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processing

검색결과 847건 처리시간 0.029초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와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Depending on Gender in College Students)

  • 홍은경;이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0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의 성별을 구분하여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차이를 알아보고, 감각처리특성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참여자는 작업치료학을 전공하고 있는 169명의 대학생이었고, 연구기간은 2017년 11월부터 2018년 3월까지이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로 일반적 특성, 스마트폰 중독척도, 성인/청소년 감각프로파일로 구성된 설문지를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22.0의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피어슨 상관분석으로 하였다. 결과 : 남학생 70명과 여학생 9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스마트폰의 사용하는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이용에서 가장 응답이 높았고, 그 다음 순이 오락이었다. 남녀 사이의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는 스마트폰 중독 합계(p=.000)와 가상세계지향(p=.008), 금단(p=.000), 내성(p=.000)에서 보였다. 남학생에서는 스마트 폰 중독과 모든 감각처리 요소와 영역이 관련성이 있었다(r= .236 ~ .603). 여학생에서 스마트폰 중독합계와 감각처리요소의 맛/남새 처리(r= .290), 시각처리(r= .324), 촉각처리(r= .214), 사분면 중 저등록(r= .214), 감각 민감(r= .243), 감각 회피(r= .217)와 중독합계가 낮은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 :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에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 평가 및 중재시 감각처리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또래와의 상호작용,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례보고 (The Effect of Paired-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Sensory Processing, Peer Interaction, and Pla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 Case Study)

  • 박미래;박윤이;김은지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2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만 4세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또래와의 상호작용,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경험이 없는 2명의 대상자로 중재 40분, 부모 상담 10분씩 주 1회, 총 13회기를 시행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감각처리조절을 위한 활동과 다양한 작업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Short Sensory Profile(SSP),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PIPPS), Knox Preschool Play Scale-Revised(KPPS-R)를 실시하여 결과를 측정하여 분석한 후, 시각화된 자료를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 중재 후 대상자 모두 SSP 평가에서 감각처리능력의 향상과 KPPS-R 평가에서 놀이발달의 증진을 보였다. 또한, 대상자들은 PIPPS 평가에서 부정적인 상호작용의 빈도수가 감소하였다. 결론 :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또래와의 상호작용, 놀이발달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앞으로 다양한 연령대의 대상자에게 짝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 (A Study on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With Feeding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 김미수;김경미;장문영;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40
    • /
    • 2019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와 만삭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차이를 비교하고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107명으로 조산아 51명, 만삭아 56명이었다.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영유아 감각프로파일 2(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2; ITSP 2)를 사용하였고 섭식을 평가하기 위해 아동섭식행동평가(Behavioral Pediatrics Feeding Assessment; BPFA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산아와 만삭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조산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조산아와 만삭아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한 결과 감각특성 중 감각예민(p=.019), 하위영역 중 구강감각처리능력(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조산아와 만삭아의 섭식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 조산아의 감각처리특성 중 감각회피(r=.443), 감각예민(r=.374)은 섭식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각처리 하위영역 중 일반적 행동(r=.390), 구강감각처리(r=.513)는 섭식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구강감각처리(r=.529)는 섭식문제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조산아와 만삭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산아의 감각처리능력은 섭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산아의 섭식을 이해하기 위해 감각처리능력이 중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A Study for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 김경미;신현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1
    • /
    • 2016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구성타당도와 내적일치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14년 1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감각처리 문제가 있는 만 3~5세 아동 117명을 대상으로 SPS-C 평가를 시행한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과 내적 일치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요인분석 결과, 청각, 시각, 촉각 영역은 각각 높은 요인 부하량으로 묶였으며, 전정감각과 고유수용성감각은 두 영역의 요인 부하량이 중복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내적 일치도 검증 결과 전체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728이었으며, 각 영역별 내적 일치도는 .323~.636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PS-C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및 표준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수면과 감각처리 특성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Sleep and Sensory Processing Patterns With University Students)

  • 이예진;김가연;김리진;박소빈;박시원;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3-45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비숙면군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과 수면의 질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그리고 경상북도에 소재한 6개 대학의 만 18세~25세 대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글판 청소년/성인 감각 프로파일(Adolescent/Adults Sensory Profile; AASP)과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감각처리특성과 수면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참가자들 중 비숙면군에서 감각처리특성과 수면의 질의 상관관계검증 결과, 등록 저하, 감각 민감성, 감각 회피, 감각 추구의 모든 감각특성이 수면의 질 항목 중 수면 방해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수면의 질 항목 중 주간 기능장애는 등록 저하와 감각 민감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 대학생의 수면장애와 감각처리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하며,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앞으로 대학생만이 아니라 아동, 성인, 노인을 대상으로 수면과 감각처리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노인의 감각처리유형과 통증 파국화 수준의 상관성 검토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Processing Patterns and Pain Catastrophizing Levels in Well Older Adults)

  • 정우영;강대혁;박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14-222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의 감각처리유형과 통증 파국화 수준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재활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216명으로 하였다. 감각처리의 유형은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통증의 심리적인 변인들은 통증파국화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는 t-검정을, 감각처리유형과 통증파국화와의 상관관계를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감각처리유형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감각민감', '감각회피'의 경향이 높았으며(p<.05), 연령이 75세 이상인 군이 65~74세 군에 비해 '감각회피', '등록저하', '감각찾기'의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감각처리유형이 '등록저하'일 때 통증파국화의 '반추적사고'와 그리고 '감각찾기'일 때 통증 파국화의 '무력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감각민감', '감각회피' 일 때 통증파국화의 모든 항목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65세 이상 노인의 감각처리 유형은 통증에 대한 심리적인 변인과 관련되어 있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는 노인의 감각처리 유형 및 통증관련 요인들에 관한 더 진전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on Sensory Processing, Peer Interaction and Task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최지현;김희;이재신;유두한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1-125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의 지속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만 7세 이상 13세 미만의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주 3회 60분씩 8주 동안 진행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와 놀이기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포함된 총 24가지 주제에 맞는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의 사전 사후 추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사전 사후 추적조사의 평균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고, 윌콕슨 순위검정을 사용하여 사전 사후 추적조사의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중재 이후 대상자들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4주후 실시한 추적조사에서 치료의 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능력의 증진뿐만 아니라, 또래상호작용이 필요한 학령기 아동들에게 모방과 그룹 안에서의 연습을 제공하고, 일상생활까지 그 효과를 연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이다.

노인의 감각처리 능력과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Life and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in Older Adults)

  • 이택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72-279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의 감각처리 능력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121명이 참여하였으며, 삶의 질 평가는 노인생활만족척도를 사용하였고, 한국판 AASP를 이용하여 노인의 감각처리 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노인의 활동수준 평가는 한국판 활동분류카드를 사용하였다. 노인의 삶의 질과 활동수준과의 상관성 검증 결과, 총점(p<.01), 수단적 일상생활(p<.05), 여가활동(p<.01), 사회활동(p<.01)에서 낮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노인의 삶의 질과 감각처리 능력과의 상관성 검증에서 등록저하는 낮은 음의 상관관계(p<.01), 감각찾기는 낮은 양의 상관관계(p<.05), 감각민감성은 낮은 음의 상관관계(p<.01), 감각회피는 낮은 음의 상관관계(p<.01)를 나타냈다. 삶의 질과 감각처리 능력의 하위 영역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 노인의 감각처리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노인에 대한 감각처리 능력 향상이 노인 작업치료 분야에 있어 새로운 중재 방향임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활동수준과 감각처리 능력과의 상관성이 있다는 것으로 판별되어 앞으로의 노인복지정책에도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유아기 감각처리가 기질 및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rly Childhood Sensory Processing on Temperament and Character Traits)

  • 김슬기;김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21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및 성격 특성에 기여하는 감각처리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단면연구에서 만 3-6세 전형적 발달 유아의 양육자가 유아용 기질 및 성격검사와 감각프로 파일에 응답하였다. 기질 및 성격 특성의 각 준거 변인에 대하여 감각처리 사분 요인을 예언 변인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기질 특성인 자극추구와 성격 특성인 연대감에 대한 감각처리 사분 요인 모형이 유의미하였다. 감각처리 사분 요인 중 민감이 유의미하게 자극추구 기질과 연대감 성격을 예측하였다. 민감 관련 행동이 자주 나타날수록 아동의 자극추구는 높았고 연대감은 낮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유아 기질의 자극추구와 성격의 연대감이 감각처리와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작업치료사 욕구 조사 (Occupational Therapist Needs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a Sensory Processing Evaluation Tool for Schools)

  • 조선영;유은영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2호
    • /
    • pp.31-41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학교에서의 감각처리 수행을 알아보기 위한 기존 평가방법과 기존 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 한계점을 알아보고,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 개발 필요성에 대한 욕구를 조사하여 새로운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학령기 아동의 작업치료 중재 경험이 3년 이상인 작업치료사 20명으로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설문조사와 전화면접을 통해 정보를 얻었다. 설문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과 기존의 학교에서의 감각처리 평가 방법 및 한계점,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의 필요성과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의견 조사로 나누어 폐쇄형 질문은 12문항, 개방형 질문은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90%가 학령기 아동의 학교에서의 수행 정도를 부모나 아동을 통해'약간의 정보'를 파악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학교생활에서 감각처리와 관련 된 어려움에 대한 호소를 경험한 것은 '종종'이 50%, '보통정도'이상이 50%로 나타났다.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 개발 필요성은'상당히 필요함'이상이 80%로 조사되었다. 결론 : 국내 아동을 담당하는 작업치료사들은 학교에서의 감각처리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 필요성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평가도구 개발을 통해 학령기 아동의 작업치료 평가 및 중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