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Job Program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8초

중소도시 경로당의 복지서비스와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 연구 (Elderly Users' Satisfaction with Servic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Senior Citizen Centers in Mid-sized and Small Cities)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7-130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lderly users' satisfaction with welfare services and the environments of the senior citizen centers in mid-sized and small cities in Korea. Three hundred and two elderly user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ere found. The male elderly users and older us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programs than the female and younger users. The elderly people who reside in single-family residenc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part-time job opportunities offered at the center than the elderly users who were living in apartment buildings. This could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dwellers of single housing had more freedom and more room for self-regulation in scheduling their program participation, whereas the apartment building residents had rarely experienced social exchanges with their neighb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s of the centers by gender, marital status, age, level of education, religion, and housing type. The group differences were explained by the abundance of community activities that are centered around younger and female participan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more specialized educational and soci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younger users in their early 60s, that co-ed religious activities and hobby programs should be expanded, and that the home-visiting welfare staff should regularly provide the elderly users the information on programs and activities.

고령 농업인의 공동농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 삶의 의미와 심리적 복지감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n Development and Effect of Co-farming Program for the Rural Elderly Farmers - Focusing o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 김영애;정미경;김기성
    • 농촌계획
    • /
    • 제22권4호
    • /
    • pp.115-129
    • /
    • 2016
  •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farming program for elderly farmers, employ, then evaluate its effectiveness whether it influences purpose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ogram participants. A total of 130 elderly farmers that composed of 65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purpose in lif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3.316, p<.001).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he four major problems of elderly farmers which are poverty, health, loneliness and alienation keeps on worsening over time along with the population ageing.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necessary to improve elderly farmer's quality of life by developing suitable and sustainable occupation.

치기공과 학생들의 해외취업에 대한 선호도 조사 (A Study on the Preferences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for Overseas Employment)

  • 김임선;김정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03-314
    • /
    • 201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nd overseas workplace and improve global competence through the preference survey on overseas employment by dental technology students. Methods: The survey sample consisted of 250 randomly selected dental technology students.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 to May 1 in 2012. Total of 245(98.0%) replies and analyzed 236 questionnaires excluding 9 incomplet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7 items for general information, overseas employment characteristics of 10 items, 7 items for overseas employment activation plane and job competency development of 7 item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Win 19.0 statistics program. Result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131 third graders(55.5%), 63 first graders(26.7%) and 42 second graders(17.8%) among 130 males(55.1%) and 106 females(44.9%). 221(93.6%) of the subjects had no experience in language training. Students who had clinical training for 1-5 months were 123(52.1%), and 24(10.2%) students had more than six months. 89(37.7%) of the subjects had no clinical training. 155(65.7%) of the subjects hope to work with korean owner, and 81(34.3%) chose foreign owner. Favored working countries were Australia(41.5%), the United States(29.2%), Canada(18.2%) and other(11.0%). The field of dental ceramic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proportion of 104(44.1%). Period of training were 3 hours(40.3%) and 6 hours(35.2%). The most important training were language-centered education(54.2%), Job-oriented education(24.2%), local culture education(16.1%), other(3.0%) and Leadership Training(2.5%). The subjects chose overseas worker(44.9%), working-level practitioner (28.8%), successfully employed dental technology graduate(19.5%a) and professor(3.4%) as an instructor. The subjects get education and training information from professor(40.3%), other(28.0%), senior(14.4%), job site(8.9%) and acquaintance(8.5%). A credit exchange(2.46 points), a joint degree program(2.46 points), and a foreign professor(2.33 points) were needed to activate the overseas employment. A kind of dental prosthesis(3.58 points), carving tooth morphology(3.38 points), and majors of dental technology(3.30 points) were indicated to develop job competency for overseas employment. Age, year, clinical training experience and company owner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ata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ffecting job competency development. Conclusion: The college needs to offer variety programs such as foreign language-centered education and a local job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to graduates to be connected with international workplace and employment.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actors Effect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Social Workers at Seniors Welfare Centers on Job Burnout)

  • 이경숙;김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81-597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설계되었다.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을 직접 돌보는 사회복지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최종 344부를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처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신뢰도 검사, 빈도분석,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소진의 하위변수인 감정고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인격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가 감정고갈과 비인격화에 미치는 영향은 낙관주의>회복력>희망>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이 성취감저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가 성취감저하에 미치는 영향은 낙관주의>희망>자기효능감>회복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소진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된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제언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구성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service composition factor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long 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people)

  • 정한채;임현승;고대영;강성옥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1호
    • /
    • pp.133-140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위탁과 직영이라는 운영형태에 따른 조직성과의 차이와 노인복지시설 서비스관리 구성요인과 조직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2년 9월 현재,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민간위탁 및 공공직영 노인요양시설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삼았다. 독립변수로서 조직성과 결정요인이 될 서비스관리요소는 리더십, 교육훈련, 보상, 참여, 서비스품질이며, 종속변수인 조직성과는 직무만족, 업무성과, 재무적성과, 수혜자지향성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관리 구성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 유의수준의 .001(F=37.429)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의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관리 구성요인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 유의수준의 .001(F=55.099)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관리 구성요인이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 유의수준의 .001(F=56.904)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관리 구성요인이 수혜자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 유의수준의 .001(F=61.367)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구성요인 중 직원의 보상이 가장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고등학교 가정계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관한 의식 조사 (Investigation on Consciousness of Career Choice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Students at Senior High School)

  • 장명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7-77
    • /
    • 1995
  • This study aims at seeking the effective career guidance and operational plan. We collected data from questionaries to 305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 and 135 students on vocational course for the recognition of and request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X(sup)2, and SPSS/PC(sup)+ program a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1. The main considerations of students in their decision of course were the accessibility of getting a job, or a higher education aptitude, interest, and so on. They made their own decision in choosing their course, relatively were satisfied with their choices. As for the course after graduation they hoped to come by a job related to their major in order to have3 an opportunity for further education, and teachers stood up for the large extent to which their students are satisfied with vocational training by answering that there would be higher possibility of using their major. 2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desirable home economics vocational training in future showed that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s desired for the scient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tudents on vocational curse requested that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supported. And new curricula were those for gerontology. interior design, and cookery and bakery.

  • PDF

노인 일자리 정책과 노인 일자리 인식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Senior Employment Policy and Senior Job Awareness)

  • 황혜정;임효남;조지용;조찬주;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695-702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실마리를 제시할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최종 연구대상은 110명 이다. 연구방법은 student t-test, ⲭ2-test, one-way ANOVA(Scheffe)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소노인(65-74세)이 노인 일자리 사업에 대한 인식, 경제 상태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공공형 일자리 인식은 기혼, 종교가 있을 때, 월소득이 400만원 초과일 때, 사회서비스형은 기혼, 종교가 있을 때, 민간형은 월소득이 400만원 초과로 나타났다(p<0.05). 공공형 직종 에서는 '주정차 질서 계도 봉사'가, 사회서비스형 직종 중에서는 '노인 관련 시설지원'이, 민간분야 직종에서는 '패스트푸드원, 주방, 식당 보조원, 음식배달서비스 종사자'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노인 일자리 정책에 대한 인식을 향상 시키기 위해 노인 일자리 인식 개선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추후 노인연령에 따라 하고 싶은 직종과 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 김명숙;김갑중;김연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77-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을 조사하고 비교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비교조사 연구이다. 대상자는 D광역시 일개 종합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136명으로,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SPSS WIN 23.0 program 으로 분석하였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간호업무수행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방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간호업무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20.6%, 일반병동 간호사는 47.5%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직무만족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적정 유지시킬 수 있는 간호업무수행 능력증진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자원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daptive College to Work Transition through Enhancing Coping Resources)

  • 김지근;이진구;이기학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3호
    • /
    • pp.283-3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개입할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chlossberg(1995)의 이행 모형을 기반으로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 요구되는 대처자원인 4S(상황지각, 자기지각, 지지자원, 전략)에 개입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학교 4학년 이상의 취업준비생 1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이행대처자원, 대학-직장 이행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취업소진, 진로적응성의 수준을 프로그램 전, 후, 그리고 종결 1개월 후 시점에 수집하여, 취업준비행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비교집단 10명, 무처치 통제 집단 11명과 그 수준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자원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이행대처자원과 대학-직장 이행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의 수준이 프로그램 전후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종결 1개월 후 시점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경험적으로 입증되었다. 반면, 취업소진과 진로적응성에서는 실험, 비교, 통제집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 자원 향상 프로그램'이 지니는 의의를 논의하였으며, 연구가 지니는 제한점과 더불어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The Degree of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policy effects of the jop creation project in the Elderly)

  • 고재욱;이동열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1209-1228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과 정책효과에 대해서 기초자료를 제공 코저 한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노인종합복지관 10개소에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 9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15.0·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일자리참여 동기는 생활비 마련과 용돈, 건강유지, 사회참여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정신적으로, 심리적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이 개인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사회적 효과 면에서도 사회참여 촉진에 대한 개인적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의 만족도는 정책효과를 통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다양한 경험과 경륜은 시대적 요구에 맞게 특성수준에 맞는 다양한 노인일자리사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