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3초

자기조절학습 요소가 고등학생의 정보문해에 대한 태도와 정보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n Attitude and Related Skills of Information Litera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이승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61-18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프로젝트학습에서 학습자가 학습환경을 스스로 조절하고 통제하는 자기조절학습이 정보문해에 대한 태도와 정보문해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영향을 미치는 심층적인 이유는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조절학습의 인지조절능력, 동기조절능력, 행동조절능력이 정보문해에 대한 태도와 정보문해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이 정보문해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를 심층 분석한 결과 협동학습, 정보환경에 대한 경험, 시간 운영, 정보문해교육에 대한 노출, 동기유발, 교사와의 관계, 만족지연, 사전지식 요인이 도출되었다.

자기조절학습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 및 학업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on Underachiever's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

  • 임미연;김광수
    • 초등상담연구
    • /
    • 제4권1호
    • /
    • pp.123-15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on the underachiever's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as follows : Hypothesis 1 :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2 :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elf-concep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verify these hypotheses, 32 underachievers were selected from sixth grade students of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16 students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students were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rained with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for 10 times(The length of each section was 60 minutes). The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in this study was based on program by Kim. Yong-Soo(1998), The measurement instruments of the study were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paper and academic self-concept test. To find out the difference, Pretest-posttest control design was us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obtained from these tests were analysed with t-test. The major finding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p<.05).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was not effective in improvement of academic self-concept.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p<.01) at academic self-concept and sub academic self-concepts (ability, achievement) in the data of pre-post test. it can be suggested that this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 on underachievers. Although it has some limitations,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is effective to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 of underachievers, even though not significant, it has a positive t.

  • PDF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 이숙정;신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829-8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서 갖는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교수-학습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13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평균과 표준편차,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취목표지향성의 경향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동기조절훈련과 멘토링 학습을 통한 불안을 해소하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 유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수학과 사이버 가정학습 운영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Cyber Home Study in Mathematics)

  • 이인식;박영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7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 가정학습 체제 내에서 자기조절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을 탐색하고 그러한 전략들을 바탕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관리 지원함으로써 자기조절 학습능력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우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자기조절학습의 구성 요소를 인지 전략, 초인지 전략, 동기전략의 3가지 요소로 나누고 그에 따라서 사이버가정학습 운영 전략을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사이버가정학습 진행을 위한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 운영 전략에 따라 사이버가정학습을 운영하였다. 그 결과 많은 학생이 자기 조절 학습 능력이 향상됨을 보였고 수학에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 PDF

과학영재교육원 생물반 중학생들의 특성: 자가조절학습능력에 따른 개인적 성향 및 학습선호도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 Biology Special Class at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Personality Traits and Learning Preferences)

  • 서혜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457-47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2009년도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생물 영재반에 재학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을 분석하고,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수준에 따른 학생들의 개인적 성향과 이들의 학습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생물 영재반에 소속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인지전략, 메타인지, 동기차원에서 선행연구의 영재들보다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 환경차원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구성요소인 인지전략은 메타인지 및 동기차원과, 메타인지는 환경차원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학생들 가운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상위권에 속하는 학생들의 개인적 성향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섬세하고 여리며 신중한 성격을 지닌 학생으로 의학계의 성향에 치우치며 장래 의사를 희망하는 반면, 과학자로서의 높은 포부를 표현한 학생은 자연계 성향으로서 추상적이고 창의적이며 확산적으로 사고하는 특성이 두드러졌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높으나 개인적 성향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지만 공통적으로 가장 싫어하는 과학수업은 암기위주 이론중심 강의수업이며, 생각하지 않고 필기만 하는 것이었다. 학생들은 실험과 토론, 실험, 또는 토론중심 과학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을 선호하는 이유에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기 위한 것이 있는 반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자 하는 이유도 제시되었다. 가장 선호하는 과학교사는 질문하고 흥미를 일깨워주는 친근하고 활동적인 사람이었다. 결론적으로 과학영재교육은 우선적으로 개별학생들의 개인적 성향을 상세히 파악하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실험활동 중심 토론식 수업에서 개별학생이 흥미있어 하는 개별 맞춤식 주제 관련 질문을 강화하는 수업이 효율적임을 시사한다.

호텔.외식조리 관련학과 학생들의 학습동기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 지역 전문대 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of Students in Hotel and Food Service Related Departments - Focused on College Students in the Daegu.Gyeongbuk Areas -)

  • 김기진;김향희;정외숙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0-146
    • /
    • 2010
  • 본 연구는 전문대 호텔 외식조리 관련학과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대구지역의 3개 전문대 호텔 외식조리 관련학과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26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학습동기에 대해 설펴보면, '졸업 후 취업'이라는 동기가 강한 학생은 20~24세로 나타났고, '학습의 기쁨'에 대한 동기는 연령이 높을수록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졸업 후 취업', '대학생활의 즐거움'의 동기가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자격증을 더 많이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은 대체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고, 학년과 연령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으며, 현장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인지전략', '메타인지 전략', '성취가치'의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취득한 자격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상관관계는 학습동기 중 '무동기'를 제외하고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무동기'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모든 요인과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PDF

중학교 수학에서 WEB을 이용한 자기주도적 학습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1학년 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Using WEB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Focused on the Chapter ″Function″ of the First Grade-)

  • 이덕호;이관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75-8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mote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nd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Mathematics. In addition I hope to explore a new teaching method and facilitate students interest in mathmatics. If the teachers utilize an Internet Web Page and exchang information, the interaction activities will allow them to collect and analyse a variety of data. As this teaching method assists students motivation to get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f students using the internet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can be explored. The information will be gathered after the students participate in classes which were taught through the Edunet Homepage and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Homepage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Internet pages focused on the "Function" chapter of the first grade text for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Each group is composed of three levels, high, middle, and low. In the post experimental phase, two tests were administered which measured achievement ability and the learning attitude of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tests were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demonstrat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Starategies toward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were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hese method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in the middle level and low level groups. The study demonstrated little to no improvement in the high level groups

  • PDF

예비 수학교사의 멘·튜터링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Men-tutoring Activities of Pre-Service Math Teacher)

  • 허유진;고호경;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97-221
    • /
    • 2021
  • In this study, a men-tutoring model was applied to four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that could cultivat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 cas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on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mentoring applied to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reinforcing prerequisite learning, improv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trengthening mathematical strategies, and inducing learning motivation and maintaining interest. We are looking forward to that men-tutoring can be used effectively for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learning mathematics.

Motor Learning in Elderly: Effects of Decision Making Time for Self-Regulated Knowledge of Results During a Dynamic Balance Task

  • Jeon, Min-jae;Jeon, Hye-se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6-26
    • /
    • 2016
  • Background: Deficiencies in the ability to maintain balance are common in elderly. Augmented feedback such as knowledge of results (KR) can accelerate learning and mastering a motor skill in older people. Objects: We designed this study to examine whether one session of Wii-Fit game with self-regulated KR is effective for elderly people,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two different timings of self-regulated KR conditions. Methods: Thirty-nine community-dwelling elders, not living in hospice care or a nursing hom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uring acquisition, two groups of volunteers were trained in 10 blocks of a dynamic balancing task under the following 2 conditions, respectively: (a) a pre-trial self-regulated KR ($n_1=18$), or (b) a post-trial self-regulated KR ($n_2=21$). Immediate retention tests and delayed retention tests of balancing performance were administered in 15 minutes and 24 hours following acquisition period, respectively. Results: In both groups, significant improvements of balancing performances scores were observed during the acquisition period. Regardless of the group, mean of balancing performance scores on retention tests were well-maintained from the final ses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balancing performance scores during the acquisition period (p>.05); however, the post-trial self-regulated KR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balancing performance scores in both the immediate retention test and delayed retention test than that of the pre-trial self-regulated KR group (p<.05). Conclusion: Therefore, subjects who regulated their feedback after a dynamic balancing task, during the acquisition period, experienced more efficient motor learning during the retention period than did subjects who regulated their feedback before a dynamic balancing task. Accordingly, in case of presenting the KR of motor learning in clinical settings to elders who reduced dynamic balance abilities, the requesting time of KR is imperative according to self-estimation processes as well as types of KR and practice.

영재와 평재의 자기조절 전략에 미치는 요인: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Self-regulated Strategies: On Autonomy Support and Beliefs of Intelligence Ability of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 신민;안도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877-892
    • /
    • 2014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취 수준에 따라 세 집단(영재, 고성취 평재, 저성취 평재)으로 나누어 지각한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조절 전략 사용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이들 변인 중 어떠한 특성이 자기조절 전략 사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집대상은 경기도 지역 영재학교 1개교, 고성취 평재와, 저성취 평재집단으로 분류한 일반 고등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자율성 지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조절 전략을 측정한 결과, 성취 수준과 또래로부터의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 및 자기조절 전략 중 부적응적 자기조절 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 요인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성취 수준과 지적 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 및 자기조절 전략 중 부적응적 자기조절 요인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성취 수준에 따른 학생들의 자율성 지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 자기조절 전략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또래로부터의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을 제외한 모든 하위 변인들에서 성취 수준이 높은 영재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 지지를 제공하고,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 가능성 신념을 높여주는 것이 더 적극적인 자기조절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