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processing disorder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학령전기 발달장애 아동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감각처리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Sensory Processing on Sleep Disturbance for Life care of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희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03-211
    • /
    • 2019
  • 이 연구는 4-7세의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감각처리와 수면장애의 관계를 알아보고 감각처리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7년 6월부터 8월까지 발달 클리닉 및 재활병원에 내원하는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 1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 10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감각처리와 수면장애를 평가하기 위해 단축형 감각 프로파일(SSP)과 한국형 아동 수면장애 척도(K-CSHQ)로 자료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기술분석과 피어슨 상과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 아동은 감각처리와 수면장애에 문제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감각처리는 수면장애와 관련이 있었으며 수면장애에 대한 감각처리의 최종 영향 요인은 맛/냄새 민감성, 청각필터링과 전반적인 감각처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 아동의 질 높은 수면을 돕기 위해서는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을 중재에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맛/냄새 민감성, 청각 필터링 영역을 중재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대소변 가림 여부에 따른 사회지수 및 감각처리기능 비교 (Comparison of Social Quotient and Sensory Processing According to the Toileting 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이철상;김태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3-142
    • /
    • 202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al quotient and sensory processing function between completed-toileting and incomplete-toilet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We aims to provide a basis for the training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children with ASD, aged from 4 to 7, receiving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t the H-Child Development Research Center in Busan, South Korea. After recruiting 30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ASD, we interviewed them and we divided their children into completed-toileting group and incomplete-toileting group based on the past researches. We assessed them using the Social Maturity Scale and Sensory Profile. Spearman correlation was used to analyze between the sensory processing score and social quotient.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Sensory Profile scores of the two groups. Results : The social quotient was correlated with the sensory processing score in the most of component as for auditory processing, vestibular processing, touch processing, multisensory processing, orosensory processing, except for visual processing. The groups of completed-toileting and incomplete-toileting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in sensory seeking, emotional reactive, oral-sensory sensitivity, and inattention/distractibility in the sensory factor reg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intergroup was observed in any modulation areas, nor in behavioral & emotional response domains. Conclusion : A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most of sensory processing areas, except for modulation areas and behavioral & emotional response domains. The result revealed that toileting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nsory process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nsory processing func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oilet training of children with ASD.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판별타당도 연구 (The Study of Discriminant Validity for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ensory Processing Disorder)

  • 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6-45
    • /
    • 202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를 사용하여 일반발달 아동과 감각처리문제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을 비교하여 판별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3-5세의 일반발달 아동 68명과 감각처리문제 아동 83명의 보호자로 총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아동의 보호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연구목적, 동의서,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단축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일반적 특성 문항을 포함한 설문지를 발송 또는 전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의 판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성별을 공변량으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일반발달 아동과 감각처리문제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는 공변량인 성별의 영향(F=6.663, p=.807, partial =η2.000)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군에서 감각처리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7.629, p=.000).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의 감각영역에서 총점과 모든 감각 영역에서 감각처리문제 아동이 일반발달 아동보다 평균점수가 낮았으며, 고유감각(p=.097) 영역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의 감각 요소에서 감각과민반응, 감각저반응, 그리고 감각구별 요소에서 감각처리문제 아동과 일반발달 아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00)가 있었으나 감각찾기 요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12). 결론 :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는 감각처리문제 아동을 선별할 수 있는 판별타당도가 있는 도구로 제시할 수 있으며, 앞으로 임상 환경에서 감각처리의 문제를 선별하거나 분석, 해석, 그리고 중재계획 시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감각처리 장애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증거들 (Neurophysiological Evidence for Sensory Processing Disorder)

  • 김은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1호
    • /
    • pp.5-16
    • /
    • 2012
  • 감각통합은 이론에서 출발하여 현재 치료사들이 아동의 문제를 찾고 중재하는데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이전까지 대부분의 감각통합 연구들은 감각처리 장애아동들이 나타내는 행동을 측정하는 경험적 증거들을 보고하였다. 최근에 감각처리 장애 진단에 대한 객관적 증거 마련을 위해서 신경생리학적 연구 결과가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감각처리 장애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근거를 찾는 연구들은 전기피부 활동, 미주신경 톤, 뇌파를 사용하여 감각처리 장애아동과 전형적으로 발달하는 또래 아동들 간 신경생리학적 반응이 다르다는 결과를 보고하였을 뿐만 아니라 감각처리 어려움과 관련한 행동 특징이 신경생리학적 지표에서도 반영됨을 발견하였다. 앞으로 연구에서는 감각통합 치료 효과를 지지하는 신경생리학적 증거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Visual Perception Skill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ypical Children)

  • 주진옥;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3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지역적 환경이 동일한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소아정신과에서 ADHD로 진단받은 아동 25명과 초등학교 1, 2학년의 일반 아동 51명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을 평가하였다.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 SP)을 사용하였고 시지각 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 K-DTVP-2)를 사용하였다. 두 군 간의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의 차이는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감각프로파일(SP)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감각요인을 비교한 결과 감각예민을 제외한 8가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DTVP-2의 모든 시지각 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DTVP-2의 하위 항목 표준점수를 비교한 결과 공간위치(p=.031), 도형-배경(p=.001), 시각 통합(p=.005), 눈-손 협응(p=.000), 따라 그리기(p=.044), 공간관계(p=.0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임상에서 ADHD 아동의 행동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감각처리능력과 시지각 기술이 중요하다는 근거가 되며 ADHD 아동의 평가, 교육 및 연구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Characteristics of Visuo-Spatial Information Processing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Kwon, Mee-Kyoung;Chung, Hee-Jung;Song, Hyunjoo
    • 감성과학
    • /
    • 제21권2호
    • /
    • pp.125-136
    • /
    • 2018
  • Although atypical sensory processing is a core feature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re is considerable heterogeneity among ASD individuals in the modality and symptoms of atypical sensory processing. The present study examined visual processing of children with ASD, focusing on the complexity and orientation of visual information. Age- and -IQ-matched Korean children (14 ASD and 14 typically-developing (TD) children) received an orientation discrimination task involving static spatial gratings varied in complexity (simple versus complex) and orientation (horizontal versus vertical). The results revealed that ASD children had difficulty perceiving complex information regardless of orientation, whereas TD children had more difficulty with vertical gratings than horizontal gratings. Thus, group-level differences between ASD and TD children appeared greater when gratings were presented horizontally. Unlike ASD adult literature, however, ASD children did not show superior performance on simple gratings. Our findings on typical and atypical processing of ASD children have implications for bot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SD children and developing diagnostic tools for ASD.

Visual Percept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 A Review of Neuroimaging Studies

  • Chung, Seungwon;Son, J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1권3호
    • /
    • pp.105-120
    • /
    • 2020
  • Althoug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social impairments, patients with ASD frequently manifest atypical sensory behaviors. Recently, atypical sensory perception in ASD has received much attention, yet little is known about its cause or neurobiology. Herein, we review the findings from neuroimaging studies related to visual perception in ASD.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neural underpinnings of visual detection, motion perception, and face processing in ASD. Results from neuroimaging studies indicate that atypical visual perception in ASD may be influenced by attention or higher order cognitive mechanisms, and atypical face perception may be affected by disrupted social brain network. However, there is considerable evidence for atypical early visual processing in ASD. It is likely that visual perceptual abnormalities are independent of deficits of social functions or cognition. Importantly, atypical visual perception in ASD may enhanc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complex and subtle social stimuli, or improve outstanding abilities in certain fields in individuals with Savant syndrome. Thus, future research is required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and neurobiology of autistic visual perception to effectively apply these findings in the interventions of ASD.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Play in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김진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 사회성, 작업수행도 및 작업만족도, 감각처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4~7세의 감각조절장애 아동 5명으로, 실험기간은 2008년 6월에서 11월까지이었다. 감각통합치료는 주 2회(매50분), 총 48회기를 실시하였다. 놀이, 사회성, 작업수행도 및 만족도, 감각처리를 측정하기 위해 Revised Knox Preschool Play Scale(RKPPS), 사회성숙도 검사,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Japanese Sensory Inventory Revised(JSI-2)를 사용하였다.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RKPPS, 사회성숙도, COPM, JSI-2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감각통합치료 전과 후의 RKPPS(Z=-2.023, p=.043), 사회성숙도(Z=-2.023, p=.043), 작업수행도(Z=-2.023, p=.043) 및 만족도(Z=-2.032, p=.042), 그리고 JSI-2 중 촉각계(Z=-2.032, p=.042)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촉각계 처리와 같은 작업수행요소뿐 아니라 놀이, 사회성과 같은 작업수행영역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감각통합 평가 및 중재 시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에 대해 고려해보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고, 다양한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 변인을 제한하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 대한 단축형 감각 프로파일-2(Short Sensory Profile-2)의 구성타당도 연구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hort Sensory Profile-2 (SSP-2)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박아름;유두한;홍덕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28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단축형 감각프로파일-2(Short Sensory Profile-2; SSP-2)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120명을 대상으로 SSP-2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원자료는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SSP-2의 대상자 및 항목 적합도, 난이도, 평정척도, 분리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 중 감각처리 영역은 7명, 행동반응 영역은 8명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항목 적합도 분석에서는 모든 항목이 적합한 기준을 충족하였다. 감각처리 영역에서의 난이도 분석은 13번 항목(.48 logit)이 높았으며, 10번 항목(-.54 logit)이 낮았다. 행동반응 영역에서는 25번 항목(1.58 logit)이 높았으며, 30번 항목(-.68 logit)이 낮게 분석되었다. 평정척도 분석에서는 5점 척도 보다 3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신뢰도는 감각처리 영역 .90, 행동반응 영역 .95로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SSP-2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임상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게 유용한 평가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한글판 감각처리 및 자기조절 체크리스트(SPSRC)의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the Sensory Processing and Self-Regulation Checklist (SPSRC) )

  • 김예은;이혜림;이선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38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Sensory Processing and Self-Regulation Checklist(이하 SPSRC)의 국내사용을 위해 일반아동과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Short Sensory Profile(SSP)을 사용하여 피어슨 적률 상관계수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구성타당도는 두 집단의 감각처리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을 비교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한 내적 일치도의 경우 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 동시타당도의 검증 결과 한글판 SPSRC와 SSP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p<.01), 구성타당도는 한글판 SPSRC의 영역 및 하위항목에 대해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α값의 범위가 .700 ~ .975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상관계수의 범위가 .937 ~ .997로 나타났다. 결론 : 한글판 SPSRC는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가지는 평가도구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치료목표를 계획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사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향후 관련된 연구에 의미 있는 근거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