와 무경험자 특성 비교 -패션 쇼핑성향과 쇼핑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태도의 차이- (How do Internet Fashion Shoppers and Non-shoppers Differ? -Emphasis on Their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and Shopping Site Attitude-)

  • 전양진;성희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387-1396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internet fashion shoppers and non-shoppers in their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and attitude toward internet shopping site service. Also behavior of internet shoppers and non-shoppers was compared by gender. Twelve hundred and ninety two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an online survey. 20 items were used to measure shopping orientation and 13 items to measure attitude toward internet shopping site service, which were modified from previous studies. Some demographics and internet familiarity were asked. Factor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and regression were conducted. Factor analysis produced five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such as fashion oriented, shopping oriented, brand oriented, personality oriented, and value oriented. Attitude toward internet shopping site servi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at-site service, after purchasing service, and product information. Internet fashion shoppers and non-shopp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st items of shopping orientation and attitude toward internet site service. Internet shoppers were likely to be fashion oriented, to enjoy shopping, to pursue brandname and personality, and to concern price more than non-shoppers were. Internet shoppers also ha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product information and at-site service. Also, shoppers were more familiar than non-shoppers to the internet in terms of duration of web-browsing. Ratio of men and women differed significantly for shopper vs. non-shopper groups. Female shoppers were likely to be more fashion, shopping. and value oriented but to have less favorable attitude for after purchasing service than male shoppers.

서비스지향 아키텍처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평가 모델 (Reliability Evaluation Model for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oftware)

  • 최인용;양해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49-159
    • /
    • 2009
  • 현재 서비스지향 아키텍처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국내외 서비스지향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시장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서비스지향 아키텍처 소프트웨어에 대한 고신뢰성과 고품질 소프트웨어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지향 아키텍처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품질을 시험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적절한 기준에 따라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고 평가사례를 제시하여 평가 방법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서비스지향 아키텍처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품질 향상을 유도하고 국제 표준을 수용하는 전략기술 개발을 통해 객관성과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르미-RE와 ITIL에 기반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지향 유지보수 프로세스 연구 (A Study on Component Software Service Oriented Maintenance Process Based on MaRMI-RE and ITIL)

  • 최원서;류성열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9-111
    • /
    • 2009
  • Rapid growth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MIS) and evolution of software system enlarge maintenance necessity and it needs a process to implement information system service in business. This paper proposes service-oriented maintenance process of component software based on servic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vided by existing processes for maintenance, MaRMI-RE and ITIL. The proposed process derives activities and tasks of the process by identifying services according to service guidelines. Service-oriented maintenance process is produced by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the derived activities and tasks and MaRMI-RE's and adding the tasks to MaRMI-RE. To verify availability of the proposed service-oriented maintenance process, correlation between artifacts is proved.

Networked Robots using ATLAS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in the Smart Spaces

  • Helal, Sumi;Bose, Raja;Lim, Shin-Young;Kim, 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8권4호
    • /
    • pp.288-298
    • /
    • 2008
  • We introduce new type of networked robot, Ubiquitous Robotic Companion (URC), embedded with ATLAS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for enhancing the space sensing capability. URC is a network-based robotic system developed by ETRI. For years of experience in deploying service with ATLAS sensor platform for elder and people with special needs in smart houses, we need networked robots to assist elder people in their successful daily living. Recently, pervasive computing technologies reveals possibilities of networked robots in smart spaces, consist of sensors, actuators and smart devices can collaborate with the other networked robot as a mobile sensing platform, a complex and sophisticated actuator and a human interface. This paper provides our experience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system architecture to integrate URC robots in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s using the University of Florida's ATLAS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integrated framework architecture of URC embedded with ATLAS platform. We show how the integrated URC system is enabled to provide better services which enhance the space sensing of URC in the smart space by applying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characterized as flexibility in adding or deleting service components of Ubiquitous Robotic Companion.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Empowerment of Social Service Workers on Service Orient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esteem Attitude)

  • 나윤정;황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544-560
    • /
    • 2022
  •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충청북도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투자사업 제공인력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32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에서 업무수행 관계와 개인적 업무지향이 직업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업무환경 통제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 하위요인 모두(신뢰지향, 성실지향, 유형지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업무지향 임파워먼트는 서비스지향성 하위요인 중 성실지향과 유형지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는 직업존중감을 매개로 서비스지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개변수인 직업존중감은 서비스지향성의 하위변인인 성실지향과 유형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서비스지향성 제고를 위해 명확한 업무이해를 위한 매뉴얼 개발과 종사자 스스로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보수교육이 필요하며, 서비스 전달자로서 다양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지향적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도적, 정책적 보완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