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Analysis on Familial Caregivers' Burden in Utilizing a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유료 노인전문요양원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김완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박종연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센터) ;
  • 이지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강임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nceptualize the socio-psychological burden in utilizing a nursing home for elderly. The subjects were five elderly from a private nursing home located in Seoul and their familial caregivers. An old male and three females were currently staying at the facility, and a female had been discharged already from the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epth interviews, observations and review of records at the facility For analysis, the data were classified by similar contents among significant expressions and factors in common. The subjects' motives to consider admission to the nursing home might be attributed to familial caregivers' burden, a shortage of support,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feeling of helplessness for the case elderly. The concept of burden is including family members' being badly off in living, their weariness, complications among family members, feeling psychological uneasiness, and hospital expenses. The identified image of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in Korea was generally negative at the point of high cost, unreasonable requisites and limitations for admission to the facilities, inferior situations, and especially in that there were few long-term care facilities within the community boundary. From their experience of nursing homes, the interviewees have felt the sentiments of sorry for their old parents, with the thought of being an undutiful, bitterness, and empathy. Additionally, they expressed a sense of anxiety of relative deprivation against the fact that there were no long-term care facilities available for the middle class. On the basis of these, multi-dimensional needs could be identified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illnesses.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선, 유료 노인 간호요양원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7.
  2. 강임옥, 노인 인구의 간호요양원 필요 예측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1999.
  3. 국무조정실 노인보건복지대책위원회.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보건복지종합대책. 2002.
  4. 김기영. 요양원 거주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5. 김병희, 치매노인 가족 간호자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1999.
  6. 김영숙. 노인복지시설 장기요양서비스 유형 설정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7. 김정림. 신체기능 제한 노인의 수발에 대한 미충촉 수요와 관련요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8. 김한중, 박종연, 이윤환, 이지전.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보건복지 비전과 정책방향.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2002.
  9. 노영숙.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7.
  10. 마정수.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이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11. 민무숙. 노인가정의 성인 자녀의 부양 부담도: 노인 동거가정의 현재와 미래. 한국가정발전연구소, 1997.
  12. 박명희. 가족 간호제공자의 부담과 인지 정도와 영향변수 분석, 카톨릭대학교 의학부 논문집 1991; 44(3): 949-958.
  13.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2001.
  14. 서미혜, 오가실. 만성질환자 부담감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1993; 23(3): 467-484.
  15. 선우덕. 장기요양보호대상 노인의 실태 및 정책수립방향. 보건복지포럼 2002; 21(1): 31-46.
  16. 이가옥. 장기요양보호 노인의 욕구와 가족의 부양부담. 제5회세계노인의날 기념세미나 자료집, 1999.
  17. 이상욱 등. 생애말기 노인의 의료이용수준과 삶의 질.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2002.
  18. 이인수. 노인주거와 실버산업. 도서출판 하우, 1997.
  19. 이지전 등. 장기요양서비스체계 도입방안 검토. 국민건강보험공단, 2002.
  20. 이현주. 가정간호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가족간호 제공자가 갖는 부담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21. 이형주. 노인 입원환자의 요양원 시설 이용 의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1992.
  22. 이희나. 생애말기 노인 돌봄 가족의 부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23. 장영신. 치매노인과 뇌졸중 노인부양자의 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1999.
  24. 전우택. 사회의학연구방법론. 연세대학교출판부, 1999.
  25. 정경희. 장기요양보호대상 노인의 수발실태 및 가족수발자의 수발부담. 보건복지포럼 2002; 21(1): 17-31.
  26. 정기선. 미국노인요양소의 현황 소개. 대한병원협회지 1992; 21(3): 18-29.
  27. 정승은. 자궁적출술을 받은 부인의 심리에 대한 사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2.
  28. 조유향. 노인에 대한 보건의료의 개발을 위한 조사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의학연구소, 1988.
  29. 차흥봉. 장애노인 부양 가족의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이용 선호도와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8.
  30. 한국노년학회, 노인 보호시설과 부양체계의 한국적 모형 개발. 적성출판사. 1995.
  31. 한국여성개발원. 노인보호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 1996.
  32. Baillie V, Norbeck JS, Barnes EEA. Stress,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of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Nursing Research 1988; 37(4): 217-222.
  33. Draper BM, Poulos CJ, Ehrlich F, et al. A comparison of caregivers for elderly stroke and dementia victim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2; 40: 896-901.
  34. Faison KJ, Faria SH, Fank D. Caregivers of chronically ill elderly; perceived burden.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e 1999; 16(4): 243-53. https://doi.org/10.1207/S15327655JCHN1604_4
  35. George LK, Gwyther LP. Caregiver well-being: A multidimensional examination of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adults. The Gerontologist 1986; 26(3): 253-259. https://doi.org/10.1093/geront/26.3.253
  36. Lincoln Y, Guba E. Case reporting.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1985.
  37. Pearson J, Verma S, Nellett C. Elderly psychiatric patient status and caregiver perceptions as predictors of caregiver burden. The Gerontologist 1988; 28: 79-83. https://doi.org/10.1093/geront/28.1.79
  38. Rantz MJ, Zwygart SM, Popejoy L, et al. Nursing home care quality: a multidimensional theoretical model integrating the views of consumers and provider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1999; 14(1): 16-37. https://doi.org/10.1097/00001786-199910000-00004
  39. Ursula MK, Transition in care: family career's experience of nursing home place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9; 29(6): 1474-1481.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9.0103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