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design

검색결과 587건 처리시간 0.027초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능력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Program on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 김은영;박윤이;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7-47
    • /
    • 2009
  • 목적: 본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7~13세의 학령기 아동 5명으로, 실2험기간은 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 회7기 당 0분씩 총 26회기의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실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Bruininks-Osereta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 사회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성 기초기능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을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BOT-2,(Wi사회성 기초기능척도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 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학령기 아동의 실행능력,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학령기 아동에게 그룹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효과를 제시하여 학령기 아동의 그룹치료에 대한 초기연구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감각통합 치료적용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수를 늘리고 표준 데이터를 제시해 줄 수 있는 다양한 평가기준을 사용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림과 놀이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ith Oral Activity on Drooling and Pla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Single-Subject Research)

  • 박소희;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4-64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구강감각의 감각조절장애가 있는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활동을 포함한 감각통합 치료를 적용하여 침 흘림과 구강장난감을 활용한 놀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2세 8개월의 구강감각의 감각조절장애가 있는 발달지연 남아 2명이었다. 단일대상연구 ABA'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설계(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목표행동은 목표성취도 척도(Goal Attainment Scale; GAS)를 사용하여 침 흘림과 구강 장난감을 활용한 놀이 대한 관심과 집중으로 측정하였다. 중재기(B) 10회기 동안 구강활동과 고유-전정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를 아동에게 적용하였다. 결과 : 침 흘림은 기초선 기간에 평균 목표행동 값(GAS)이 A 아동 0.25점, B 아동-0.5점에서 중재 기간에는 A 아동 1.88점, B 아동 1.4점으로 향상했고 유지기 동안 평균은 A, B 아동 모두 3점이었다. 놀이에 대한 기초선 기간에 평균 목표행동 값은 A 아동은 -0.75점, B 아동은 0.75점에서 중재 기간 A 아동은 1.9점, B 아동은 1.1점이었고 유지기 동안 평균은 A 아동 1.33점, B 아동 2점이었다. 결론 : 구강활동을 포함한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는 구강감각의 감각조절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침 흘림과 구강장난감을 활용한 놀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Evolving a Holistic Design Process of Experiential Design - Focus on the Cognitive Interaction in Design Process -

  • Woo, Heung-Ryong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65-76
    • /
    • 2007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olve integrated design process for Experiential Design which is based on the former study, 'The Influence of Cognitive Factors on the Creative Abilities in Design'. Experience is a transformation factor to all of the design processes, which has three phase of problem solving; Input, Process, and Output. We regard Experiential Design is a transforming process from concept to experience, and set up a mode) of Holistic Design Process (HDP), which consists of four domains: Four Causes, Thinking Modes, Sensory Modalities, and Creative Abilities. Revolving Sensory Modalities (SM), Creative Abilities (CA), and Thinking Modes (TM) around Product Design Specification (PDS) through a design process, Design Concepts ripen and mature into Externalization. Each component of Experiential Design (TM, SM, and CA) turns around the PDS. Here, experience is first perceived by the five senses. Then, the knowledge is formed, and the CA works for a problem solving. And TM controls all of these procedures. We regard these are a phenomenon of Experiential Design. The HDP can be helpful to develop valuable solutions and create a good experience.

  • PDF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운동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Sensory Motor Ability and Behavior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김진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2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운동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3~5세의 발달지연 아동 5명이었고, 실험기간은 2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이었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매 70분), 총 26회기를 실시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임상관찰, Behavior during testing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전과후의 임상관찰(Z=-2.023, p=.043) 점수는 소폭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행동 변화를 보기 위한 하위 카테고리인 사회성(Z=-2.121, p=.034), 주의집중(Z=-2.032, p=.042)과총B점ehavior during testing (Z=-2.032, p=.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운동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확실한 근거를 제시하기 에는 미흡하며, 사회성 및 주의집중과같은 행동 변화에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개별적인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그룹치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고, 다양한 내적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변인을 제한하며, 보다 객관적인 자료 수집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호흡 및 구강협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al Activity With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Breathing and Oral Diadochokinetic Movement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최연우;정혜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호흡과 구강협응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만 6세 7개월의 남아로, 발달장애 진단을 받았다. 연구는 2012년 11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실시하였다. 실험은 개별실험연구 중 AB디자인을 사용하였다. 실험과정은 기초선(A) 3회기, 중재(B) 16회기이었다. 기초선 기간 동안에는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고, 중재기간동안에는 감각통합치료에 구강활동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호흡기능은 폐활량 측정계로 측정하였으며, 구강협응능력은 "파타카(pataka)"를 10회 반복할 때 소요된 시간을 초단위로 측정하였다. 결과 : 아동의 호흡과 구강협응능력은 기초선과 비교하여 중재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호흡과 구강협응능력 향상에 긍정적이었다.

  • PDF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Weighted Vest in Behavioral Problem for the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한미애;김지연;장기연;박미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3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주변 환경에 민감하고 감정기복이 심한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을 통한 고유수용성 감각을 제공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일반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만 7세 남아로 연구설계는 ABA'단일사례연구를 사용하였고, 14회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재기간(B)동안 1.3kg의 무게를 첨부한 조끼를 착용하고 학습인지교육을 받았다. 결과 : 치료회기가 진행될수록 의자에서 엉덩이를 떼고 일어나거나 몸을 앞/뒤, 좌/우로 흔드는 경우 및 엄지손가락 을 입에 넣기, 손등 입으로 가져가기, 손장난하기 등 행동적 측면에서의 문제행동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연구결과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한 후 아동의 문제행동이 회기가 지날수록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의 효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본 연구설계 및 중재기간상 제한점이 있어서,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기 보다는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실시한 결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설계의 변형이나 연구회기의 증가를 통해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지속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고,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시키는 것에 대한 적용방법, 무게, 적용시간에 대한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옥외여가공간의 다중감각 선호 및 이미지 영향력 연구 (A Study on the Multi-sensory Preferences and Image Influences of Outdoor Leisure Spaces)

  • 윤희정;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31
    • /
    • 2006
  • Multi-sensory design results from sensory design paradigm and image centricism, which stimulates 5 sensation; visual, auditory, haptic, smell and taste sensation when we experience environment. This is helpful for designing outdoor space considering integrated sensation not only visual and auditory sensation as well as for improving visitor's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mainly intended to analyse the multi-sensory preference and the image influence of outdoor leisure space. For thes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3 leisure spaces around Seoul city; Gwan-ak mountain(the type oriented natural resource), Insa-dong(the type oriented cultural resource) and Seoul land as theme park(the type oriented facility) and a survey was performed with a total of 204 visitors at the above spaces in winter and summ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visual sensation was evaluated most high at 3 outdoor leisure spaces in both winter and summer. Visitors at Gwan-ak mountain and Seoul land prefer visual and haptic sensation, but visitors at Insa-dong prefer visual and haptic sensation in summer, visual and taste sensation in winter. Above all, this study led the designer to consider diverse sensation to access leisure space, especially haptic sense, which can be an effective design strategy to satisfy visitors.

Effects of ergothioneine-enriched mushroom extract on oxidative stability,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quality of emulsified sausage

  • Tao, Ye;Xiao, Shan;Cai, Jiaming;Wang, Jihui;Li, Lin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0호
    • /
    • pp.1695-1704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work was to assess the effect of ergothioneine (ESH)-enriched mushroom extract on oxidative stability,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quality of emulsified sausage. Methods: The ESH content was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lammulina velutipes (F. velutipes) extract was determined through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1,1 diphenyl-2-picryl-hydrazyl,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hydroxyl radicals. Four different groups of emulsified sausage were manufactured: control, no antioxidants; BHA, 0.01% butylated hydroxyanisole; EEME, 0.8% ESH-enriched mushroom (F. velutipes) extract; AE, 0.012% authentic ESH, after storage for 14 days (at 4℃), the quality of sausage including oxidative stability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nd protein carbonyls content),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quality were studied.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adding ESH-enriched F. velutipes extract to sausage could effectively prevent lipid and protein oxidation, and its efficacy was equivalent with 0.01% BHA. During meat processing, the ESH mainly contributed to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F. velutipes extract. The flavor and sensory attributes of emulsified sausage were improved through adding ESH-enriched F. velutipes extract. Conclusion: Accordingly, the extract of F. velutipes contained high-level of ESH and could be a good antioxidant candidate for processed meat production.

Biological smart sensing strategies in weakly electric fish

  • Nelson, Mark E.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8권1호
    • /
    • pp.107-117
    • /
    • 2011
  • Biological sensory systems continuously monitor and analyze changes in real-world environments that are relevant to an animal's specific behavioral needs and goals. Understanding the sensory mechanism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inciples that biological systems utilize for efficient sensory data acquisition may provide useful guidance for the design of smart-sensing systems in engineering applications. Weakly electric fish, which use self-generated electrical energy to actively sense their environment, provide an excellent model system for studying biological principles of sensory data acquisition. The electrosensory system enables these fish to hunt and navigate at night without the use of visual cues. To achieve reliable, real-time task performance, the electrosensory system implements a number of smart sensing strategies, including efficient stimulus encoding, multi-scale virtual sensor arrays, task-dependent filtering and online subtraction of sensory expectation.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성격과 감각처리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onality and Sensory Processing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 이춘엽;정남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7-246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sonality and sensory processing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We conducted a survey study on 251 college students from March to May 2023. Personality, sensory process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measured through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respective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s and one-way ANOVA.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sensory process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cores was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impact of personality and sensory processing on college life adaptation was analyzed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Results : Correlations of all five personality factors, except openness to experience, were observed with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ory avoidance, poor registration, and sensory sensitivity. The variance of college life adaptation explained by each factor (based on R2) were 46% by personality and 26% by sensory processing. Among personality traits, neuroticism had a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greeableness and extroversion had positive effects, and low registration during sensory processing had a negative effect.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e provision of various activities and creation of an environment for college students with low sensory registration and neurotic traits to encourage positive changes. The results can be used to design a program that helps college students adapt to occupational therapy maj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