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e of Uneasines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영화치료가 정신분열증 환자의 불안감 감소와 대인관계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inema Therapy on Decreasing a sense of Uneasiness and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Focusing on Schizophrenia Patients)

  • 유인철;배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03-110
    • /
    • 2008
  • 정신분열증 환자의 불안감 감소 및 대인관계성 향상에 영화치료가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정신보건센터 상담실의 직업재활과정에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7회에 걸친 영화치료 및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영화치료 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소외와 불안 행동이 개선되어 정서적으로 안정되는 경향이 확인되었으며, 의사 표현이 활발해지고 내면세계에 대한 표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대인관계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불안감 지수 및 대인관계성 지수의 측정 척도를 적용한 양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불안감 지수에서 전체 참여자 중 7명이 일반인 평균보다 정서적으로 더 안정되어 있었으며, 대인관계성 지수에서는 10명 중 6명의 대인관계성이 일반인 평균보다 더 좋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서 영화를 매개로 하는 치료 방법이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불안감 감소 및 대인관계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고스(goth)이미지의 미적 특성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oth Image in Modern Fashion)

  • 최정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3-16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oth image which have had influence on literature, film, music and art, in modern fash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cumentary about gothic and goth, and the fashion magazines since 2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nsuality shows the excessive exposure of body and inner wear, and emphasizes a resistance of sexual consciousness and a image of independent, active, powerful woman. Second, androgyny shows the goth women wearing a men's cloth and encourages a person to have a perfect being and satisfaction. Third, horror shows the symbol of death and suggests a substance of desire hidden in our mind. Fourth, historicity shows victorian fashion which have a romance of gothic and baroque, not a cult but a modern image. In conclusion, goth image in modern fashion does not show a substance negative and horrorful, but a substance positive as a perfection, satisfaction, a sense of freedom, obliteration of a feeling of uneasiness and powerful woman's image.

소수민족집단체류지역(Ethnic Enclave)으로서의 옌볜거리의 장소성 형성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in Yen-Ben Street That Form a Sense of Place as an Ethnic Enclave)

  • 한성미;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1-90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전형적인 소수민족집단체류지역(ethnic enclave)의 형태를 보이고 있는 가리봉동 "옌볜거리"의 장소성 형성 요인을 분석하고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찾음으로써, 국내 외국인 거주자 및 주거지역의 증가에 의한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그러한 다양성이 긍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도시경관 형성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수민족집단체류지역(ethnic enclave)으로서의 옌볜거리의 장소성을 형성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장소성을 형성하는 물리적 환경 요인으로 나타난 쪽방촌과 열악한 공간적 환경은 외부자의 부정적 인식과는 달리 거주자에게는 그들의 경제여건에 부합하는 긍정적인 의미를 보였다 둘째, 연길에서의 그것과 유사한 색채 및 한글과 한문이 혼용된 간판은 옌볜거리에서의 장소성을 형성하는 물리적 환경 요인으로서, 내부인인 조선족에게는 구성원들 간의 내적 소통의 수단으로 조선족 문화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해석되었다. 셋째, 옌볜거리에서는 물리적 건축 환경 요소보다는 집단적 삶의 일상성을 충족시키는 구매활동, 여가 및 정보교환 활동이 장소성 형성에 더욱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넷째, 공간적 전유(appropriation)현상과 주변과의 격리현상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격리현상은 외부인에게 부정적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다섯째, 조선족의 고향에 대한 인식, 문자 및 언어, 음식문화 등에서의 문화적 이중성(dualism) 및 혼재(mingling) 양상은 현재 옌볜거리의 장소성을 형성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옌볜거리의 장소적 현상에 있어서 임시성(temporariness)이 두드러졌으며, 이러한 임시성은 불법체류라는 조건 하에서 더욱 강화되고, 이는 주거환경에 대한 무관심 등의 부정적 결과를 야기할 수 있으나, 동시에 그러한 임시성으로 인한 불안감을 완화시키고, 내부자간의 협력과 유대를 강화함으로써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장소성 형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유료 노인전문요양원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Analysis on Familial Caregivers' Burden in Utilizing a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 김완희;박종연;이지전;강임옥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22
    • /
    • 2003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nceptualize the socio-psychological burden in utilizing a nursing home for elderly. The subjects were five elderly from a private nursing home located in Seoul and their familial caregivers. An old male and three females were currently staying at the facility, and a female had been discharged already from the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epth interviews, observations and review of records at the facility For analysis, the data were classified by similar contents among significant expressions and factors in common. The subjects' motives to consider admission to the nursing home might be attributed to familial caregivers' burden, a shortage of support,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feeling of helplessness for the case elderly. The concept of burden is including family members' being badly off in living, their weariness, complications among family members, feeling psychological uneasiness, and hospital expenses. The identified image of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in Korea was generally negative at the point of high cost, unreasonable requisites and limitations for admission to the facilities, inferior situations, and especially in that there were few long-term care facilities within the community boundary. From their experience of nursing homes, the interviewees have felt the sentiments of sorry for their old parents, with the thought of being an undutiful, bitterness, and empathy. Additionally, they expressed a sense of anxiety of relative deprivation against the fact that there were no long-term care facilities available for the middle class. On the basis of these, multi-dimensional needs could be identified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illnesses.

한국인의 100세 장수시대 인식과 영향요인 (Korean People's Perception of Longevity and its Determinants)

  • 정형선;송양민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1-526
    • /
    • 2011
  • This study aims at surveying how Koreans look upon and prepare for the age of longevity("age of 100 years") drawing near at hand, analyzing factors affecting such a perception and behavior. To this end, a telephone survey was launched for 1200 persons sampled to evenly comprise the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Our findings indicate that more Koreans looked upon the upcoming "age of 100 years" as a 'disaster' rather than a 'blessing.' The sense of combined uneasiness over the aged life being further elongated while they are unprepared for it, anxiety over maintaining health and so forth came into play. However, the better a person is prepared by way of health management, savings for retirement, preparation for leisure activities and employment for the later life, the more positively he or she looked upon the "age of 100 years". An analysis by group indicates that women rather than men, the elderly rather than the young, the less educated rather than the highly educated, the low-income bracket rather than the high-income bracket looked upon the "age of 100 years" more negatively. Under such circumstances, it is suggested that the nation's social system tailored to a life expectancy of 80 years should be readjusted, tailored to a 'longevity paradigm' and that to this end social systems should be reoriented toward the direction where 'healthy aging' and 'active aging' are fully supported.

지능형 로봇과의 공존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Intelligent Robots as companions.)

  • 김양은;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5-45
    • /
    • 2019
  • 미래 세대들은 지능형 로봇과 공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는 SW와 인공지능 교육을 어떻게 설계하고 진행해야 하는지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는 중학생 1학년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예상되는 문제 상황에 대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과 대상에 대한 감정이입 여부를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형태가 명시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상하관계로 인식하고 있었고 둘째, 인간 형태의 경우에는 지능형 로봇을 대상으로 인식하고 대상과 의사소통 할 준비가 되어있었다. 셋째, 다수가 지능형 로봇에 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넷째, 단순 기계 형태의 로봇에 대해서는 막연한 불안함을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지능형 로봇에 관한 인식을 확인한 사례 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니며 향후 중학생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로봇과 공존하며 살아갈 수 있는가에 대한 인식에 대해 고민하고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건부가치평가법을 이용한 VMS 교통정보 제공에 따른 이용자만족도 가치 산정 (Value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by VMS Traffic Information Using Contingent Value Method)

  • 연복모;홍지연;이수범;임준범;문병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2-22
    • /
    • 2010
  • 가변전광표지판(VMS)은 도로이용자에게 도로, 기상 및 교통의 상황이나 그에 따른 교통규제의 상황에 관해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안전한 통행을 하도록 하는 시설이다. 또한 VMS는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들에게 전방의 교통상황 및 소요시간을 미리 알 수 있게 함으로써 불안감 해소와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게 된다. 하지만 VMS는 비시장재이며 공공재라는 성격이 강하여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이용하여 VMS의 교통정보 이용자만족도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였다. 지능형교통시스템(ITS)이 구축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부도로와 도시고속도 구분하여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이용자 만족도 가치모형 추정에 제시금액, 이용빈도, 만족도, 성별, 연령 5가지 변수가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유의한 변수로 추정한 모형으로 이용자만족도 가치를 평가한 결과 도시고속도로는 96.7원/대, 도시부 도로는 76.3원/대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행목적별로 가치를 산정한 결과 모든 노선에서 출퇴근, 업무, 여가 순으로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통사고 후유장애 치료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Environment to Treat the Stress Disorder after Car Accident)

  • 김형래;이상호;노주선;김현택;김지혜;고희동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33-38
    • /
    • 2001
  • 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교통사고 후 경험하게 되는 불안감 및 공포감과 같은 심리적인 후유장애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 수행되었다. 가상현실을 통한 교통사고 후유장애 프로그램의 핵심내용이 되는 운전주행 시나리오의 효과를 검증하고, 이완훈련 등의 불안감소 훈련의 효과를 피험자를 통해 검증해 보았다. 총 8명의 피험자(정상인 7명, 교통사고 환자 1명)를 대상으로 세 가지 주행상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후 이완훈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완훈련 후 유의미한 불안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각각의 주행상황에 따라서 불안이 증가되는 경향성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주로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임에도 불안유발 경향성이 나타난 점은 고무적이나 교통사고자를 대상으로 한 경험적인 증명이 필요하며, 가상현실을 이용한 이완훈련은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패밀리 레스토랑이 제공하는 관계 효익이 고객 만족과 장기관계지향성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연구 (Research on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onal Benefits Provided by Casual Dining Restaurants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 조우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4-355
    • /
    • 2009
  • 본 연구는 기존 선행 연구의 이론적, 실증적 결과를 토대로 관계 효익이 만족과 장기적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토대로 가설과 연구모델을 설정하고, 패밀리 레스토랑 방문객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분석하여, 연구모델을 평가하고 마케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외식 소비자가 느끼는 관계 효익 중본 연구에서 요인으로 사용된 사회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은 모두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외식 소비자의 만족도 고객이 레스토랑에 대한 장기지향적 관계를 유지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이처럼 레스토랑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이 높을수록 구전이나 재방문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여러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함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의 간접효과에서도 입증되었듯이 외식 소비자가 느끼는 이러한 사회적 효익과 심리적 효익은 레스토랑의 장기적 관계지향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며, 만족은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 변수임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가격 할인이나 사은품, 쿠폰과 같은 경제적인 이익보다는 종업원과의 친밀감, 심리적 안정감과 불안감의 해소 등의 사회적, 심리적 효익을 우선하는 것으로 파악되어 종사원에 대한 고객 응대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된다. 따라서 종사원의 채용에서 부터 지속적인 서비스 교육과 지식 교육을 통해 고객의 요구에 즉각적이고 융통성 있게 대응하여 고객 만족에 힘써야 할 것이다.

  • PDF

사고실험 - 상상의 작용과 한도에 대해 (Thought Experiments: on the Working Imagination and its Limitation)

  • 황희숙
    • 철학연구
    • /
    • 제146권
    • /
    • pp.307-328
    • /
    • 2018
  • 과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분야에서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s)의 사용은 오랜 역사가 있다. 특히 현대 분석철학의 문헌들 속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사고실험들은 반사실적인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직관과 상상이 상식적 지식과 결합하여 작동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사고실험은 논변 구성자에게 필요한 결론을 유도해 내기 위한 개념 분석적 장치다. 그런데 과연 철학의 사고실험들이 지식의 생산에 기여하며 불가피하고도 유익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특정한 사고실험이 제시되었을 때, 이를 대면하고 있는 우리가 그 논변의 유도방향에 대해 어떤 무력감이나 속임수의 느낌을 받는다면, 이는 주목해야할 현상일 것이다. 필자는 이에, 사고실험의 적절성 문제를 유명한 사고실험 세 가지 즉, 톰슨의 '병든 바이올리니스트', 퍼트남의 '통속의 뇌', 설의 '중국어 방' 사고실험을 놓고 논의한다. 사고실험에 대해 느끼는 불편함의 원인은 무엇일까? '상상적인 사고실험'들은 실재에 대한 판단 및 정보가 틈새를 보이는 상황에서 구축되어 제시되는 바, 가상적 상황에 대한 논변이다. 그런데 사고실험에서 유관한 배경적 조건들에 대해 부적절하거나 불확실한 바가 있거나, 임의적으로 기술된 요소가 있다면 그 사고실험은 의구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사고실험의 추론이 실제 철학적 문제들에 어떤 적실성과 유효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따져보아야 한다. 호프스태터가 보여주듯이 사고실험의 시뮬레이션 속에 포함된 여러 요소들의 설정을 바꿈으로써 즉 '노브 설정(knob setting)'을 달리함으로써 구성자의 결론과는 다른 결론이 나올 수도 있다. 이렇듯 사고실험의 시나리오에는 철학자의 상상과 이론적 편향이 들어있으며, 그 상상이라는 도구는 오직 제한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