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ial propertie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7초

A novel combination of sodium metabisulfite and a chemical mixture based on sodium benzoate, potassium sorbate, and sodium nitrite for aerobic preservation of fruit and vegetable discards and lactic acid fermentation in a total mixed ration for ruminants

  • Ahmadi, Farhad;Lee, Won Hee;Kwak, Wan Sup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9호
    • /
    • pp.1479-1490
    • /
    • 2021
  • Objective: Our recent findings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sodium metabisulfite (SMB) in controlling the growth of undesirable microorganisms in fruit and vegetable discards (FVD); however, lactic acid bacteria (LAB) are susceptible to its antibacterial effects. Two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nable the survivability of LAB during silage fermentation of a total mixed ration (TMR) containing SMB-treated FVD. Methods: In Exp. 1, the objective was to isolate a strain of LAB tolerable to the toxic effect of SMB. In Exp. 2, the SMB load was minimized through its partial replacement with a chemical mixture (CM) based on sodium benzoate (57%), potassium sorbate (29%), and sodium nitrite (14%). FVD was treated with SMB + CM (2 g each/kg biomass) and added to the TMR at varying levels (0%, 10%, or 20%), with or without KU18 inoculation. Results: The KU18 was screened as a presumptive LAB strain showing superior tolerance to SMB in broth medium, and was identified at the molecular level using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as Lactobacillus plantarum. Inoculation of KU18 in TMR containing SMB was not successful for the LAB development, biomass acidification,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the resultant silage. In Exp. 2, based on the effectiveness and economic considerations, an equal proportion of SMB and CM (2 g each/kg FVD) was selected as the optimal loads for the subsequent silage fermentation experiment. Slight differences were determined in LAB development, biomass acidification,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among the experimental silages, suggesting the low toxicity of the preservatives on LAB growth. Conclusion: Although KU18 strain was not able to efficiently develop in silage mass containing SMB-treated FVD, the partial substitution of SMB load with the CM effectively alleviated the toxic effect of SMB and allowed LAB development during the fermentation of SMB + CM-treated FVD in TMR.

Milk Fat Substitution by Microparticulated Protein in Reduced-fat Cheese Emulsion: The Effects on Stability, Microstructure,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 Urgu, Muge;Turk, Aylin;Unluturk, Sevcan;Kaymak-Ertekin, Figen;Koca, Nurc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3-34
    • /
    • 2019
  • Fat reduction in the formulation of cheese emulsion causes problems in its flowabi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during spray-dried cheese powder production. In order to eliminate these problems, the potential of using microparticulated whey protein (MWP) in cheese emulsions was examined in this study. Reduced-fat white-brined cheese emulsions (RF) with different dry-matters (DM) (15%, 20%, and 25% excluding emulsifying salt) were produced using various MWP concentrations (0%-20% based on cheese DM of emulsion). Their key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o full-fat cheese emulsion (FF). MWP addition had no influence on prevention of the phase separation observed in the instable group (RF 15). The most notable effect of using MWP was a reduction in apparent viscosity of RF which significantly increased by fat reduction. Moreover, increasing the amount of MWP led to a decrease in the values of consistency index and an increase in the values of flow behavior index. On the other hand, using high amounts of MWP made the emulsion more liquid-like compared to full-fat counterpart. MWP utilization also resulted in similar lightness and yellowness parameters in RF as their full-fat counterparts. MWP in RF increased glossiness and flowability scores, while decreased mouth coating scores in sensory analyses. Fat reduction caused a more compact network, while a porous structure similar to FF was observed with MWP addition to RF. In conclusion, MWP showed a good potential for formulation of reduced-fat cheese emulsions with rheological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suitable to be used as the feeding liquid in the spray drying process.

Effects of Dry- and Wet-ageing on Flavor Compounds and Eating Quality of Low Fat Hanwoo Beef Muscles

  • Ha, Yoonkyung;Hwang, Inho;Van Ba, Hoa;Ryu, Sangdon;Kim, Younghoon;Kang, Sun Moon;Kim, Jinhyoung;Kim, Yunseok;Cho, Soohy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55-667
    • /
    • 2019
  • The pres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dry- and wet-aging methods on flavor compounds and sensory properties of low fat Hanwoo beef muscles. All the beef samples were obtained from 2-grade carcasses of Hanwoo cows. The beef samples used in the dry- and wet-aging methods were prepared in the forms of quarter beef (bone-in) and cuts (boneless), respectively. The dry-aging was carried out at $2^{\circ}C-4^{\circ}C$ and humidity of 65%-85%, while the wet-aging was done at $1^{\circ}C$ for 0, 20, 40, and 60 d. At each aging time, three muscles: longissmus thoracis (LT), glutaeusmedus (GM) and semimembranosus (SM) were taken from the corresponding quarters and cuts, and used for the flavor compounds and sensory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both aging method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flavor compounds and total amount of all classes of the flavor compounds as the aging time increased (p<0.05). In the dry-aging method, the GM and SM muscles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amounts of pyrazines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 compared to the LT muscle (p<0.05). Both the aging methods improved the eating quality attributes, indicating by increased scores of sensorial attributes with increased aging time for all the muscles studied (p<0.05). However, compared to the wet-aging, the dry-aging method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tenderness and flavor for the GM and SM muscles after 40 to 60 d. Thus, postmortem aging, especially the dry-aging method could be used to improve eating quality attributes (tenderness and flavor) of low fat beef muscles such as GM and SM.

건조숙성에 따른 저등급 한우 채끝 등심의 품질 증진 (Quality Improvement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Low Quality Grade by Dry Aging)

  • 이철우;이승호;민예진;이수기;조철훈;정사무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15-421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nge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quality grade 2 produced by dry aging, and compared the quality of dry-aged strip loin with that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quality grade $1^+$. Hanwoo strip loins with quality grade $1^+$ (SL1) and 2 (SL2) after a day of slaughter and dry-aged strip loin (DSL2) aged for 21 days at $2^{\circ}C$ with 85% humidity were obtained from local markets.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cooking loss, lipid oxidation, instrumental color (CIE $L^*$, $a^*$ and $b^*$ value)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strip loins were measured. DSL2 contained low moisture and high protein contents compared with SL2, and low fat, high protein, and high ash contents compared with SL1 (p<0.05). The pH and cooking loss were higher and lower, respectively, in DSL2 compared to SL2 (p<0.05). SL1 had a higher pH than DSL2 (p<0.05). However, the cooking loss was not different between SL1 and DSL2. The TBARS value was the highest in DSL2 and the lowest in SL2 (p<0.05). DSL2 had higher $L^*$ and $b^*$ value compared with SL2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L^*$, $a^*$ and $b^*$ values between DSL2 and SL1. Sensory properties such as the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acceptability of DSL2 were higher than those of SL2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all sensory properties between DSL2 and SL1. According to the results, dry aging can improve the nutritional and sensorial quality of strip loin with quality grade 2 to quality comparable to quality grade $1^+$.

저선량 전자선 조사 수입 오렌지의 상온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Dose Electron Beam Irradiated-Imported Navel Orange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20℃))

  • 조윤정;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55-463
    • /
    • 2015
  • 저선량 전자선 조사에 의한 수입 오렌지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여 방사선 식품 검역 관리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미국산 수입 navel orange에 선량 0.2, 0.4, 0.6, 0.8, 1.0 kGy의 전자선을 조사하여 상온($20{\pm}0.1^{\circ}C$)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품질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자선을 조사한 오렌지의 색도, 당산비, 총당 및 환원당 함량, 비타민 C 함량은 조사선량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조사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경도는 저장 초기 모든 조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저장 후기에는 그 차이가 감소하여 비조사구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조사선량에 따른 일률적 감소의 경향은 없었다. 관능평가 결과 0.6 kGy 이하의 조사구에서는 단맛과 신맛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비조사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저장일 전반에 걸쳐 조사선량과는 무관하게 비조사구와 조사구 모두 선호도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0.6 kGy 이하의 전자선 조사는 상온저장 중 오렌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관능적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전자선 조사를 통한 병해충 방제 효과를 얻기 위한 최적 선량은 0.6 kGy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다.

계란의 저장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및 품질 인자 설정 (Quality Factors Affecting Egg Freshness and Palatability During Storage)

  • 김범근;박찬은;김병삼;김윤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5-30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저장 온도 및 기간에 따른 계란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고 이들과 신선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및 최적 회귀모형 도출을 통한 적정 품질 지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물리화학적 평가지표 중 중량감소율의 경우 저장온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비중, Haugh unit, 난황계수 및 난백계수의 경우 저장 온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난황의 경우 저장기간 및 온도에 따라 pH 값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난백의 경우 저장에 따라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난황점도의 경우에는 저장 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저장 온도가 높아질수록 더 빠르게 감소하였다. 반면 난백점도, 색도 및 TBARS 값의 경우 저장 온도와 기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관분석 결과 신선도에 있어서는 중량감소율, Haugh unit, 난황계수, 난백계수, 난백 pH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내었고,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중량감소율, Haugh unit, 난황계수, 난백계수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상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는데, 신선도와 전체적인 기호도 모두 중량감소율, 비중, 난황 pH 및 난황점도가 전체 모형의 89%를 나타내는 선형 회귀식이 도출되었다.

저선량 전자선 조사 수입 오렌지의 저온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Dose Electron Beam Irradiated-Imported Navel Orange during Storage at Low Temperature (3°C))

  • 조윤정;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28-136
    • /
    • 2015
  • 전자선 조사에 의한 수입 오렌지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여 방사선 식품 검역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미국산 Navel orange에 선량 0.2, 0.4, 0.6, 0.8, 1.0 kGy의 전자선을 조사하여 저온($3{\pm}2^{\circ}C$)에서 45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색도, 당산비, 총당 및 환원당 함량, 비타민 C 함량은 조사선량과는 관계없이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를 보였다. 경도는 저장 초기에 1 kGy의 조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가 저장 후기에는 그 차이가 점차 감소하며 비조사구와 다른 조사구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에서는 신맛과 조직감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0.8 kGy 이상의 조사구는 색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1 kGy 이하의 전자선 조사는 오렌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0.8 kGy 이상의 전자선 조사가 관능적 품질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품질변화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해충 방제 효과를 얻기 위한 최적의 선량은 0.6 kGy 이하로 판단된다.

인삼사포닌이 첨가된 돈가스 제품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Cutlet Containing Ginseng Saponin)

  • 조수현;박범영;위재준;황인호;김진형;채현석;이종문;김용곤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633-640
    • /
    • 2003
  • 인삼분말을 첨가한 돈가스와 첨가하지 않은 돈가스는 칼로리 함량 및 색도(CIE, L, a, b)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인삼분말 첨가수준을 달리한 (1${\sim}$3% 인삼분말 첨가) 튀김옷을 이용하여 제조된 돈가스 제품간에도 색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 후 진공포장하여 4$^{\circ}C$에서 15일간 저장한 결과 인삼분말을 첨가한 돈가스가 저장 전 기간에 TBA 값이 인삼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돈가스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저장 5일째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10일이후에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 후 진공포장하여 -20$^{\circ}C$에서 90일간 저장한 결과 낮은 TBA 값을 나타냈으나 저장 90일째까지 0.5mg malonaldehyde/kg sample 수준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분석결과 인삼성분이 첨가된 돈가스가 첨가하지 않은 돈가스보다 Total MUFA 함량이 낮은 반면 Total PUFA함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SFA 함량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인삼을 첨가함으로서 MUFA/SFA 비율이 감소하고 PUFA/SFA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결과 인삼성분이 첨가된 돈가스가 첨가하지 않은 돈가스와 비교하여 인삼향 미와 함께 전반적인 기호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튀김옷에 인삼분말을 1% 첨가한 처리구가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삼분말을 포함한 천연양념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돈가스 제품의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인삼분말 첨가수준을 설정하였으며 한국 전통식품이 아닌 돈가스 요리의 색다른 한국적 맛을 구현하면서 인삼특유의 효능 및 사포닌 성분이 함유된 돈가스 제품을 개발하였다.

초석잠 첨가 식빵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Properties of Chinese Artichoke (Stachys sieboldii Miq) added White Bread)

  • 전기숙;박신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20-132
    • /
    • 2015
  • 본 연구는 초석잠을 기능성 소재로서 식품 개발에 이용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을 0, 3, 6, 9, 12%로 달리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초석잠 분말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탄닌의 함량은 각각 $139.09{\pm}1.97mg\;GAE/g\;dw$, $74.33{\pm}2.69mg\;QE/g\;dw$, $40.41{\pm}2.54mg\;TAE/g\;dw$로 분석되었다.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식빵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초석잠 분말을 12% 첨가한 식빵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과 총 탄닌의 함량은 각각 $104.27{\pm}0.13mg\;GAE/g\;dw$, $71.03{\pm}1.75mg\;QE/g\;dw$$8.76{\pm}0.12mg\;TAE/g\;dw$이었다(각각 p<0.001, p<0.001, p<0.001). 초석잠 추출물의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의 $IC_{50}$은 각각 1.42 mg/mL와 1.57 mg/mL로 분석되었으며,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식빵의 항산화 활성은 유의적으로 높아졌다(각각 p<0.001과 p<0.001). 초석잠 분말을 9% 첨가한 식빵은 외관, 향미, 맛,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어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키면서 항산화 활성을 지닌 기능성 식빵의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저장 고춧가루의 색 관련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성미선;강혜정;김윤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423-1430
    • /
    • 2012
  • 본 연구는 장기간 저장하는 동안 고춧가루의 품질변화에 대한 물리적 측정치와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관능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빛의 투과 여부가 다른 2종류의 포장재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과 aluminum/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Al/LLDPE)를 선정하여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수분함량, 색도,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 고춧가루의 시각으로 인지하는 색과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고춧가루의 초기 수분 함량은 저장고의 상대 습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저장고의 온도나 포장재의 재질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색차계로 측정한 L, a, b값 중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하였고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였다. 두 측정값 모두 저온보다는 고온에서 저장 시 더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포장재의 재질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ASTA color value와 capsanthin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고온에서 저장 시 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ASTA color value는 빛이 투과하는 LLDPE 재질의 포장재에 저장하였을 경우 더 많이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황색의 강도는 증가하고 매운맛 색과 적색은 감소하여 점차 어두운 적색을 띄며 고온에서 저장 시 더 어두운 적색을 띄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포장재의 재질에 따른 차이는 매운맛 색에 대한 평가에서만 나타났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적색과 매운맛 색이 감소하고 황색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색소 성분의 물리적 측정치와 관능적 기호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a값,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은 전체적인 외관기호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그중 ASTA color value가 관능적 기호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고춧가루 저장 시 빛이 통과하지 않는 Al/LLDPE 재질의 포장재에 저장하였을 경우에 품질 변화가 적었고 색소 성분의 물리적 측정치와 관능적 기호도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춧가루의 소비자 선호도는 색도계를 이용한 적색도나 ASTA color value, capsanthin 함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