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education program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2초

가상현실 특성을 반영한 VR 프로그램 기반 수업 적용 및 효과 (Application and Effects of VR-Based Biology Clas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 최섭;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03-21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과 단원 '우리 몸의 소화와 순환'을 주제로 한 가상현실 기반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측면의 향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초등학교 6학년 10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3차시에 걸쳐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투입하고 사전 사후 모형 수행 수준 평가지를 수집하였으며, 21명의 학생들의 인터뷰 자료를 통해서 인지적·정의적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의 특성을 반영한 VR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VR 콘텐츠의 학교 수업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투입된 가상현실 프로그램 자료는 선행연구에 기반을 둔 가상현실 특성인 '조작', '감각화', '상호작용'을 반영하여 개발되었으며, 수업 시간에 프로그램의 이러한 특성들을 반영한 수업 활동을 하였다. 둘째, 가상현실 기반 생물 수업이 학생들의 '공간적 사고', '추상적 사고', 반영적 사고'와 같은 인지적 측면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인지적인 측면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분석틀로 '구조', '기능', '시스템 표상화', '시각화', '표지' 요인으로 구성된 과학적 모형 수행 수준 분석틀을 사용하였으며, 모형 수행 수준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인터뷰를 통해서 어떤 가상현실의 특성이 반영되어 인지적 효과에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셋째, 가상현실 기반 생물 수업이 '행위유발성', '현존감', '몰입감'을 높임으로써 정의적 측면에 효과가 있음을 인터뷰 자료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가상현실 기반 생물 수업이 교실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술'과 '언어' 활동 융합형의 아동 발달지원 교육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education framework for supporting children's development in the convergence of "art activity" and "language activity": Focused on Text mining method)

  • 박윤미;김시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97-304
    • /
    • 2021
  • 이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발달지원을 위하여 기존의 미술 치료 및 교육에서 시행되어 온 시각적 사고 중심의 접근에 더하여, 언어 교육 및 치료적 접근을 융합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언어와 미술의 서로 다른 영역의 융합 가능 영역을 탐색하기 위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기초 연구, 예비 DB구축, 텍스트 선별, DB 전 처리 및 확정, 불용어 처리, 텍스트 마이닝 분석 및 융합 가능 역 도출'의 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술 치료 및 교육과 언어 치료 및 교육 분야에서 나타나는 문헌상의 각 군집을 연계하여 의사소통 및 학습 기능, 문제해결 및 감각 기관, 예술 및 지능, 정보와 의사소통, 가정 및 장애, 주제와 개념화 및 또래, 통합과 재구성 및 태도 등과 관련된 융합역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미술과 언어의 활동 중심 융합형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아동발달 지원을 위한 총체적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Continuous Use Metaverse Platform Service)

  • 김민지;이승준;최정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97-117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servic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Method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experienced people using Zepeto, Ifland, Gather Town, Zep, Roblox, Fortnite, and Minecraft, which are virtual world types among metaverse types, and valid 415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 22.0) and R (ver 4.1.0) program packages. Result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teractivity and social presence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affected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sensory affordance and functional affordance affected expectation confirmation as affordance factors. In addition, all four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reliability, playfulness, interactivity, and social presence,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a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it was analyzed that playfulness, social presence, and reliability were influenced in order. The affordance factor was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affordance, sensory affordance, and functional affordance. This study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lead to continuance inten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perspective of users who can be called customers of metaverse platform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metaverse platform services not only on platform operators that provide metaverse platform services but also on providers who plan events and education using metaverse platform services.

취학 전 아동의 글씨쓰기와 기능적 과제수행과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 Between Writing Ability of a Preschool Child and Functional Achievement Ability)

  • 황혜정;박규리;진화정;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24
    • /
    • 2014
  • 목적 : 일상생활과 관련된 가위질, 젓가락질, 단추 달린 상의 입기를 의미 있는 기능적 과제로 선정하고, 취학 전 아동의 글씨쓰기 수행과 기능적 과제수행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아동, 총 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글씨쓰기, 가위질, 젓가락질, 단추달린 상의입기 수행능력의 평가는 평가지표를 사용하여 약 1주일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평가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에 따른 글씨쓰기 점수는 남자 $11.92{\pm}2.52$점, 여자 $13.33{\pm}2.55$점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여자 아동의 점수가 높았다(t=2.260, p=0.027). 글씨쓰기 능력은 가위질(r=0.244, p=0.048), 젓가락질(r =0.403, p=0.001) 수행 능력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글씨쓰기 능력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글씨쓰기 능력은 가위질, 젓가락질 수행 능력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나, 단추달린 상의입기 수행 능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어촌지역 중학생들의 비만, 짠맛의 역치, 최적염미도와 혈압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Threshold of Salty Taste, Optimal Saltiness and Blood Pressure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Fishing Village)

  • 이주희;문수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57-26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obesity, threshold of salty taste, optimal saltiness and blood pressure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a fishing village. The subjects were 115 boys and 103 girls in middle school in a fishing village. The BMI index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of subjects were measured,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normal and obese group according to their BMI. The threshold of salty taste and salt preference for a semisolid dish (steamed egg dish), liquid dish (bean sprout soup), and a solid dish (raw radish salad), were estimated by sensory evaluation. Calorie intake was measured using the weighing plate method. The boys in the obe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than those in the normal, but girls did not. Furthermore, calorie intakes of the boys in the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but this was not shown in girls. On the threshold of salty taste, both boys and girls in the obese group needed higher concentration of salt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he threshold of salty tast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ystolic pressure and diastolic pressure in boys. Regarding the salt preference in the steamed egg dish, bean-sprout soup, and raw radish salad, both boys and girls in the obese group preferred higher concentrations. The higher concentration they preferred, the higher the systolic and diastolic pressures were in boys, but only systolic blood pressure was higher in girls. From these results, it is evident that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is needed in school to help restricting middle school students salt consumption and decreasing obesity to prevent hypertension.

메뚜기를 이용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관찰 능력 조사 (The Investigation on the Observ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bout the Grasshopper(Oxya chinesis))

  • 한광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121-129
    • /
    • 2003
  • The enhancement of inquiry skills has been emphasized as a important objective of science education for a long time. Of these, the observation is not only a simple and basic skill, but also a very important skill, in aspect of gathering informations about the nature of all things around u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sense organs of body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observations about the grasshopper(Oxya chinesis), made by the elementary student from the 3rd to the 6th grade, and to make use of them as the basic materials for the observative teaming and the evaluation of the observation ability. Through this study, the collected items of observation are as follows For grasshopper, a total of observation items is 95, 70 using the sight sense, 13 using the tactile sense,7 using the olfactory sense. 3 using the palate sense and 2 using the auditory sense.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elementary student's observation are as follows. 1. On the whole, most of students have observed mainly by the sight and the tactile sense, when observing the grasshopper. 2. It is showed a tendency that the observation ability of student is increased with the high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3. As the grade ascends. the observations with operating are increased, also the quantitative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about them are increased. 4. In the case of same grad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gender, though girls' ability of the observation showed somewhat higher than boys' 5. Occasionally, the interpretations on the observative facts made by student, are inaccurate. Basis on the above results, we suggested som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observative learning program in science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 First, the teacher have to serve as a guide and encouragement in the observative learning class, to be accomplished the various observation, which all the sensory organ can be used by student than the sight sense. Second, to get elevated the ability of observation, it is necessary that some experimental tools(magnifying lens, stereoscope, auxiliary implements etc.) are utilized. Third, the teacher have to make often endeavors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to be activated the atmosphere of operative observation.

  • PDF

영양평가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한 시판김밥 및 김밥균형식단의 영양균형성 평가 - 지방산, 아미노산 및 항산화 비타민 균형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n Nutritional Balance of Market-Kimbab and Nutritionally Adjusted Kimbab Menu by the Self-Developed Computer Program)

  • 이양자;김갑영;고견;박태선;김숙영;오경원;김미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63-174
    • /
    • 2000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develop a computer program and evaluate the nutritional balances especially the balance of fatty acids, amino acids and antioxidant vitamins for convenience foods. The Korean convenience food, Kimbab purchased from markets was evaluated by using the self-developed computer program. Contents of calories, protein and calcium were lower$(1/3^{\circ}{\neq}1/2)$ than the recommended levels of Korean adult woman, and the carbohydrate/ protein/ fat(CPF) energy ratio was 70: 13: 17. The mean P/ M/ S ratio was 2.2/ 1.4/ 1 and that of ${\omega}6/\;{\omega}3$ fatty acids was 17.9/ 1, which was higher than the desirable ratio of $4{\sim}8/\;1$. Average essential amino acid balance of market-Kimbab samples was within the desirable range even though the absolute amount of protein was lower than the recommended level. Contents of antioxidant vitamins (A, C &E) were lower than recommended levels. Two kinds of nutritionally adjusted Kimbab menu were established by self-developed computer program. Some of major changes was adding food ingredients such as tuna fish and perilla leaf cooked with sesame oil and soybean oil to increase ${\omega}3$ series fatty acids. Some fruits and milk were also added to the menu. The adjusted CPF ratios was 63: 15: 22 and the new values for P/ M/ S and ${\omega}6/\;{\omega}3$ fatty acids ratios were 1.0/ 1.2/ 1/0 and 6.1/ 1 respectively. In sensory evaluation of two kinds of adjusted Kimbab, the taste and overall estimation scores were higher than unadjusted Kimbab. The computer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might be used as a tool for the evaluation of nutritional balance of other convenience foods and menu planning.

  • PDF

ADHD 아동을 위한 부모훈련 중재의 효과 연구: 메타분석 (The Effects of Parental Training Interventions on ADHD in Children: A Meta-Analysis)

  • 라대엽;박혜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6-72
    • /
    • 2020
  • 목적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있어 부모 훈련 중재(Parent Training Intervention)의 효과를 분석하고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그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문헌을 Proquest,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검색용어는 (ADHD 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Parent OR Mother OR Father) AND (Training OR Program OR Therapy OR Intervention) AND (Randomized OR Randomised OR Randomly)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질적 평가를 위해 PEDro척도를 활용하였고,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을 통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1차 검색된 628개의 연구를 확인하였고, 최종 20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ADHD 아동에 대한 부모 훈련 중재의 전체효과크기(0.431) 및 부모 대상 중재(0.391), 부모-아동 대상 중재(0.639)는 모두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부모 대상 중재는 ADHD 증상-과잉행동 및 충동성(0.921), 아동 행동(1.075), 아동 정서(0.834)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부모-아동 대상 중재는 ADHD 증상-과잉행동 및 충동성(0.922), 아동 정서(1.335), 반항성 및 품행장애(2.555), 학교 기능 및 사회기술(0.990)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이질성 검정 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랜덤효과모형을 선택하였다. 결론 : 부모 훈련 중재가 ADHD 아동의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이는 작업치료사에게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에는 국내실정에 맞는 부모 훈련 중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The Related Factors Influencing on Self-rated Health Level of Middle-aged Women)

  • 이혜진;이경혜;김은경;김미정;황석만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0-301
    • /
    • 2012
  • This survey of 836 midlife women ($51.0{\pm}4.0$ yrs) was undertaken by exclusively a face to face interview by well-trained interviewers guarantying data collection of higher quality. This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status, including dietary habits and physical mental social factors. In the self-rated health status of a 'good' group, age was lower (p < 0.05), monthly income was higher (p < 0.01), dietary habits score (p < 0.001) and appetite (p < 0.001) and the degree of movement (p < 0.001) and life satisfaction (p < 0.001), marital intimacy (p < 0.001)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ir children (p < 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bad' group. The level of depression (p < 0.001) and severe feeling of menopausal symptoms (p < 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or' group.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educational level (r = 0.069, p < 0.05), income (r = 0.157, p < 0.001), eating habits (r = 0.235, p < 0.001), appetite (r = 0.263, p < 0.001), life satisfaction (r = 0.197, p < 0.001), marital intimacy (r = 0.167, p < 0.001),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r = 0.149, p < 0.001), posi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r = 0.070, p < 0.05)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ut depression (r = -0.122, p < 0.001) and menopausal symptoms (r = -0.292, p < 0.001)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self-rated health status. The predictable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status of middle-aged women were exam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nopausal symptoms - physical discomfor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followed by the 'appetite', 'eating habits', 'menopause symptoms - sensory problems', 'BMI', 'posi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and 'high marital intimac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appetite' and 'eating habit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status. Therefore, a program of dietary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for the effective health education and counseling of middle-aged women.

기록관리학의 발전을 위한 교육과정연구 -준하태(駿河台)(스루가다이)대학(大學)의 경우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Record Management Science Education - with focus on the Faculty of Cultural Information Resources, Surugadai University; Evolving Program, New Connections)

  • 김용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9-94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에서의 기록관리학 교육의 현황을 개관하고, 몇 가지 중요한 이슈와 문제점을 언급하면서 이 분야의 급속한 성장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기록관리학 교육의 목적은 정보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정보전문가의 적절한 공급을 보장하는 것이다. 기록관리학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전문직업 교육을 하는 것이므로 교육과정에는 교육과 실무 훈련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이점은 흔히 이론과 실제의 대비로 표현된다. 학습이 이루어지는 환경의 사회적, 경제적 및 기술적 현실의 합류점이 양자에게 모두 영향을 준다. 본 논문은 일본에서의 기록관리학 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을 검토한다. 또한 교육기관들의 다양한 형태의 교과과정과 교수진을 분석하되 일본 최초의 종합적인 대학 수준 프로그램인 스루가다이대학교의 학부프로그램에 초점을 둔다. 스루가다이대학교 문화정보학부는 정보학 분야를 통합한 새로운 학부로서 다양한 문화정보자원관리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기 위해 1994년도에 설립되었다. 그 목적은 archival science, records management, 박물관 학예직 및 사서직 분야에서 전문적 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정보학 분야의 연구를 촉진하고 장려하는 것이다. 학부에는 두 개의 학과가 있고 각각에는 두 개의 코스가 있다; 문화정보학과. - 영상정보코스, - 관광정보코스 지식정보학과: 지식커뮤니케이션코스, 레코드 아카이브스코스 전체 교과과정의 구조는 역시 기본과목 교육부터 단계적으로 조직된다. 학생이 대학교에 입학하면 바로 수강하는 오리엔테이션과목들은 전문교육의 입문이 되며, 대학에서의 기본적인 학습 연구방법을 배운다. 1학년과 2학년 동안 학생들은 전문화를 위한 필수단계로서 기초과목과 기간과목들을 수강한다. 이를 위해 광범위한 주제의 과목들이 개설된다. 개설코스수는 약 150개에 이른다.3학년부터는 자신의 주전공이 해당하는 특정 코스를 시작하며 세미나와 실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실제에 적용하게 된다. 각 학과에 속한 코스들은 2학년을 시작하는 학생들에게 개설된다. 그러나 두 학과 간에 넘을 수 없는 장벽은 없으며 졸업필요요건에 약간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속한 학과에 관계없이 3 4학년 세미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문헌정보학 학사학위를 받으려면 기초과목군(예: 문헌정보사회사, 문화인류학, 과학사, 행동과학, 커뮤니케이션 등)에서 34학점, 외국어에서 16학점(영어 10학점 포함), 정보처리에서 14학점(이론과 실습 포함), 그리고 자신의 전공코스에서 60학점을 취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일본 기록관리학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몇 가지 과제와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간단히 요약한다. - 관련 분야 및 유사 프로그램과의 결합 및 조화, - 교과과정 개선, - 교과서 부족, - 유능한 교수의 부족, - 졸업생의 취업문제 정보서비스가 점점 더 복합, 통합, 멀티미디어어화 되어감에 따라 정보전문직들은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과 더욱 긴밀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키비스트, 레코드메니저 및 박물관 큐레이터와 함께 일하는 것이 정보전문직으로서의 사서직의 생존에 필수적이 될 것이다. 더욱 정보화되는 사회에서 변화를 견뎌내려면 문화기관 내 모든 사람들의 강력한 연대가 요구된다. 미래의 동료들이 경쟁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정보전문직 간에 그리고 국경을 넘어서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