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gwipo Laye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제주도 남사면지역의 지하지질구조와 지하수산출특성

  • 김창옥;윤정수;정차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55-25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stream and spring water and subsurface geologic structure in Seogwipo area. This study area is surrounded by various smaller parasitic volcanic cinder cones, tuff cones, strangely shaped basalt and trachyte rocks, beautiful waterfalls. The geologic structure in study area is classified into the Upper layer(volcanic rocks), Middle layer(SGF), Lower layer(UF), and Basement layer. The groundwater in Seogwipo area is classified into the Upper layer groundwater, Middle layer groundwater, Lower layer groundwater and Basement layer groundwater on the basis of the hydrostratigraphy structure.

  • PDF

현장시험을 이용한 제주지역의 지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Jeju Area Using Field Tests)

  • 윤병조;박성윤;이승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769-777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 지반의 특성을 분석하여 연구함으로써 향후 개발사업 진행시 공법설계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연구방법: 제주 지역에서 진행된 공사의 지반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심도, 상대밀도, N치, 함수상태, 색조, 지하수위, 압축강도를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로 부터 제주지역이 고대부터 진행된 화산활동과 인근의 해수에 의한 급속한 냉각으로 이루어진 주상절리와 해안부에서 두텁게 발견된 모래층, 그리고 수성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클링커층 및 서귀포층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제주지역의 특수한 지반 형태를 이해하고 공사 설계시 그 특성을 잘 반영하여 기초 설계 및 기초 공법 선정의 자료로 쓰여지길 기대한다.

인공진주 양식에 관한 시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Culture)

  • 조창환;권우섭;김무상;김남길;임동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5-102
    • /
    • 1988
  • 우리나라 진주양식에서 개발되어야 할 모패의 수급과 월동기술 등에 목적을 두고 1986년 12월부터 1988년 11월까지 시험조사를 하였다. 일본산 진주조개 (2연패)를 시료로 하여, 양성과 시술은 어구 앞바다에서, 월동은 고리와 서귀포 앞바다에서, 유생조사와 채묘시험은 한산만에서 실시하였다. 1. 어구양성장의 최고수온은 8월중 $23.6^{\circ}C$이었고 월동기간중 최하수온은 고리는 $13.2^{\circ}C$, 서귀포는 $14.0^{\circ}C$이었다. 먹이생물은 비교적 많은 편이지만 고리에는 부착생물 이외에도 뻘 등이 많아 전부착물의 $19.5\%$나 되었다 (어구와 서귀포는 각각 $13.2\%$$4.5\%$이었다). 2. 어구에서 성패의 성장은 양호한 편이었고 연령이 적은 조개일수록 성장이 빨랐다. 월동기간중 고리에서는 서귀포에 비해 성장은 약간 좋았으나 사망률은 약 2배나 되어 $20.5\%$이었다. 3. 진주의 생산율은 당년산이 $58.2\%$이었고 월동산은 $48.3\%$로 성적이 좋았다. 진주층의 두께는 당년산이 0.35 mm, 월동산은 0.47 mm이었으며, 핑크색이 가장 많아 $53.7\%$이었지만 가치가 적은 노란색도 $22.8\%$나 되었다. 품질 특급은 약 $10\%$이었다. 4. D형유생의 출현성기가 3차례 있었다. $10\%$정도가 성숙부유유생이 되었고 D형유생이 채묘기에 부착하는데는 약 1개월이 소요되었다. 부착은 1$\~$3 m층에 많았고 2 m층에 가장 많아, 삼나무가지 30 cm당 30$\~$40미이었다. 채묘장인 한산만에는 양성중인 모패가 많았고 수온이 높고 강수양이 적었던게 성공적인 채묘의 원인인 것 같았다.

  • PDF

서귀포 연안해역의 기초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환경 (Oceanic Environments and Primary Production in the Coastal Waters of Seogwipo)

  • 정상철;노홍길;박길순;전득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5-315
    • /
    • 1983
  • 서귀포 연안역의 해황과 식물성 플랑크톤 출현 상황을 구명할 목적으로 1979년 및 1982년의 하계부터 추계에 걸쳐 실시된 해양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서귀포 연안쪽에는 육수의 유입에 의하여 고유의 연안수가 형성되지만 이것은 주로 하계에 발달하고 11월 이후는 거의 소멸하거나 그 세력이 약화된다. 그러나 이 연안수는 극히 표층만을 덮고 있을뿐, 중${\cdot}$저층에는 외해수가 연안가까이까지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좁은 해역에서도 연안수와 외해수가 동시에 출현하고 있다. 2. 조사기간중 표층 영양염 농도의 평균값은 규산염 $3.72{\sim}16.34{\mu}g-at/l$, 질산염 $1.92{\sim}5.53{\mu}g-at/l$, 인산염 $0.34{\sim}0.90{\mu}g-at/l$로 해역별 차는 있지만 대체로 연안쪽이 외해쪽보다 낮은 경우가 많다. 3. 서귀포 연안역의 영양염중 그 농도가 가장 낮은 인산염은 진해만과는 거의 비슷한 값이나 서귀포 남방 10mile 부근의 외해수 보다는 높다. 4. 조사기간중 영양염의 시기별 변화는 대체로 10월에 가장 낮은 값이 나타났고 11월에 증가했다가 12월에 다시 약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5. 식물성 플랑크톤군집으로는 규조류가 48종 1변종 2품종, 쌍편모조류가 29종 3변종 1품종, Chroococcus, Trichoceratium이 각 1종 출현하였다. 6. 월별 우점종은 8월에는 Rhizosolenia sp.와 Ceratium sp., 9월에는 Chaetoceros sp.와 Ceratium sp. 및 Peridinium sp., 10월에는 Astrionella sp.와 Peridinium sp. 11월에는 Astrionella sp.와 Navicula sp. 및 Chaetoceros sp. 등의 연안내만성종이다. 이들중 8월의 Rihzosolenia alata f. gracillima와 11월의 Astrionella gracillima는 특히 우세하였다.

  • PDF

제주도 연안해수의 영양염류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Nutrients in the Coastal Sea of Jeju Island)

  • 박길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5-262
    • /
    • 1982
  • 1. 일반적으로 제주도 연안역에서의 영양염류 농도는 성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표층보다 50 m이심에서의 농도가 $0.5\sim3$배 정도 높다. 2. 제주도 남동쪽 해역의 수온, 염분과 규산염, 질산염, 인산염, 용존산소의 농도 분포가 단조롭고 비교적 각 성분의 량도 적다. 3. 제주도 북쪽 해역은 한국남안연 안수의 영향을 받아 각 성분의 농도 분포가 복잡하고 그 변동 범위도 크다. 또 영양염류도 이 해역이 남동쪽 해역보다 풍부하다. 4. 제주도 남서쪽 해역은 황해저층냉수의 영향을 받아 영양염이 풍부하나 황해난류와 만나는 호경역이므로 그 분포상은 매우 복잡하다.

  • PDF

제주도(濟州道)의 감귤(柑橘)및 감귤원토양(柑橘園土壤)에 관(關)한 잔류농약조사(殘留農藥調査) - 제2보(第二報), 감귤원(柑橘園) 토양중(土壤中)의 농약잔류(農藥殘留)에 관(關)하여 - (A Survey of Pesticide Residues of Citrus Fruits and Citrus Orchard Soil in Jeju Island - Part 2. On the Pesticide Residue of Citrus Orchard Soil -)

  • 이규승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3호
    • /
    • pp.184-188
    • /
    • 1980
  • 감귤원토양중 잔류하는 농약성분과 구리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1979년 10월말부터 1980년 6월초까지 남제주군 서귀읍 일원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토양시료는 감귤원의 개원년수에 따라 각각 5년, 10년, 15년, 20년 및 30년된 과원을 임의로 선정하여 각 10점씩 채취하였으며, 각 시료는 다시 토심에 따라 $0{\sim}10cm,\;10{\sim}20cm$, 그리고 $20{\sim}40cm$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모든 시료에서 유기염소제 살비제인 Kelthane과 Akar 및 구리를 검출할 수 있었으며, Kelthane의 잔류량이 Akar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2. Kelthane, Akar 및 구리의 잔류량은 감귤원의 재배년한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토심이 깊어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3. Kelthane의 잔류수준은 $trace\;{\sim}l.359ppm$이었으며 조사된 토양전충에 대한 총 잔류량을 5년차 감률원은 0.274ppm, 10년차는 0.441ppm, 15년차는 0.758ppm, 20년차는 0.975ppm, 그리고 30년 이상은 1.310ppm이었으며, 토심별 평균 잔류량은 표층토가 0.327ppm, 중층토가 0.236ppm 그리고, 심층토가 0.189ppm이었고, 총 평균잔류량은 0.25ppm이었다. 4. Akar의 잔류수준은 $trace\;{\sim}0.925ppm$이 었고, 전충토양에 대한 총 잔류량은 5년차가 0.082ppm, 10년차가 0.135ppm, 15년차는 0.178ppm 20년차는 0.591ppm, 그리고 30년 이상은 0.818ppm이었으며, 토심별 평균 잔류량은 표층토가 0.163ppm, 중층토가 0.113ppm 그리고 심층토가 0.085ppm을 나타냈으며 총 평균잔류량은 0.120ppm이었다. 5. 토양중 구리함량은 $trace\;{\sim}40.734ppm$ 범위이었으며 전충토양중의 총 잔류량은 5년차는 2.980ppm, 10년차는 3.300ppm, 15년차는 4.808ppm, 20년차는 8.434ppm, 그리고 30년 이상은 13.001ppm의 수준이었고 토심별로는 표층토 3.187ppm, 중층토 1.732ppm, 그리고 심층토는 1.585ppm을 나타냈으며 총 평균 잔류량은 2.168ppm이었다.

  • PDF

Comparison of the Spinal Neuropathic Pain Induced by Intraspinal Injection of N-Methyl-D-Aspartate and Quisquate in Rats

  • Choi, Seong-Soo;Hahm, Kyung-Don;Min, Hong-Gi;Leem, Jeong-Gi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5호
    • /
    • pp.420-425
    • /
    • 2011
  • Objective : Excitatory amino acid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pathology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CI).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dorsal horn of the spinal cord and assess profiles of pain behaviors following intraspinal injection of N-methyl-D-aspartate (NMDA) or quisqualate (QUIS) in rats. Methods : Fort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ized into three groups : a sham, and two experimental groups receiving injections of 125 mM NMDA or QUIS into their spinal dorsal horn. Following injection, hypersensitivity to cold and mechanical stimuli, and excessive grooming behaviors were assessed serially for four weeks. At the end of survival periods,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pinal cord were evaluated. Results : Cold allodynia was developed in both the NMDA and QUIS group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QUIS group than in the NMDA group. The mechanical threshold for the ipsilateral hind paw in both QUIS and NMDA group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groome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MDA group than in the QUIS group. The size of the neck region of the spinal dorsal horn, but not the superficial layer,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NMDA and QUIS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Intraspinal injection of NMDA or QUIS can be used as an excitotoxic model of SCI for further research on spinal neuropathic pain.

천연기념물 제432호 제주 상효동 한란 자생지의 환경 및 식생 (Vegetation and Environment of the Natural Monument (No. 432) Jeju Sanghyo-dong Cymbidium kanran Habitat)

  • 신재권;구본열;김한결;손성원;조현제;배관호;양형호;박정근;이종석;조용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21-338
    • /
    • 2014
  • 천연기념물 제 432호 제주 상효동의 한란 자생지(39 ha)를 대상으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생물(식물상, 식생다양성 및 임분 구조) 및 비생물 환경(미기상, 수관열림도, 임내 광량 및 토양 온 습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란 자생지의 일평균온도($5.7^{\circ}C$)는 서귀포시 보다 $3.3^{\circ}C$ 낮았고, 일평균습도(75.8%)는 서귀포시 보다 15% 높았다. 토양 온도는 평균 $16.5^{\circ}C$, 토양습도는 평균 37.3%, 그리고 낙엽층 두께는 평균 4.3 cm이었다. 수관열림도 및 임내 광량의 평균은 각각 15.5%, 및 $8.5mol{\cdot}m^{-2}{\cdot}day^{-1}$ 이었다. 한란 자생지 보호구역 내 관속식물은 총 221 분류군이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로는 한란, 죽백란 및 꼬리족제비고사리 등이 확인되었다. 식생다양성 평가 결과, 구실잣밤나무군락 등 총 6개의 식생단위가 분석되었다. 조사구역의 임분구조는 구실잣밤나무가 가장 높은 밀도(1,777 개체/ha) 및 흉고단면적 ($90.3m^2/ha$)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