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ue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by VMS Traffic Information Using Contingent Value Method

조건부가치평가법을 이용한 VMS 교통정보 제공에 따른 이용자만족도 가치 산정

  • 연복모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 ;
  • 홍지연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임준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문병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첨단교통연구실)
  • Received : 2009.09.19
  • Accepted : 2010.04.21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variable message sign(VMS) is a facility to smoothen traffic flows and enable safe passing by providing real-time necessary information on roads, weather, transportation, and traffic regulations. The VMS also solves a feeling of uneasiness and gives a sense of psychological security by providing information to drivers. However, the VMS has a strong character of being a non-market product but a public product, so it has not normally been evaluated for its value. This research has evaluated a value of satisfaction level for traffic information users,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value of satisfaction level for users through division into an urban roadway and an urban highway for the cities where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ITS) has been established, the urban highway had a value of 96.7 won/system and the urban roadway had a value of 76.3 won/system.

가변전광표지판(VMS)은 도로이용자에게 도로, 기상 및 교통의 상황이나 그에 따른 교통규제의 상황에 관해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안전한 통행을 하도록 하는 시설이다. 또한 VMS는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들에게 전방의 교통상황 및 소요시간을 미리 알 수 있게 함으로써 불안감 해소와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게 된다. 하지만 VMS는 비시장재이며 공공재라는 성격이 강하여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이용하여 VMS의 교통정보 이용자만족도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였다. 지능형교통시스템(ITS)이 구축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부도로와 도시고속도 구분하여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이용자 만족도 가치모형 추정에 제시금액, 이용빈도, 만족도, 성별, 연령 5가지 변수가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유의한 변수로 추정한 모형으로 이용자만족도 가치를 평가한 결과 도시고속도로는 96.7원/대, 도시부 도로는 76.3원/대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행목적별로 가치를 산정한 결과 모든 노선에서 출퇴근, 업무, 여가 순으로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ITS코리아(http://www.itskorea.or.kr), ITS 정의
  2. R. C. Michell and R. T. Carson, Using surveys to value public good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Resources for the Future, 1989.
  3. 강연수, 김태형, 정경민, ITS 투자평가편람 작성을 위한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07. 1.
  4. 김준정, "교통정보 가치산정 방법에 대한 비교연구 :고속도로 교통정보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제6D호, pp. 881-888, 2004. 11.
  5. 빈미영, 김효빈, "실시간 버스도착정보의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6호,pp. 81-89, 2005. 10.
  6. 국토해양부, 국도 ITS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국도 ITS효과 분석 및 수요 전망, pp.35~87, 2008.
  7. 손영국, 이병국, 엄영숙, 남궁문,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교통정보제공시스템 도입에 대한 편익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2권 제2D호, pp. 229-235, 2002. 3.
  8. Y. Hayashiyama, S. Tanabe, and F. Hara, "Economic evaluation of snow-removal level by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pp. 183-190, Jan. 2007.
  9. A. Alberini, "Optimal designs for discrete choice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single-bound, double-bound, and bivariate models," J.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28, no. 3, pp.287-306, May 1995. https://doi.org/10.1006/jeem.1995.1019
  10. W. M. Hanemann,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 American J. Agricultural Economics,vol. 66, pp. 332-341, Mar. 1984. https://doi.org/10.2307/1240800
  11. W. M. Hanemann, "Some issues in continuous and discrete response contingent valuation studies," Northeast J. Agricultural Economics Division, Apr.1985.
  12. S. Long, Regression Models for categorical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s, Thousand Oaks,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